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이티 Feb 17. 2022

돈에 관련한 데이터 모음.zip

금융업종 마케터라면 꼭 살펴봐야 할 돈에 대한 트렌드 데이터

땡그랑 한 푼, 땡그랑 두 푼 ♬ 누구나 한 번쯤 돼지 저금통을 써본 적이 있으실 텐데요.

돼지저금통에 모았던, 우리의 인생에서 항상 필요한 그것! 돈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또한 올해 다이티 구독자분들의 연봉/주식/코인/저축이율이 많이 많이 오르길 바랍니다 !



이번 다이티 콘텐츠에 담긴 데이터는요!

· 저축과 대출 키워드를 언제, 왜 검색하는지 알아봤어요.
· 인터넷 전문은행과 시중은행의 키워드와 앱 설치자를 분석했어요.
· 펀드/연금/증권 등의 관심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확인했어요.



2021년 가구별 평균 자산은 5억!


통계청에서 조사한 2021년 가계금융복지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가구 평균 자산은 약 5억, 평균 부채는 약 9천만 원으로 약 4.1억의 순자산이 있다고 해요. 자산 중 금융 자산은 약 1.1억, 실물 자산은 약 3.9억이고요.


가구주의 연령대로 평균 순자산을 보면 50대가 약 4.6억으로 가장 높았고 전 연령대가 2020년에 비해 10% 이상 증가했어요. 순 자산이 10억원 이상인 가구는 얼마나 될까요? 약 9.4%로, 우리집의 순자산이 10억 원 이상이라면 상위 10%인거죠. (부럽습니다)

* 통계청, 2021년 가계 금융·복지조사 결과(2021년 12월)



저축이냐 대출이냐! 관심은 점심 시간으로 전후로 바뀐다.


'대출'이 포함된 키워드와 '예금' 또는 '적금'이 포함된 키워드의 탐색 시간을 확인했어요.


'저축(예·적금)' 탐색이 가장 많은 시간대는 점심시간 전인 11시로 나타났고, '대출' 탐색이 가장 많은 시간대는 오후 1시로 나타나 점심시간 앞뒤로 검색이 가장 활발했는데요. 직장인들은 업무 때문에 점심시간에 은행 업무를 보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시간대에 탐색이 많은 것으로 보여요.


한 가지 눈여겨볼 점은 '대출' 탐색이 하락하는 밤 21~22시에 '저축' 탐색은 상승한다는 점인데요. 이 시간대에 예금 상품의 '금리'를 비교하고 확인하는 키워드가 상위에 있어, 여유 있게 여러 은행의 상품을 확인하는 활동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내 업종에서는 어느 시간대에 방문이 많을까?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해보기


* Dighty, 대출과 저금 키워드 수집 수 약 660만 분석(2020/1/1~2022/1/25)



자동차, 주택, 아파트를 걸고.


'대출'과 '저축'의 유입 상위 키워드를 살펴봤습니다. 대출은 '무직자 대출'의 유입이 가장 많았는데요. 그 밖에도 '자동차·주택·아파트'와 같은 담보대출과 '소액·모바일'대출이 상위에 올랐어요.


저축 키워드의 대부분은 '금리' 또는 '이자'와 연관된 키워드였어요. 금리가 상승하고 있다고 하지만, 이자율이 아직도 낮은 편이라 조금이라도 더 이자가 많은 상품을 많이 찾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통계청의 <2021년 가계 복지 조사>를 보면,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방법으로 '예금(83%)'이 '주식(13%)' 보다 높았는데요. 2022년은 증권 시장이 좋지 않아 예·적금을 향한 관심은 더 커질 것 같아요.


* Dighty, 대출과 저축 키워드 수집 수 약 660만 분석(2020/1/1~2022/1/25)



은행을 검색하는 이유는!?


은행별 키워드 유입수는 1위 '국민은행', 2위 '우리은행', 3위는 '신한은행'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카오뱅크'의 유입수는 8위로 높지 않았는데요. 은행을 검색하는 이유 중에는 영업시간을 확인하거나 공인인증 센터를 방문하기 위함이 있는데, 카카오 뱅크는 오프라인 지점이 없고 공동 인증서를 쓰고 있어 인터넷 탐색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여요.


각 은행별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는 아래에서 더 살펴봤습니다.


전국적인 점포망을 가지고 있는 시중은행(국민/우리/신한/하나)은 '인터넷뱅킹'과 '공인인증센터'가 공통적으로 많이 검색됐습니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은 2001년 '한국주택은행'과 통합되었기 때문에 부동산 관련 정보를 함께 검색하는 것을 알 수 있고요, '우리은행', '신한은행'은 '저축은행'의 탐색이 많았으며 상품으로는 우리은행의 '비상금 대출'과 신한저축은행의 '햇살론'이 순위에 올랐습니다. '하나은행'은 2021년 한시적으로 판매한 5% 금리의 '하나더적금'이, '카카오뱅크'는 '대출'과 '마이너스 통장' 상품이 순위에 올랐어요. 


