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따수운 작가 우듬지 Apr 04. 2022

셰프는 왜 푸드트럭을 하게 됐는가. 영화<아메리칸셰프>

맛있고, 감동적이고, 재밌는 최고의 요리 영화 !

 

아메리칸 셰프 (Chef, 2014)
장르 : 코미디, 미국 │ 감독 : 존 파브로
출연 : 존 파브로(칼 캐스퍼), 엠제이 안소니(퍼시), 소피아 베르가라(이네즈) 외
등급 : 15세 관람가 │ 러닝타임 : 114분




주방 뒤 셰프의 삶에 대하여     


요리를 소재로 한 영화와 방송을 좋아한다. 시각에 가장 많이 의존하는 영상에서 요리만큼 다채로운 소재가 있을까. 재료를 썰고, 볶고, 데코레이팅 해서 완벽한 결과물을 플레이팅 하는 것까지 그 과정 하나하나가 볼거리이며 예술인 요리.         

  

<아메리칸 셰프>는 그런 요리를 소재로 한 영화이면서도, 주방 뒤에서 펼쳐지는 셰프의 현실적인 삶을 조명하는 이야기다. 손님의 상에 요리가 도착하기까지 주방 뒤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셰프의 얼마나 많은 손길과 고민이 담겼을까. 더 나아가 그 요리에 담긴 셰프 본인의 철학은 얼만큼이며, 레스토랑 운영자의 자본주의적 개입은 또 얼만큼일까. 궁금했다면, 이 영화를 보면 된다.    

      



리뷰에 민감한 것은 요리도 마찬가지   
  

‘칼 캐스퍼’는 LA의 유명 레스토랑의 헤드 셰프다. 하지만 그의 뒤에는 레스토랑 경영자가 있다. 얼마나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요리를 만들어낼 것인가 보다 얼마나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고 돈을 벌 것인가를 계산하는 경영자. 우리가 맛보는 요리들은 대개, 그 두 가치의 타협점일 것이다.     


하루는 요리 비평 블로거로 유명한 ‘램지 미첼’이 ‘칼’의 레스토랑에 찾아오기로 되어 있었는데. 자부심이 대단한 칼은 그를 만족시키고자 만전을 기하지만, 블로거의 리뷰는 참담하다. ‘칼의 요리는 더 이상 참신함이 없으며 심지어 디저트는 먹기도 힘든 수준’이라는 등 혹평 일색인 것.       

   

열이 제대로 받은 ‘칼’은 블로거에게 다시 찾아올 것을 요구하고 신메뉴 개발에 힘쓰지만, 이를 돈으로 밖에 보지 않은 레스토랑 경영자는 이런 칼을 제재하고 나선다. 결국 재방문한 블로거 ‘램지’에게 다시 똑같은 메뉴를 선보이게 되는 칼. ‘램지’는 그럴 줄 알았다며 비아냥거리고 이 일로 완전히 꼭지가 돌아버린 ‘칼’은 손님들이 보는 앞에서 난동을 부리고 만다. 그리고 찾아온 후폭풍은 실업 그리고 재기 불능.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반응이 중요한 ‘글’을 쓰며 살아가는 입장이다 보니 칼의 마음을 이해해지 않을 수 없었다. 창작자에게 인플루언서의 리뷰는 정말로 중요한 것이다. 특히나 13만 팔로워를 거느린 유명 블로거가 내 작품에 혹평을 한다면 예민함을 넘어서 분통이 터질 수밖에. 하지만 칼이 정말로 억울했던 건, 고용주의 요구를 따르느라 자신의 요리를 제대로 선보일 수조차 없다는 점이었다.          





