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기획자 빅 Dec 30. 2020

2021년 기준 중위소득 정의 및 소득별 기준표 정리


주택청약이나 정부에서 내놓은 각종 복지나 정책을 보면 기준 중위소득 100% 이내 이런 말들이 많이 나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신혼희망타운, 신혼부부 전세대출, 주택청약 등의 정보에 관심이 많은데, 해당 공고에 항상 나오는 사항은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기준 중위소득이 무엇인지? 과연 나는 기준 중위소득 몇 %에 해당하는지 등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 소득의 중위값을 말합니다.(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 제11호).


쉽게 말하자면 대한민국 국민의 총 가구의 소득을 조사하여 오름차순으로 배열한 뒤 정확히 중앙에 있는 값이 바로 중위소득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고용노동부 또는 보건복지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빠른 확인을 위해서는 나무위키를 통해서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2021년 기준 중위소득


아직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는 업데이트가 되지 않았으나 2021년도 기준을 추가하였습니다.


위에 나와있는 표의 기준은 각 세대의 가족 구성원별로 소득을 합산했을 때 100%가 되는 기준입니다.


위 표를 통해서는 자신이 기준 중위소득(100%)보다 위에 있는지? 아래 있는지?를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본인이 결혼을 했고 자녀가 1명 있다면 3인 부분을 확인하시면 되며 가족 구성원의 모든 소득을 합친 금액과 표에 적혀있는 기준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2021년 중위소득 퍼센트


위에서 설명드렸던 기준 중위소득(100%)을 기준으로 ±50%까지 표기를 하였습니다.



예시)

신혼희망타운의 경우 신청자와 배우자의 합산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130%까지라고 설정되어 있습니다.

신혼부부에게는 자녀가 없으며 맞벌이는 하는 경우 신랑/신부 소득을 더한 금액이 만약 4,600,000원이라고 할 때, 위의 표에서 2인 열에서 금액이 포함되는 150% 부분을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단, 위의 소득은 세전 소득이라고 합니다...




위 내용 참고하셔서 정부지원이나 각종 사업 참여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D

감사합니다!




※ 기획업무와 기획자 관련되어 컨설팅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brunch.co.kr/@dreamit/33


※ 기획업무를 하면서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카카오 오픈채팅방에 들어오셔서 물어보시면 됩니다.


https://open.kakao.com/o/g4uIw5Kc


※ 각종 기획문서(화면설계서, 메뉴구조도 등)와 취업/이직문서(경력기술서, 포트폴리오 등)는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를 통해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_^


https://m.blog.naver.com/dreamiter


https://dreamiter.tistory.com/


        

작가의 이전글 이미지 배경 제거(투명) 하는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