* Dighty, 은행 키워드 수집 수 약 120만 분석(2020/1/1~2022/1/25)



돈 굴리는 재테크 ~~


최근 2년간의 재테크 금융 상품의 월 키워드 유입 추이를 살펴보았습니다. 가장 검색량이 많은 '펀드' 키워드는 2020년 상반기에는 검색량이 많았으나, 주식과 비트코인의 열풍에 하반기부터는 절반 밑으로 하락한 추이가 나타났습니다. 주가 연계 상품인 'ELS'와 'ELF' 역시 2020년보다 2021년에 유입량이 하락해, 직접 투자가 더 뜨거웠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새해, 월급쟁이라면 기대하는 연말정산 때문에 세금 혜택을 받는 금융상품에도 관심이 많은데요. 세액공제 혜택이 있는 IRP는 매년 12월마다 평소보다 약 2배 가까이 상승했고요, 비과세 계좌인 'ISA'에는 2021년 1분기에 관심이 높았습니다. 


시즌별로 어떤 키워드가 상승하는지 업종별로 데이터 확인하기


* Dighty, 금융 상품 키워드 수집 수 약 30만 분석(2020/1/1~2021/12/31)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다양한 금융 상품을 운용할 수 있는 계좌로 비과세 혜택이 있음

ELS(주가연계증권) : 주식지표, 지수에 수익률이 정해지는 파생상품으로, 직접투자보다 리스크가 적음

IRP(개인형퇴직연금) : 근로자가 재직 중 가입할 수 있는 퇴직연금상품으로 세액공제 혜택이 있음

ELF(주가연계펀드) : ELS 처럼 주가지표, 지수에 수익률이 정해지는 펀드 형태의 상품



모바일의 대세는 역시나 예상대로


금융 앱 설치 수가 많은 상위 13개 앱이에요. 예상대로 '토스'와 '카카오뱅크'가 1위와 2위를 차지했습니다. 시중 은행으로는 'KB국민은행'과 'NH스마트뱅킹'이 3, 4위로 뒤를 이었으며, 인터넷 은행인 '케이뱅크'는 5위에 올라 온라인 전용 서비스가 앱에서 강세를 보였어요. 


주요 앱의 남녀 비율도 함께 보실 수 있는데요. 남성 비중이 가장 많은 은행은 기업은행 앱인 'i-ONE Bank'로 약 62%가 남성이었으며, '케이뱅크'도 61%로 높은 편이었습니다. 여성 비중이 가장 큰 앱은 농협의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NH 콕뱅크'로 58%로 나타났고, 그 외의 주요 금융 앱은 남성이 더 많았습니다. 


인터넷 은행 앱 또는 경쟁 금융 앱을 설치한 오디언스에게 광고하기


* Dighty (Android, 2022년 1월)



은행별 주요 고객층 이렇게 달라


앱 설치 수 상위 6개 앱의 남녀 연령별 비율을 더 자세히 확인했어요. 친숙한 캐릭터를 금융 상품에도 많이 활용하고 있는 '카카오뱅크'는 10대부터 30대까지의 비중이 컸는데요,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45%로 주요 은행 중에서도 가장 컸습니다. (그다음으로 높은 앱은 토스로 41% )


'KB국민은행·NH스마트뱅킹·신한SOL'은 40~50대의 비중이 높았으며,  'NH스마트뱅킹'은 이 연령층에서 남성보다 여성 이용자가 더 많았어요. 남성 이용자가 많은 '케이뱅크'는 50대 남성 비율도 다른 은행 앱보다 높았는데, 시중은행보다 낮은 대출 금리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어요. 


* Dighty (Android, 2022년 1월), 전체 은행앱 내 성별·연령 비율 중 가장 높은 수치 표시



단순한게 좋아


2021년에 설치 수가 가장 많이 상승한 앱은 2가지로 나뉘어요. 첫째는 '인터넷 전용', 둘째는 '원앱'인데요.


'인터넷 전용' 은행은 여러 지점이 있는 시중 은행보다 예·적금 이자율은 높고, 대출 금리는 낮다는 인식이 있죠. 케이뱅크와 토스가 이 부분을 잘 캐치해 작년에 크게 성장했습니다. '케이뱅크'는 업비트 계좌 제공뿐 아니라 다양한 예금과 대출 상품을 선보였고, 2021년 10월에 출범한 '토스뱅킹'은 금리 차별화와 사전 신청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했어요.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최근 1~2년 동안 여러 개의 금융 앱을 '통합'하면서, 메인 앱인 '하나원큐'와 '우리WON뱅크'가 2021년에도 많이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어요. 카뱅·토뱅·케뱅과 같은 인터넷 전문 은행에 맞서기 위해, 기존 은행들은 원앱 전략과 꽃, 음식 등의 배달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고 해요.


* Dighty (Android, 2021년 1월과 2022년 1월 데이터를 비교한 수치)




데이터를 통한 인사이트를 꾸준히 받아보고 싶다면
다이티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


매거진의 이전글 2022년 2월 설치수 상승앱 차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