모든 걸 잃어도 재능은 일으킬 수 있다    


블로거의 영향력은 막강했고, 더 이상 칼을 셰프로 써주는 곳은 없었다. 하지만 망연자실하던 것도 잠시, 칼은 낡은 트럭을 개조해 푸드트럭을 하기로 결심한다. 메뉴는 언젠가 어린 아들과 함께 맛있게 먹었던 쿠바식 샌드위치. 땡전 한 푼 남아있지 않는 그였으나, 재능은 사라지지 않는 법. 그를 돕겠다는 직원 한 명과 아들의 도움을 받아 미국 전역을 돌며 샌드위치를 팔기로 한다. 믿을 것은 오로지 칼의 요리 실력뿐.                     


고기와 햄 치즈를 잔뜩 넣은 빵을 버터를 바른 플란차에 구워내는 일명 ‘쿠바노 샌드위치’는 칼의 요리 솜씨, 그리고 어린 아들의 SNS 마케팅 실력으로 금세 유명세를 얻는다.         

  

아이러니한 일이기도 했다. 풍부한 자본 아래에 고용되어 있을 때는 하지 못하던 ‘정말 만들고 싶은 것’을, 오히려 낡아 빠진 길거리 트럭에서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더구나 헤드 셰프로 일 할 때는 일에 치여 아빠 노릇도 제대로 못하던 칼이었지만, 어린 아들은 아빠와 함께할 수 있어 낡은 트럭에서 지내는 것조차 너무도 행복해한다.        

   



창작의 순수한 기쁨

셰프로서 정점에 있던 한 남자가, 바닥으로 추락했다가 다시 오로지 실력 하나로 자리를 되찾는, 그리고 아들과의 우정을 쌓아나가는 훈훈한 영화로 마무리되나 싶었을 무렵. 칼을 역경으로 몰아넣었던 그 악평 블로거 ‘램지’가 트럭으로 찾아온다. 또 무슨 혹평을 늘어놓으려나 싶어 내쫓으려 했으나, 그가 하는 말은 의외의 것이다. 나는 원래 당신의 팬이었으며, 당신이 그 레스토랑에서 하기 싫은 요리를 만들 때보다 지금 이 트럭에서 만드는 샌드위치가 훨씬 더 맛있다고. 내 블로거를 팔아서 번 돈으로 땅을 샀는데, 거기서 당신이 원하는 메뉴라면 무엇이든 좋으니 맘껏 만들며 운영할 생각이 있겠느냐고.           

    

창작자의 삶은 의외로 단순한지도 모른다. 좋아하는 것을 만드는 것. 그 이상의 재료는 사실 필요치 않은 것이다. 자본이 붙으면 자본이 원하는 것을 해야 하는 순간이 온다. 글 쓰는 자는 출판사가 원하는 것을 쓰게 되고, 셰프는 고용주가 원하는 것을 요리하게 된다. 물론 자본이나 대중의 기호를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을 터다. 사랑을 받아야만 작품에 의미가 깃드는 것이니까. 영화 <아메리칸 셰프>는 그 사이에서 창작의 기쁨을 훼손하지 않고 지켜나가는 과정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준다.           




누구를 위한 창작을 할 것인가. 이 주제가 너무 심오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사실 영화는 가볍고 재밌다. 이 영화가 끝나고 나면 제일 먼저 드는 생각은, 쿠바식 샌드위치가 미친 듯이 먹고 싶다는 거다. 이처럼 창작의 기쁨은 그리 무거운 게 아닐지도 모른다. 누군가의 구미를 당기게 한다면, 그것이 곧 창작의 기쁨이다.


          





인스타그램 매거진 ⓒ주간우두미 77호


해당 포스트는 인스타그램 매거진 <주간우두미>의 77호의 일부입니다. 매주 무료로 발행되는 『주간우두미』는 작가의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woodumi 




글쓰는 우두미

2022 주관적인 평론 ⓒ  All rights reserved.

인스타그램 @woodumi  

블로그 blog.naver.com/deumji    

매거진의 이전글 크리스틴 스튜어트 버젼의 다이애나는? 영화 <스펜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