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고래(2004)」, 「고령화가족(2010)」 「나의 삼촌 브루스 리(2012)」 천명관 작가의 감독 데뷔작이다. 동료 작가 김언수의 동명소설을 감독이 직접 각색했으며, 가상의 지명인 구암을 포함해 거의 대부분의 설정을 고스란히 가져왔다. 600쪽에 달하는 소설답게 손영감이 지배하는 ‘구암’을 노리는 영도파와의 패권을 다루는 이야기는 제법 탄탄하다.
데뷔 감독답지 않게 자의식을 억누르며 장르의 규칙을 엄수한다. 그러나 건달 생활에 염증을 느끼는 주인공 희수(정우), 소꿉친구이자 영도파 에이스‘철진`(지승현), 구암을 관리하는 ’손영감(김갑수)’, 마약밀수꾼인 미친개 ’용강(최무성)‘, 소꿉친구 ’인숙(윤지혜)‘, 그녀의 아들이자 건달계의 자라나는 새싹 아미(이홍내) 모두 좀처럼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다. 영화는 맥락을 서술하거나 인물의 동기를 설득하려는 의지가 없이 사건들이 휘몰아친다.
마지막 내레이션에 다다르면 희수의 목적이 이해가지만, 영화는 인물의 결단이나 사건의 전개를 촘촘하게 그리지 않는다. 그저 남자들이 생계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주제를 다뤘다는 점에서 영화는 제임스 브라운의 노래<It's A Man's Man's Man's World>에서 제목을 따온 천명관 감독의 소설 <이것이 남자의 세상이다(2016)>과 궤를 함께 한다.
2. 그들만의 축제
이들이 '전쟁'이라 부르는 목숨 건 칼부림이 오가는 광경은 범죄가 아닌가? 생계를 위해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을 다뤄도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주제가 전달되지는 않을까? 조폭영화이니까 잔혹한 폭력과 허무한 죽음을 다뤄야 한다고 반문할지 모르겠다.
그러고 보니 등장인물 모두 죄책감이나 뚜렷한 소신이 없다. 그저 목적만 있다. 나와 조직의 이익을 위해 칼 한 자루를 가지고 생명을 빼앗기 위해 찌르고 패고, 바다에 집어던진다.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이렇지 않을까 싶다. ‘1993년’이라는 구체적인 연도를 몰라도 영화를 이해하는 데 아무런 지장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역사와 사회에 대한 맥락을 생략했기 때문이다.
원래 갱스터 장르나 범죄영화는 합법적인 방법으로 신분상승을 할 수 없는 서구 사회의 모순에서 비롯되었다. 우리나라도 사다리는 걷어차였고, N포 세대가 등장하고 양극화와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묘사가 없으니 이 칼부림에 공감하기 힘든 게 당연하다.
★★ (2.0/5.0)
Good : 배우들의 찰진 사투리 연기
Caution : 의미도 교훈도 없는 칼부림
■천 감독은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특별한 소명 의식은 없지만, 제가 아는 사회의 하위 주체 사람들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은 바람입니다.”라며 극도의 변두리, 밑바닥인 90년대 부산 구암의 모습이 마음에 들어 영화화했다고 밝히고 있다.
■“흔히들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고 하지만 저는 인생이 길고 예술은 짧은 것 같다. “젊은 시절인 80년대 초반만 해도 디스코가 온 세계를 뒤집었고, 누구나 디스코를 해야 할 것 같았지만 얼마 안 돼서 유행은 끝나고, 지금은 디스코가 일종의 클래식으로 재평가를 받죠. 90년대 헤비메탈이나 얼터너티브 록, 브릿팝 같은 장르도 그렇게 지나갔고 저는 힙합의 시대를 살죠. 하지만 그런 예술의 유행 속에서도 저희는 여전히 살아서 음악을 듣고 있어요. 그러니 예술은 짧고 인생은 길지 않을까요.”라는 그의인터뷰중 이 대목이 가장 와닿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