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록원 Feb 13. 2020

삶을 죽음에게 묻다

<뉴필로소퍼 vol 9>



죽음은 언제나  우리 곁에 있지만, 많은 것들이 그러하듯 우리는 인지하지 못한다. 내 주변에서 죽음을 마주한 경험을 죽음을 "마주해봤다"고들 많이들 이야기하지만, 우리 자신의 끝이 언제나 죽음이라는 것은 인지하지 못하고 살아간다. 유한한 삶은 공포를 일으키기도 살아갈 의지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죽음'이란 단어는 검은색, 해골, 어둠, 끝과 같은 부정적인 개념들이 연상된다. 모든 생명체의 끝에서 유한함을 안겨주는 죽음을, 인간이 오랫동안 두려움을 가지고 바라봐온 결과인 듯하다. 그래서 우리는 죽음에 대해 깊게 생각하지 않는다. 마치 어느 순간 갑자기 튀어나오는 것처럼, 내가 언젠가 죽을 것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것처럼 말이다. 혹은 두려움에 외면한다. 하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우리 모두는 언젠가 죽는다. 그걸 어떻게 받아들이냐는 너무나 큰 문제지만, 적어도 모든 사람이 겪을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유의미한 고민이 될 것이다.








'일상을 철학하다'라는 표어를 가지고 있는 철학잡지 <뉴필로소퍼> 9호의 주제는 죽음이다. 철학 잡지답게 이번에도 아주 짧고 익숙하지만 전혀 간단하지 않은 단어를 주제로 삼았다. 저번에 읽었던 호의 주제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아주 좋았었다.


이번에도 역시나 좋은 글들과 넘치는 지식과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이 담겨있었다. 저번에도 적었지만 <뉴필로소퍼>의 장점은 학술용어만 그득한 철학책이 아닌 일상의 언어로 말하는 철학잡지라는 점이다. 중간중간 철학지 식이 나오긴 하지만 처음 읽는 이들도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이고, 뭣보다 자신의 경험이 담겨있는 칼럼들이 참 좋다. 같은 생각도 같은 지식도 전하는 이의 경험이 들어가는 순간 글의 깊이가 달라진다. 그 사람의 진심이 글에서 느껴지면 더 이상 글자가 아니라 이야기로 들린다. 글이 진해진다. 뉴필로소퍼는 그런 글이 많다. 심지어 그 글을 쓴 사람들이 하나같이 똑똑한 사람들이라 글 속에 담겨있는 생각이 깊고 풍부할 뿐만 아니라 글도 잘 쓴다. 게다가 모든 글에 지식이 범람한다.


'죽음'이란 단어가 워낙 광범위한 개념을 내포하는 단어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뉴필로소퍼에서 접할 수 있는 죽음에 대한 시각은 다양하다. 죽음을 마주한 경험과 죽음에 대한 생각을 적은 칼럼, 뇌의 죽음과 신체의 죽음의 차이가 있을 때 무엇을 진짜 죽음으로 봐야 하는지, 사후세계에 대한 고찰 등, 정말 죽음에 관한 모든 지식과 생각을 모아놓은 느낌이다. 단순히 죽음을 '설명'하는 것이 아닌, 죽음을 주제로 연관된 모든 것이 화두로 떠오른다.


그중 인상 깊었던 시야 중 하나는 장례절차에 대한 것이었다. 일부는 동의하지 않겠지만 '현실'이라고 칭해지는 우리가 사는 세계에서 죽음은 끝이자 무이다. 죽은 이를 애도하기 위한 다양한 문화의 모든 장례절차가 과학적으로 죽은 이의 주변 사람들을 위한 행위라는 글이 있었다.


"이런 행위는 공포와 불안, 다양한 정신질환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에서 슬픔을 치료하는 효과가 입증된 방식들이다. 이런 행위들이 더 평온한 마음 상태로, 다시 일상생활로 돌아가는 데 도움을 준다. 이 모든 일들이 우리로 하여금 죽음의 슬픔을 이기고 평온한 상태로 살아가게 한다."


죽음을 애도하는 행위를 죽은 이가 아닌 죽은 이의 주변인들이자 아직 살아있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는 시각과 과학적으로 장례 절차가 남아있는 이들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설명해 주는 게 인상 깊었다.



이번 뉴필로소퍼 9호도 지적 욕구를 충족하기 충분한 잡지다. 개인적으로 이 잡지를 표현할 때 매번 쓰는 표현이 있다. "멀지 않은 철학잡지." 더 많은 이들이 이 잡지를 사랑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추천한다.




writer 심록원


blog

insta @deepgreenhill

about deepgreenhill


매거진의 이전글 문장을 쓰는 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