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스> 아담 맥케이 2018
<앵커맨>, <스텝 브라더스> 등의 코미디 영화에서 <빅 쇼트>를 통해 블랙코미디를 시도했던 아담 맥케이 감독이 조지 W. 부시 시절의 부통령 딕 체니를 다룬 영화 <바이스>로 돌아왔다. <바이스>는 전작과 유사한 전략을 취한다. 화자의 내레이션을 통해 딕 체니(크리스탄 베일)의 일생이 전개되고, 린 체니(에이미 아담스), 조지 W. 부시(샘 록웰), 도널드 럼즈펠드(스티브 카렐) 등의 주변 인물들이 등장한다. 종종 광범위한 대중문화의 인용과 실제 뉴스 푸티지에 배우들을 합성한 영상, 심지어 페이크 엔드크레딧도 등장하고, <빅 쇼트>에서처럼 제4의 벽을 부수고 관객에게 말을 거는 장면도 등장한다.
때문에 <바이스>는 종종 마이클 무어의 영화 작법을 극영화에 적용한 것만 같다. 마이클 무어의 영화는 마이클 무어 본인이 대상에 저돌적으로 돌진하며 수많은 의혹과 팩트를 뒤섞고, 대중문화를 폭넓게 인용하며 설명을 도우며 형성되는 일종의 프로파간다의 형식을 띤다. <바이스>도 유사하다. “우리도 존나 열심히 만들긴 했습니다”라는 오프닝의 자막과 함께 시작되어 영화 내내 쏟아지는 정보들은 132분의 러닝타임 동안 모두 소화해내기 어려운 수준이다. 그렇기 때문인지, ‘미국 보수의 심장’이라고도 할 수 있는 딕 체니에게 보내는 조소가 종종 과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물론 이라크 전쟁과 ISIS탄생의 원흉인 딕 체니를 비판한다는 중심점은 놓치지 않는다. 그러나 그의 행적을 낱낱이 풀어낸다고 하기엔, 극 중 딕 체니가 확실하지 않은 정보를 진짜인 것처럼 사용한 것처럼, 영화 또한 확정적이지 않은 정보를 극에 도입한다는 인상을 준다. 자신만만한 척하며 관객에게 블러핑을 시도하는 오프닝 자막과 더불어, 극의 화자인 커트(제시 플레먼트)가 극에서 벗어난 전지적 시점의 인물이라는 점 또한 이러한 의심을 품게 한다.
한국이든 미국이든 “팩트로 승부하자!”라는 구호는 보수집단의 구호처럼 여겨진다. <바이스>는 “그렇다면 팩트로 승부해줄게!”라고 자신만만하게 선언하지만 어딘가 완벽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나오미 왓츠가 카메오 출연한 폭스 뉴스 영상이나 배우들이 합성된 과거 뉴스 영상 등은 영화 스스로가 정보들을 조직하는 방식을 드러내 보이기 때문에 도리어 결점으로 작용한다. 여러 시간대를 겹치는 교차편집들은 많은 시간과 인물이 엮여 있다는 ‘익숙한’ 사실을 너무나도 비장하게 전달하며 피로감을 준다. 이라크나 캄보디아 폭격 장면을 묘사한 장면은 “굳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빈번하게 등장하고, 오로지 딕 체니를 비판하기 위해 사용되어 아쉽기만 하다. 딕 체니를 중심으로 삼았지만 너무 많은 가지로 뻗어 나가는 영화는 결국 <화씨 9/11>, <제로 다크 서티>, <W.> 등 해당 시기를 다룬 여러 영화들을 엮어 놓은 인상에 그치고 만다. 오프닝의 자막대로 “존나 열심히 만들었”지만, 잘 정리한 것 이상으로 뻗어 나가지 못한다. <바이스>는 이 이야기에 이러한 화법에서 마이클 무어를 능가할 수 없다는 반증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