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계정'은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를 할 때 정제된 문구 이상을 쓰지 못합니다. SNS지만 국가기관의 이름으로 하는 활동이기 때문에 그렇고, 공식 계정에서 올리는 게시물은 누가 보더라도 문제의 소지가 있으면 안 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게시글에는 정제된 문구 이상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게 단점이지만, 공신력이 있기 때문에 많은 국민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에 비해 제가 하고 있는 '개인 SNS'는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는 없지만, 공식 계정보다는 조금 더 자세한 범죄 수법과 관련 자료를 게시할 수 있습니다.
제가 SNS를 처음 시작했을 때, 그 SNS 업체에 광고료를 내면 게시물을 강제로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시켜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SNS 광고지요. 5만 원, 10만 원을 지불하고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글을 광고했습니다.
하지만 국민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글이라 생각하고사비를 들여 광고를 하였지만, 제 글을 보는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들이 글을 쓰는 제게 아무런 관심이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SNS에서는 그 사람에게 관심이 없으면 아무리 좋은 글을 올리던, 멋진 사진을 올리던, 관심이 없다는 SNS의 생리를 나중에야 알게 되었고,
그래서, 사실 여러 부작용이 있을 줄 알고 있었고 얼굴을 공개하고 외부활동을 하면 안 된다는 '형사들의 룰'을 어기고, 제 형사 이야기와 제 사진, 저희 수사팀 형님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형님들 사진을 찍어 범죄 예방 홍보글 사이에 함께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형님들은 마스크를 쓰고 있었지만, 피싱 예방을 위한 사진이라는 말에 초상권은 뒤로 미뤄두고 모두 흔쾌히 사진을 찍어 주셨습니다.)
모 기자님이 저와 인터뷰를 하시고 예방 기사를 쓰시면서, 제목을 '강력반 관종, 그가 오늘도 SNS에 글을 쓰는 이유'라고 정했다고미리 알려 주셨는데,
그 기사 제목을 들은 제 파트너가 화를 내면서 '그 기자 나쁜 놈이네, 형님, 관종은 대중의 관심을 끌려는 관심 종자라는 부정적인 말이니까, 기사 내용을 떠나 인터뷰는 없던 것으로 하세요'라고도 하였지만,
저는 파트너에게 그 기사 제목으로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 기사가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이 된다면야, 기사 제목이 관종이든 뭐든 무슨 상관이냐고, 형은 아무 상관없다고 얘기를 해 주었습니다.
지금 경찰청에서는 전화금융사기 예방과 척결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 일선 강력팀은 '대면형 피싱' 범죄와 전쟁 중입니다.
제 가족이 저 때문에 범죄자들에게 보복을 당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지금도 하고 있습니다.
제가 직접 구속하여 교도소에 보낸 강력범들 중에는 이미 출소한 자들도 있고, 지금도 수감 생활 중인 자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보이스피싱 범죄자들은 제가 SNS에 올린 예방 글들을 지금도 보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런 범죄자의 보복이 두려웠다면, 저를 공개하고 SNS 활동을 시작하지도 않았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