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공익허브 Mar 18. 2024

'인공지능' 주가 올랐다? 임금은 내려간다

미션54. 인공지능 시대의 불평등에 대비하라

이미지: 셔터스톡(로열티프리)



요새 AI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들리죠? 특히 주식시장에서 AI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나타나고 있어요. 미국의 반도체 기업인 AMD, 엔비디아,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등 AI와 관련 있는 기업들의 주가가 대폭 올랐거든요. 인공지능이 우리사회에 가져올 변화가 기대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걱정도 돼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모든 사람의 삶의 질이 올라가는 게 아니라, 특정 집단의 삶이 파괴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신약 개발’도 할 수 있는 AI, 지식 노동자 대체한다


AI의 등장으로 생계가 위협받게 될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자동화로 인해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업무를 기계가 대체하게 되었을 때와는 다르게, 인공지능은 주로 고학력·고숙련 노동자의 업무를 대체하게 된다고 해요. AI가 인지적·분석적이고 비반복적인 업무를 대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죠. IMF의 보고서에 따르면 선진국에서는 일자리의 60%정도가 인공지능의 영향에 노출될 것이라고 합니다. 이 중 절반의 일자리는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되어 노동자의 임금이 떨어지거나 일자리 자체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돼요. 얼마전 한국은행에서 나온 보고서에는 우리나라의 전체 일자리의 12%가 AI에 의해 대체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한국은행. 2023. [AI와 노동시장 변화]. BOK 이슈노트.




이미 대규모 해고 진행 중


예측만 나오고 있는 게 아니라 현실에서 AI로 인한 일자리 타격이 벌써 발견되고 있어요. MIT 교수인 대런 애쓰모글루는 “인공지능이 약속한 성취의 대부분을 달성하지 못했는데도 노동자 수요는 줄이고 있다. 현재 경로대로 AI가 발달한다면 많은 사람의 임금을 한 층 더 내릴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구글은 작년 말 인공지능 투자를 위해 인력 감축을 하겠다고 선언했죠. 아마존, 듀오링고 등 수많은 테크 기업들도 인공지능을 내세우며 구조조정을 발표했고 대규모 해고가 이어지고 있고요. ChatGPT가 도입된 이후 단기적으로 지식 노동자의 고용과 임금이 감소했다는 연구도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공지능으로 인해 대표적으로 콜센터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어요. 채권자 대신 채무자에게서 빚을 받아내는 채권 추심 전화 업무는 이미 AI가 60%를 차지한대요.  




이미지 출처: 한겨레21 (https://h21.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5109.html)





인공지능이 소득불평등 강화하나


이러한 변화는 양극화를 더 심화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국제결제은행(BIS)은 86개국의 사례를 조사하여 인공지능 투자와 소득불평등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실증적 연구 결과를 제시했어요. 인공지능 투자가 높을수록 상위 10%의 소득점유율이 높았고, 하위10%와 중간계층의 소득점유율이 낮았어요. 또 인공지능 투자가 클수록 노동소득분배율은 낮았죠. 노동소득분배율은 한 국가에서 발생한 소득이 노동을 대가로 가계에 분배되는 정도를 나타내요.  




자본가를 위한 인공지능?모두를 위한 인공지능으로


GhatGPT를 만든 OpenAI의 최고경영자 샘 올트먼은 "범용인공지능이 인류 전체에게 이익을 줄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데요, AI로 인해 인류 모두가 이익을 보려면 어떤 것이 필요할까요? 여러 경제학자들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경로가 고용대체형 혁신이 아닌 '고용보완형 혁신'이어야 한다고 주장해요. 고용을 늘리면서 인공지능으로 기술적 혁신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는 거예요. 이것이 가능하려면 "실리콘 밸리 기업가들에게서 마이크를 빼앗고, 시민들이 인공지능과 관련된 담론을 형성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이 노동 전문가들의 주장입니다.  




AI 발전은 동시에 위기, 사회안전망 강화해야


사람마다 시대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여건이 다르니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유럽에선 AI 시대에 필요한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과, 기본소득과 같은 제도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어요. 인공지능으로 경제적·사회적 성장을 촉진하면서도 기술이 불러올 여러 위험에서 사회를 보호하는 제도를 갖추려고 입법기관들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도 기술의 발전은 누군가의 생계를 위협하는 동시에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내왔습니다. AI의 발전도 마찬가지일 텐데요, 지금은 AI가 만들어 낼 새로운 기회에 대한 기대감으로 한껏 부풀어있는 것 같아요. 그러나 반대편에서 벌어질 부작용에 대해서도 대비해야 할 때 입니다. AI의 발전으로 인해 소외되는 사람들이 생기지 않도록, 양극화가 더 심해지지 않도록 사회안전망을 더욱 단단히 만들어야 합니다.   






[참고문헌] 

한국은행. 2023. [AI와 노동시장 변화]. BOK 이슈노트. 

KDI. 2024. [AI와 미래]. 나라경제 Vol.400. 

한겨레21. 24-02-17. [AI, 사람의 업무를 ‘돕던 시대’에서 ‘대신하는 시대’로]. 

한겨레21. 24-02-017. [AI, ‘인간 중심 혁신’으로 방향을 틀어라]. 

한겨레. 24-01-16. [AI 일자리 침공, 선진국 고학력 노동자부터 당한다…IMF 보고서]. 

한겨레. 24-01-25. [“인간, 그러다가 밥줄 끊긴다”]. 휘클리 뉴스레터 139호.

매거진의 이전글 ‘금사과’로 돈 버는 건 농민이 아니라 대기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