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elight May 18. 2023

이더리움이 풀어야 할 3가지 중앙화 숙제

학습 차원에서 틈틈이 해외 전문가들이 블로그나 미디어 그리고 책에서 쓴 글을 번역 또는 요약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도 그중 하나고요. 거칠고 오역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제대로 번역되지 않은 부분은 확인 주시면 반영토록 하겠습니다. 번역 과정에서 의미 전달이 애매한 일부 문장은 삭제했습니다. 이번 글은 뱅크리스에 올라온 글을 정리한 것입니다.


우리는 탈중앙화의 복음을 전파하고 탈중앙화를 주류로 끌어올릴 수 있는 기술을 소개하는 데 많은 시간을 쓰고 있다. 이런 기술들 중 하나가 이더리움이지만, 이더리움이 가진 모든 강점들에도 불구하고 생태계 무신뢰성과 탈중앙화에는 개선이 필요한 몇 가지 핵심 영역들이 있다. 이번에는 이와 관련해 몇 가지 문제점들과 잠재적인 해결책을 살펴본다.


이더리움의 3가지 중앙화 벡터

이더리움 생태계는 필요한 것 이상으로 중앙화돼 있다. 우리는 종종 스테이킹 접근성을 높이 평가하지만, 리도가 확보한 엄청난 양의 이더리움 스테이킹을 인정하는 데는 소극적이다. 우리는 탈중앙화된 화폐를 지지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 대한 의존도는 여전히 높다. 우리는 탈중앙화 원칙에 타협하는 알트 레이어1들을 비판한다.


하지만 중앙화가 있는 곳에는 개발자들이 해결책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든 희망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오늘은 스테이킹, 스테이블코인, 롤업에서 이더리움 중앙화 벡터를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보자.


스테이킹

리도의 유동성 스테이킹 파생상품(LSD) 'stETH'는 디파이를 지배하고 있다. 이 토큰은 모든 스테이킹 파생상품들 중 유동성이 가장 높고 리도는  이더리움 TVL에서 17.6%를 통제하는 블루칩 유동성 스테이킹 담보로 이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이더리움 검증자 3명 중 1명(30.6%)이 리도 프로토콜에 속해 있으며, 스테이킹 파생상품은 LSD 공간에서 74.9%라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로켓 풀과 같은 많은 탈중앙화 프로토콜들은 누구나 노드 운영자로 활동할 수 있지만, 현재 리도 V1 구현은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운영자만 프로토콜 검증자가 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는 사전 승인된 일부 파트너들 사이에서 막대한 이더리움 지분이라는 중앙회 벡터를 생성한다. 2022년 4분기 기준, 리도는 29개 활성 이더리움 노드 운영자를 보유했다.


리도는 편리한 공격 대상이지만, 이더리움이 지분 증명 합의 방식(머지, Merge)으로 전환하면서 이미 네트워크 탈중앙화에 기여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리도는 검증자 셋(set) 30.6%를 통제할 수 있지만, 비트코인 최대 마이닝 풀 운영자는 해시레이트 31.7%를 통제한다. 상위 12개 BTC 채굴 업체가 네트워크 해시 파워 96.1%를 통제하는 반면, 네트워크 12대 스테이커들은 보유한 이더리움은 70.3%에 불과하다.


지분 증명은 작업 증명 시스템보다 개인 검증자와 같은 행위자들 롱테일에 더 적합하며, 더 많은 참여자가 네트워크 보안을 통해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앞서 진행된 머지 하드포크와 마찬가지로 이더리움 최신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인 샤펠라는 네트워크 보안을 탈중앙화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였다.


샤펠라는 2020년 12월 비콘 체인 출범 이후 처음으로 개인 스테이커들과 스테이킹 풀 사용자들에게 스테이킹된 이더에 대한 유동성을 제공하는 출금을 가능하게 했다. 출금은 유동성을 원하는 스테이커들에게 선택권을 제공합니다. 이제 단독 스테이킹( solo-staking)과 스테이킹 풀 솔루션은 유동성을 찾는 스레이커들 사이에서 LSD의 유효한 경쟁자다.


