<기생충>은 전원백수 '기택'네 가족들이 상류층 '박사장' 집안에 들어서면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통해 사회적 층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영화다.
실제로 영화에서는 '상징'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기택네 장남 '기우'는 걸핏하면 "상징적이야!"라는 말을 내뱉는다. 그렇다면 작품 속에는 어떤 상징적 장치들이 숨어 있을까.
가장 큰 의미를 지닌 장치는 수석이다. 기택의 가족들이 끌어안게 되는 수석은 어디에 놓이는지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진열장에 놓이며 값비싼 전시물 같지만 물 속에 넣으면 여느 돌과 별반 다르지 않다. 반지하에서 살아가는 기택네가 언덕 위의 박사장네로 들어가 (잠시나마)다른 삶을 경험하는 과정이 수석의 의미를 대변해준다. <기생충> 관람 포인트 중 하나로 수석의 가치 변화를 확인하는 것도 꼽을 수 있겠다.
다음으로 두드러지는 상징은 각 가정의 위치다. 지하 세계와 언덕 위의 집은 달라도 너무 다르다. 이렇게 다른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이들이 공생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특히 박사장네 가족들은 기택네 가족들에게 배어있는 '냄새'에 민감해한다. 특유의 냄새에 불쾌해하는 박사장 가족들과 그에 반응하는 기택의 가족들 모습 역시 관람 포인트다.
인물들의 대사 속 단어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우가 과외 시 제시했던 'pretend(-인 척하다, 가식적으로 행동하다)', 박사장이 자주 사용하는 '선(線)'은 영화를 관통하는 단어들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는 계단. 인물들은 끊임없이 계단을 오르내린다. 지하, 반지하, 지상의 공간 등을 오르내릴 때 드는 수고는 각 집단의 경계를 대변한다.
심지어 지하의 집단은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일조(日照)의 행복도 누리기 쉽지 않다. 그럼에도 재해의 피해는 가장 먼저 입는다.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이처럼 <기생충>은 자본주의 사회를 풍자하는 영화다. 전혀 다른 형태로 살아가고 있는 두 집단의 대조를 통해 현 사회의 병폐를 꼬집는 작품이다. 봉준호 감독 특유의 위트 코드는 우울하고 암담한 상황을 그린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에게 웃음을 선사한다. 블랙코미디 연출에 능한 감독의 장점이 고스란히 드러나있다.
영화가 그린 현 시대에는 사람마다 '타고난 자리'가 있는 듯 보인다. 금, 흙수저로 나뉘는 경제적 여건은 사회적 층위로 고스란히 이어진다. 씁쓸한 일이다. 이 쓰디쓴 현실에서 잘 살아가는 방법은 무엇일까. 주어진 자리에 안주할 것인가, 꿈(욕망)을 안고 나아갈 것인가. <기생충>을 보면 제 자리에서 선을 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것 같은데, 그렇게 살아 갈라치면 누군가에겐 현실이 너무도 가혹하다.
<기생충>은 지금을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공감할 만한 현실드라마이다. 위트와 서스펜스를 넘나드는 작품이라 지루함 없이 관람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