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일글
산미가 있는 원두가 라떼와 어울린다는 말을 어디서 듣고서는, 라떼를 시킬 때마다 그 말이 떠오릅니다. 산미를 즐겨하지 않았던 저로서는 그래서 라떼가 더 당기지 않았던 것도 같습니다. 요즘 산미 있는 원두, 독특한 향이 나는 산뜻한 원두에 눈을 뜨면서 ‘라떼엔 산미가 있는 원두가 어울리지’라는 말이 더 궁금해졌습니다. 퇴근하고 집으로 가는 길, 집 근처에 생긴 카페에 들어가 원두 설명을 듣게 됐는데요. 나서서 원두에 대해 설명해 주는 친절함과 원두에 대한 진심이 제 궁금증이 바깥으로 나올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산미와 관련한 이야기를 카페 사장님 혹은 원두를 잘하는 사람에게 오히려 묻지 못했거든요. ‘커피 좋아한다더니 아무것도 모르는구나’는 생각을 상대에게 심어주고 싶지 않아서였을 겁니다. 라떼를 시킬 때 원두를 고를 때마다 산미 있는 걸 시켜야 하나 고민하는 것도 그런 맥락이었겠지요. (물론 그럼에도 산미 없는 원두만을 택했지만요.) 원두에 대해 뭐 하나라도 알려주고 싶은 마음을 가진 카페 사장님에게 절로 용기가 나 물어봤습니다. “산미 있는 원두가 라떼랑 잘 어울린다던데, 그게 커피의 법칙 같은 건가요?”
산미 있는 원두가 우유와 섞이면 밀크티처럼 풍부한 향과 맛이 난다고 합니다. 산미 적은 원두를 라떼로 만들면 넛트라떼처럼 고소한 맛이 난다고요. 실제로 저는 넛트 맛 나는 라떼를 좋아하는 편이니, 라떼를 주문할 때 산미 적은 원두를 선택하는 것이 아주 틀린 것이 아니었던 거지요. “어쩌면 취향 차이일 수도 있겠네요?”라고 다시 용기 내어 한 질문에 사장님은 “커피 맛을 다양하게 경험하는 차이라고 할 수 있죠”라고 하시더라고요. 커피 맛과 향을 경험하게 되면 그 맛과 향이 머릿속에 남게 되고, 머릿속에 남은 커피 향과 맛이 데이터로 쌓이면서 ‘그 날 그 날 원하는 맛 라떼’를 주문하게 되는 거더라고요. 맛의 스펙트럼이 넓어진다고 할까요? 고소한 커피가 좋아 산미 없는 원두만 즐겨 마시다가 산미 있는 원두를 접해보면서 맛의 스펙트럼이 넓어지고, 그 때문에 ‘산미 있는 원두로 만든 라떼를 선택하는 사람’이 커피를 잘 아는 사람이라 여겨지는 듯싶습니다.
취향에는 옳고 그른 것이 없지요. 알면서도 원두를 고를 때 ‘적절한 산미와 적절한 고소함이 섞이면 좋겠다’는 주문을 처음 말할 땐 ‘커피 맛 모르는 사람이구나’라고 여겨질까 움츠러들었습니다. ‘산미도 좋아하고 고소함도 좋아한다고 이야기하는 건 커피를 아예 모르는 거다’라는 말을 또 어디서 들었거든요. 하지만 오늘, 카페 사장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취향은 그에 대한 경험을 쌓아 그 스펙트럼을 넓혔을 때 자연스럽게 몸에 배는 일이겠다 싶었습니다. 실제로 저는 산미도 고소함도 놓치기 싫은, 그 어정쩡한 맛을 정말로 좋아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적절한 산미와 적절한 고소함이 섞인 커피’를 취향으로 가진 사람이요.
하루일글 2월 29일 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