동시에 차세대 스테이킹 프로토콜은 리도 사용자들에게 이전보다 더 많은 출금 이유를 제공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스테이킹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스테이크와이즈 V3, Stakewise V3와 이더파이, ether.fi)은 노드 운영자들이 경쟁 우위가 있는 스테이킹 수익률을 제공해 자본 확보를 위해 경쟁하는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unshETH와 같은 LSD-Fi 프로토콜은 토큰 인센티브를 통해 지분을 탈중앙화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서클이 파산한 실리콘밸리 은행에 33억 달러가 예치돼 있다고 발표한 후, 서클 스테이블코인 USDC는 무차별적인 매도 압력에 직면했다. USDC는 중앙화된 거래소에서 사상 최저치인 0.82달러까지 하락했고, 온체인 스테이블 스왑 풀에서 유동성이 증발했다. USDC를 담보로 하는 메이커다오의 DAI와 프랙스 FRAX는 불가피하게 피해를 입었고, 이벤트 기간 동안 일대일 가격 고정(Peg) 대비 상당히 할인된 가격에 거래됐다.


다행히 시장은 위험성을 인지하고 USDC에서 다각화를 선택했고 3월 금융 위기 이후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30.1% 하락했다. 안타깝게도 중앙화된 스테이블코인을 배척하는 대신 USDC를 거부하고 그 대신 불투명하게 뒷받침되는 스테이블코인인 테더 USDT로 전환한 것은 많은 교훈을 남겼다. USDT 시가총액은 이 사건 이후에만 13.6% 상승했고 테라-루나 붕괴 이전에 기록한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고 있다.


암호화폐는 준비금 투명성이 극도로 제한된 임시방편 해결책을 찾기보다는 진정한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 대안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 압류 저항성이 있고(seizure-resistant,) 준비금이 투명한 온체인 스테이블코인 대안들 대한 접근은 필수적이다.


리플렉서(Reflexer)의 RAI는 이러한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오랫동안 찬사를 받아왔지만, 유일한 담보인 이더리움에 의존하기 때문에 규모가 제한적이고 상환율이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은 채택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달러 대비 가치가 하락하는 스테이블코인을 보유하고자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가까운 시일 내에 옵티미즘에서 배포될 RAI 포크인 HAI는 수익률을 창출하는 스테이블코인을 담보로 받을 수 있도록 해 이전 버전 결함을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상환율을 플러스로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베라체인(Berachain) 허니(HONEY) 스테이블코인은 체인의 고유한 유동성 증명 합의 레이어에 스테이킹된 다양한 자산들 의해 담보화될 예정으로 이는 허니가 내생적(endogenous) 담보화 위험 없이 UST 유형 확장성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롤업들

시퀀서들은(Sequencers) 트랜잭션을 주문하고 L2를 위한 로컬 체인을 구축하며, 이더리움 검증자들과 유사한 역할을 하지만 훨씬 더 무거운 신뢰 가정을 필요로 한다. 대부분 롤업들에서 사용하는 단일 시퀀서 모델은 효율적이고 빠른 트랜잭션 시간과 함께 낮은 가스 수수료를 제공하지만, 단일 주체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활력(liveliness)과 중앙화 측면에서 위협일 수 있다.


알트-L1 체인들은 낮은 수수료와 높은 TPS를 추구하기 위해 가동 시간과 탈중앙화를 희생한다는 이유로 오랫동안 비난을 받아왔다. 현재 이더리움 확장 실험은 비슷한 결과를 낳았으며, 트러스트리스(trustless) 네트워크에서 거래할 때 이점을 훼손하고 있다.


L2BEAT에서 상위 10개 이더리움 확장 솔루션들에 대한 '위험' 분류를 간략히 살펴보면 현재 L2들이 처한 상황과 우리가 바라는 상황 사이에 현격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메티스 안드로메다(Metis Andromeda)와 같은 옵티미즘과 포크들은 결함 증명( fault proofs)이 부족하며, 대표적인 롤업 솔루션인 아비트럼은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주체만 롤업 상태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도록 한다. 무허가 상태 검증이 없으면 악의적인 시퀀서가 잘못된 트랜잭션이 포함할 수 있다.


