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동 Dec 25. 2022

초대장을 찢어버리듯 붕괴시키는 클리셰의 밭

<나이브스 아웃 : 글래스 어니언> 스포일러 없는 리뷰



이상한 초대장


초대장이 왔다. 초대장의 목적지는 정치인 클레어 디발라다. 그녀는 정치인이다. 한창 상원의원 선거 도중인 미국의 어느 . 한창 바쁜데 난데없이 은 것이다. 이 와중에도 선거운동 중인 클레어. 클레어의 후원자는 초대장을 건넨 억만장자 마일즈 브론이다.  마일즈는 클레어에게만 다리를 뻗지 않았다. 과학자 라이오넬, 트위치의 인기 스트리머 듀크와 여자친구 위스키, 모델  디자이너 버디와 페그에게도 초대장이 온다. ‘살인 미스터리 게임 해결해야 한다고? 마일즈 브론이  이상한 짓을 꾸미고 있나 보다. 원래 우리 주위에서 헛소리를 하는 친구 하나쯤은 있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절할  없는 이유가 있다. 파티에 참석하는 마일즈의 친구들. 서로 반갑게 인사한다. 포옹은  된다. 마스크를  채로 인사한다. 그런데  낯선 얼굴이 있는  같다. ?  사람?


브누아 블랑이다. 이 ‘살인 미스터리 게임’에 미국 최고의 탐정 브누아 블랑도 초대받았다. ‘형이 왜 거기서 나와?’ 브누아 블랑은 자기도 초대장을 받았다며 어리둥절한 표정을 짓는다. 이 사람들과 블랑은 단 조금의 관련이 없는데 말이다. 초대받지 않은 손님 블랑. 이 불편한 손님은 브누아 블랑만이 아니다. 갑자기 등장한 이들의 친구 ‘앤디’. ‘앤디’는 등장만으로도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사람이다. ‘쟤가 왜 여기에 왔지?’ 아연실색하는 일행들. 그래도 파티는 파티니까 즐기기로 한다. 섬에 도착한 사람들. 살인 미스터리 추리 게임을 즐기기 위해 파티장 마일즈 브론이 개최사를 연다. 그러나 그 개최사를 연 마일즈도 예상할 수 없는, ‘살인 미스터리 게임’이 벌어진다.


전편을 승계하다


영화에서 중요한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승계다. 전편 <나이브스 아웃>에서 주인공 소설가의 자식들과 그 가족들로 다양한 사람들이 묘사됐다. 이와 유사하게 마일즈의 초대장에는 다양한 직업의 사람들이 있다. 직업이 의미심장하다. '남성 인권 운동가'로 묘사된 듀크. 이 듀크는 '트위치'라는 곳에서 자기의 의견을 피력하는 사람이다. 마일즈는 억만장자다. 그런데 이 억만장자에는 치명적인 결함이 하나 있다(물론 후반부가 되고 나서야 알 수 있다). 다른 친구 중 하나는 주지사 출신 정치인이다. 어떤 친구는 모델이고 과학자다. 1편이 다양한 세대와 계층을 품어서 미국이 갖고 있는 이민자들을 대하는 태도의 이중성을 보여준 것과 유사하게 이 영화는 이 상위계층이 품고 있는 위선을 조롱하고 있다. 결국 이 친구들을 움직이는 것은 극에서 중요하게 나오는 '어떤 단어' 때문이었다.


영화의 형식도 전편 느낌이 난다. 사실 이 시리즈에서 사회적인 맥락과 블랙코미디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제일 중요한 것은 역시 장르적인 재미다. 이 영화들은 그냥 재미있는 스릴러/후더닛 무비다. 두 영화는 1차적인 목표와 2차적인 목표, 또 3차 목표가 다른 영화처럼 들린다. 2편이 어떤 목표를 두고 있는지는 여러분이 직접 확인하시면 되기 때문에 쓸 수 없겠지? 그러나 1편이 어떻게 이 목표를 설정했는지는 쓸 수 있다(1편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1편에서 중요한 것은 주인공 소설가를 죽인 사람은 누구인가? / 그 이후 벌어진 사건의 진상은 무엇인가? / 영화의 엔딩이라고 볼 수 있는, 흑막의 결론은 무엇인가?라는 것이다. 이 이야기의 전복을 묘사하기 위해 인물의 다각도에서, 적당히 핍진성이 성립하는 선에서 이야기를 비튼 라이언 존슨의 역량이 돋보였다. 아직도 그 주인공을 죽였던 방식을 묘사하는 방법은 기억에 남는다. 그리고 다른 주인공 마르타의 지병, 크리스 에반스의 호연은 영화에서 입체감을 부여하는 좋은 매개체였다. 본작 2편은 후더닛 무비의 형식은 살리면서 이야기의 토대를 바탕으로 허점을 찌르는 플롯을 보여준다. 이 과정 속에서 우리가 팬더믹 직전 후를 겪으며 겪었던 몇몇 사건이 떠오른다. 이를 입체감 있게 잘 넣었기 때문에 이 영화의 장르적인 쾌감은 역시 생생하다. 그러나 추리물로서 범인을 쫓아가는 과정으로서의 재미는 좀 약할 수도 있다. 영화가 조명하는 것은 그게 아니기 때문이다.


