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은 인디포스트에 기고한 미교열 원고의 일부입니다. 기고 전문은 인디포스트(링크)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세기 열강의 식민 지배부터 민주화와 독재 정권까지 필리핀을 관통하는 시간의 줄기에는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다. 필리핀 현대 영화의 선구자로 불리는 라브 디아즈(Lav Diaz) 감독은 지난 역사의 상흔과 동시대 현실 풍경을 긴 러닝타임 속에 천천히 녹여낸다.
감독은 제73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 사자상을 수상한 <떠나간 여인(The Woman Who Left)>을 통해서 자신이 추구하는 영화의 시간을 대중에게 선보였다. 그러나 상업 영화의 압축적 형태와 드라마적 요소가 지배적인 오늘의 풍경 속에서 10시간에 이르는 장대한 서사의 흐름과 내부의 덤덤한 목소리는 이질감과 이로부터 생산되는 지루함 그리고 간혹 이를 넘어서 반항심을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하지만 영화라는 장르와 매체가 우리 삶 속 희락의 순간을 담아내는 훌륭한 거울이라면, 감독이 창조한 서사의 길이는 터무니 없이 짧다. 그러니 천천히 그가 선사하는 새로운 영화의 시간에 몸과 마음을 맡겨보자.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의 다투 파글라스 출신인 그는 마닐라의 모웰펀드 영화원에서 수학했다. 시나리오 작가로서 그는 영화의 세계에 처음 발을 들였다. 영화를 접하기 이전에 그는 경제학을 전공하고, 음악 잡지사에서 기자로 일을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왔다. 이러한 다층적인 경험은 서로 멀찍이 거리를 두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감독은 이를 자신이 창조한 영화의 시간 구조 속에 잘 녹여낸다. 그는 1998년 <콘셉시온 구역의 범죄자(Criminal of Barrion Conception)>을 선보이며 첫 장편 데뷔를 했다.
[1] 필리핀을 담은 시간
첫 장편에서 전통적인 서사극 형식과 비교적 단순한 시간 구성을 선보였던 감독은 필리핀 3부작의 첫번째 작품인 <웨스트 사이드 키드(Batang West Side)>(2001)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자신의 영화 색깔을 드러낸다. 영화는 미국 뉴저지의 한 길거리에서 총격을 당해 사망한 필리핀 10대 소년의 죽음에 관한 수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개인의 죽음을 둘러싼 가족과 주변 친구의 이야기와 모습을 통해서 점차 미국 속 필리핀 커뮤니티 내부의 문제가 드러난다. 개인과 사회의 이면을 향한 감독의 시선과 탐구는 315분에 달하는 러닝 타임 위에서 펼쳐진다.
이어서 두번째로 선보인 <필리핀 가족의 진화(Evolution of A Filipino Family)>(2004)에서 감독은 필리핀의 어두운 현대사를 담았다. 장장 10시간 30분에 달하는 영화는 1971년부터 87년까지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독재 정권 시기를 배경으로 다룬다. 화면 위에는 그치지 않는 혼란과 폭력의 흐름 속에서 점차 무너지는 한 가족의 모습이 보인다. 시골에서 농사를 지어 생계를 꾸려가는 갈라도 가족은 국가와 사회의 혼돈으로부터 물리적인 거리를 유지하는 듯하지만 결국 독재와 폭력의 국가적 분위기에 휩쓸린다. 감독은 영화 속에서 국가와 사회가 가족이라는 한 단계 아래 규모의 공동체에 끼치는 영향 뿐만이 아니라 가족을 구성하는 개개인의 모습을 비추며 국가-사회-가족-개인이라는 구조적 연결고리를 완성시킨다.
필리핀 3부작의 마무리를 장식하는 영화 <에레미아스, 1권(Heremias Book One: The Legend of the Lizard Princess)>(2006)에서도 그는 540분, 즉 9시간에 달하는 시간 속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에레미아스라는 이름을 지닌 한 행상인의 여정과 그 속에서 휘말리게 되는 범죄(혹은 도난) 사건은 영화를 이끌어가는 서사의 중심이다. 이를 두고 주인공이 마주하는 각각의 인물을 통해서 감독은 다시금 필리핀 사회의 어두운 면과 내부에 자리 잡은 불가항력적인 권력 구조의 모습을 스크린 위로 끌어올린다.