많은 롤업 컨트랙트들은 업그레이드가 가능한데, 이는 소유자가 코드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다.(아마도 버그를 수정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타깝게도 실전에서 테스트를 거친 코드를 업데이트하면 린디 클록(Lindy clock) 초기화되고 오류가 발생해 롤업 무결성이 손상될 수 있다. 2022년 8월 발생한 2억 달러 규모 노마드 브리지(Nomad bridge) 해킹 사건은 업그레이드형 컨트랙트의 함정을 잘 보여준다.


모든 롤업 로드맵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시퀀서셋 탈중앙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모호한 약속이다. 어려운 부분은 거기에 도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낙관론자들은 "시퀀서 탈중앙화"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지만, "정확한 시퀀서 로테이션(sequencer rotation) 메커니즘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일부 L2 팀들에서는 시퀀서 탈중앙화를 위한 자체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외부 솔루션들도 나오고 있다. 이더리움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가 3월 10일 포럼 게시물에서 강조한 "기반"(based) 시퀀싱이 주목받고 있는 잠재적 솔루션들 중 하나다. 이 모델에서는 L1 블록 제안자(proposer)가 검색자(searchers) 및 빌더들(builders)과 협력해 다음 롤업 블록을 L1 블록 일부로 퍼미션리스 방식으로(permissionlessly) 포함한다.


기반 롤업은 이더리움 생동성과 보안 보장을 이어받지만, L1 트랜잭션 순서와 데이터 가용성에 의해 처리량이 제한된다. 또한, 거래 확인은  체인에서 12초라는 블록 확인 시간으로 인해 제약을 받기 때문에 아비트럼과 같은 L2들에서 트레이더가 누리는 빠른 사전 커밋이 불가능하다.


에스프레소(Espresso), 아스트리아(Astria), 래디우스( Radius)는 롤업이 탈중앙화된 시퀀서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미들웨어 시퀀서 솔루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반 시퀀싱에 존재하는 L1 파이널리티(finality)병목 현상을 우회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혁신적인 프로토콜들 중 일부다.


시퀀서 셋을 탈중앙화하는 것 외에도, 공유 시퀀서 레이어(shared sequencer layer)는 옵티미즘 OP 스택 "슈퍼체인" 비전처럼 네트워크에 옵트인하는 롤업들은 대해 네이티브 크로스 롤업 원자성(atomicity)과 브리징을 약속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유 시퀀서는 구조에 관계없이 모든 옵티미즘 또는 영지식 롤업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솔루션은 곧 아이겐 레이어 재구성을 활용해 자본 효율성과 시퀀서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 안타깝게도 퍼미션리스 증명 제도와 업그레이드 가능한 롤업 계약 제거라는 측면에서 볼 때, 롤업 위험 프로파일을 개선하기 위한 유일한 해결책은 더 많은 시간과 추가 개발이다. 작업 증명과 업그레이드 가능한 컨트랙트 부재는 오늘날 이더리움에서 규모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타협이 필요하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비탈릭은 필요한 "훈련 바퀴"(training wheels)의 양에 따라 롤업을 분류하는 3단계 분류법을 제안했다.  1단계 롤업은 작업 증명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2단계 "훈련 바퀴 없는"(no training wheels) 롤업은 스마트 컨트랙트 업그레이드 기능을 제거한다. 대부분의 롤업들은 0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최근 아비트럼이 1단계 EVM 호환 롤업의 첫 번째 사례가 되었고, 비탈릭은 올해 안에 모든 롤업들이 2단계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하는 등 분명한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치며

여러분이 초기 이더리움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이더리움은 이러한 중앙화 문제로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았을 것이다. 암호화폐는 비허가형 금융 혁신의 최첨단을 달리고 있으며, 우리는 여전히 모든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고 있다. 이상한 신뢰 가정 한두 가지 때문에 주저하지 말라. 이러한 가정이 존재한다면 아직 오지 않은 혁신을 상기시키는 역할 정도로 하라. 이러한 요소들은 제거하면 보안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새로운(그리고 잠재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미래는 밝고 암호화폐 영역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단점에도 불구하고 이 여정을 함께 해주신 여러분께 경의를 표한다. 


작가의 이전글 온디바이스 AI의 가능성과 딜레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