1편만큼 강력하게


영화에서 ‘우와’ 싶은 부분이 있다. 바로 로케이션이다. 이 영화에서 중요한 것은 제목에도 있는 ‘글래스 어니언’이다. ‘글래스 어니언’은 영화에서 굉장히 중요한 모티브로 작동한다. 이 모티브가 무엇인지는 역시 후반부에 제시되기 때문에 안 본 여러분이 직접 확인하시길 바란다. 물론 후반부가 아닌 완전 초반부에 제시되는 요소도 몇 가지 있다. 마일즈 브론이 불쌍할 때 친구들과 함께 술을 먹던 곳의 술집 이름이 글래스 어니언이다. 또 글래스 어니언은 브누아 블랑을 위시로 한 파티 초대자들이 행동하고 살인극을 벌이는 극의 무대로 볼 수 있다. 당연히 억만장자가 만들었으니 미장센을 예쁘게 뽑아야 한다. 영화는 이 모든 속성을 설득시키는 집 구성을 보여준다. 영화에서 보여주는 주요한 모티브는 내실의 부족이다. 이를 유리라는 소재로 활용한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또 전편에서 30개국에 출간되는 베스트셀러 작가라는 특징을 활용한 것처럼 색감을 활용한 연출이 돋보인다. 가령 마일즈의 수영장에서 대화를 나누는 신이 있다. 여기서 수영장 의자는 노란색이다. 두 여성 캐릭터가 입은 것은 노란색 비키니다. 조명도 노란 색으로 쐈다. 전체적으로 누리끼리한 화면. 두드러지는 것은 파란색의 블랑이다. 이는 공간 안 실내로 들어와도 마찬가지다. 의상으로 변박을 주며 인물을 강조하는 연출이 돋보인다. 이와 유사하게 어떤 인물들끼리의 감정적인 연대도 의상으로 배치하고, 속 마음은 다른 동상이몽의 누군가도 피부색과 의상으로 표현하는 감독의 섬세함이 느껴진다. 영화에서 이야기 내적으로 서서히 떡밥을 뿌리는 것도 있지만 이렇게 사소한 것들로 영화의 이야기를 수거하는 연출은 가히 장점이라고 뽑을 수 있다.


딱지 뒤집기


영화의 플롯 뒤집기는 영화를 두번 보면 무릎을 칠 정도다. 그 말은 '괜히 인물이 이러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일단 영화를 볼 때 글쓴이는 브누아 블랑의 캐릭터를 묘사하는 방식에 의문점이 생겼다. 이걸 이렇게 유치하게 한다고? 이 사소한 의문점들은 서서히 쌓였다가 후반부에 전말이 드러나면서 쾌감을 준다. 이는 뭔가 허전한 인물묘사가 아닌 1차적으로 보여주는 영화의 이야기만으로도 설득이 되는 각본 덕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야기가 전복되기 전까지 나름대로의 영화가 전개되는 것, 그리고 그 이후를 뒤집는 감독의 선택은 칭찬받을 만하다. 후더닛 무비의 문법에서 과감히 탈피한 선택지가 된 것이다. 모든 장면이 그냥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분명히 말하고 싶다. 미투운동과 반지성주의를 풍자하면서도 큰 그림을 그렸으니 아마 생각 많이 하고 이야기를 쓴 것 같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지? 가끔 보면 좀 신기한 영화감독들이 있다.


그러나 이 이야기의 전복을 드러내기 이전에 두 사람은 정말 극을 이끌고 갔다고 말할 만하다. 한 명은 이 영화의 번역가 황석희다. 물론 영어를 잘하는 사람이라면 더 두드러지겠지만 모든 외국어를 다 한글처럼 들을 수는 없는 일이다. 뉘앙스의 차이로 이 대사들을 전달해야 한다. 그 대사를 생동감 있게 재창조한(?) 황석희 씨에게 박수를 보낸다. 역시 구강액션엔 황석희다. 그리고 주인공을 맡은 다니엘 크레이그는 영화에서 반전을 어떻게 줘야 하는지를 이해하고 좋은 연기를 보여준다. 억양과 제스처만으로도 영화의 절반을 책임진다. 이런 연기는 <유주얼 서스펙트>의 흑막에서 볼 수 있었던 것이 아니었을까? 뭐 그만한 충격은 당연히 아니지만 궤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공통점으로 꼽을 수 있다.


실망할 수도 있어


영화 후반부까지 보면서 글쓴이가 느낀 핵심 키워드는 미투운동과 반지성주의다. 주인공 마일즈 브론이 미국의 유명한 기업가와 기업가였던 사람을 생각나게 하는 것이 그렇다. 단순히 어떤 집단의 입맛을 맞추기 위해 과학이고 논리고 지식이고 다 무시하는 요즘 몇몇 장면은 인물들이 단체로 무얼 하는 것과 겹쳐 보인다. 인스타그램과 틱톡, 트위치로 대표되는 '보이는 것'에 관한 요즈음의 세태도 영화의 주요한 소재가 되었다.극에서 흑막이 어떻게 범죄방식이 들통나는가?를 보면 라이언 존슨 감독이 이를 분명히 의도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글래스 어니언'같은 세태를 꼬집기 위해서 1편의 추리물과 유사하면서도 살짝 다른 노선을 탔다. 그래서 이런 걸 기대하고 본 관객분들이라면 살짝 실망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게다가 이야기의 왔다 갔다 하는 전개치고 후반부의 어떤 이미지가 좀 약한 느낌? 좀 더 찰지게 만들 수도 있을 걸 그냥 덩그러니 그 행동만 카메라에 찍어서 좀 비어보이는 효과가 있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뒷맛이 깔끔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글쓴이는 이 영화가 후더닛 무비의 장르 이전에 '재미있는 (그냥) 영화'라는 점을 상기해주셨으면 한다. 또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풍자에 관객분들이 들어가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것을 생각하며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이 글을 쓰는 글쓴이도, 어쩌면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마일즈와 친구들 같은 사람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이미 알고 있는 <영웅>의 질문 '누가 죄인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