[2] 필리핀의 초상과 휴머니즘
단순히 영화의 길이만 길었다면, 언젠가 그 형식적 측면에 있어서 매너리즘이라는 한계를 맞이했을 것이다. 하지만 라브 디아즈의 영화는 품고 있는 그 내용이 영화의 구조와 형식에 아름다움과 깊이를 더한다.
앞서 언급한 필리핀 3부작에서는 감독만의 시간 구조 위에 필리핀 사회의 모습을 펼쳤다면, 2007년 베니스 영화제 오리종티 다큐멘터리부문에서 특별 언급된 <엔칸토에서의 죽음(Death in the Land of Enchantos)>(2007)은 필리핀 사회의 초상 속에서 담긴 휴머니즘을 주목한다.
역시나 540분이라는 거대한 러닝 타임의 구조를 지닌 영화는 필리핀의 시인 벤자민 아구산이 러시아에서 자신의 고향 파당(Padang)을 방문하는 이야기를 담는다. 자연 재해로 변해버린 풍경이지만 곳곳에서 지난 아픈 역사를 마주하는 주인공은 괴로워하고 힘들어한다. 하지만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놓인 두 친구와 자연재해를 극복하려는 이들의 모습을 보며 시대의 아픔을 딛고 생의 의지를 다지는 인간의 모습을 나열한다.
2008년 베니스 영화제 오리종티상을 수상한 <멜랑콜리아(Melancholia)>는 보다 인간 내면의 감정에 더욱 다가간다. 450분이라는 시간 속에서 알베르타, 줄리안 그리고 리나 세 주인공은 각자에게 닥친 지난 과거의 슬픈 경험을 되새김질하며, 그들 앞에 놓인 각기 다른 운명과 정체성을 수용한다. 그 과정 위에서 일어나는 치열한 내적 갈등의 모습은 인간의 행복과 불행 그리고 슬픔의 정체를 밝혀내기 위한 괴롭고 처절한 무언의 싸움이다.
[3] 새로운 형식의 실험
라브 디아즈는 필리핀의 지난 역사와 사회 그리고 정치 상황에 대하여 자신의 미적 언어로 관객에게 끊임없이 이야기를 걸어왔고, 자신이 마련한 대화의 시간으로 초대해왔다. 흑백의 영상과 나른한 서사의 행렬은 그의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한 특유의 미장센이다.
최근 감독은 형식에 변화를 가한 작업 <악마의 계절(Season of the Devil>(2018)을 올해 초 베를린 국제 영화제를 통해서 선보였다. 다큐와 픽션의 혼제된 이미지를 나열하던 감독은 이번에 뮤지컬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영화에 삽입한다. 스크린 속 인물들은 마치 노래하듯이 대사를 읊조리며, 자신의 이야기를 전한다. 이처럼 부드러운 형태의 운율적 대화는 흑백의 영상으로 날카롭게 비춰지는 어두운 시대 배경과 극적인 대조를 이룬다.
영화는 아내의 실종을 밝히기 위한 한 시인의 이야기를 다룬다. 그 뒤로는 필리핀의 어두운 과거사가 펼쳐지는데, 지난 역사에 관한 서술과 동시에 사회 내부에 자리잡았던 폭력의 공포와 한 명의 인간으로서 마주하는 고민을 다층적으로 표현한다.
필리핀의 과거와 오늘이라는 거대한 타임라인을 다루는 라브 디아즈의 태도는 솔직하며, 그의 영화는 진솔하다. 필름의 압도적 길이는 느림의 미학을 실천하며 영화를 대하는 태도의 새로운 담론을 제시한다. 그 특유의 시간적 구조에 담긴 그의 시선은 느리지만 진득한 여운이 남는다.
*이미지 출처
https://www.facebook.com/batangwestside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