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시티
“갤럭시S8 무료 구매 찬스"
2017년 6월28일 서울 신촌 연세로를 걷던 중 이런 플래카드를 발견했다. 1년밖에 쓰지 않은 휴대전화가 갑자기 고장나 새로 휴대전화를 구입해야겠다고 생각했던 때여서 그런지 눈에 확 들어오는 메시지였다. 그런데 옆의 문구를 읽어보니 “무료 구매"에 대한 정의가 조금 생소했다. 문구는 이랬다. “제휴카드 혜택+구매 18개월 사용 후 기기 반납시"
사실상 ‘임대폰’인 셈이었다. 그런데 통신사는 이를 “무료 구매”라고 표현했다. 많은 사람들 역시 커다란 거부감을 갖지 않는 듯 하다. 우리는 이미 이런 행위를 반복해 왔기 때문이다. 휴대전화를 구매했다가 2년 정도 쓰고 난 뒤면 그 휴대전화를 팔아버리고, 다시 새 휴대전화를 구매하는 익숙한 패턴이 그것이다. “갤럭시S8 무료 구매 찬스"는 이 같은 행위를 조금 더 극적으로 포장해 상품화했을 뿐이다. 이것은 소유인가, 임대인가, 아니면 공유일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이미 공유경제의 영역 속에 편입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유경제의 정의를 알든 모르든, 최근의 경제현상에 대해 ‘공유'라는 표현을 쓰는 것에 대해 동의하든 않든 간에, 이른바 공유경제는 이미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셈이다.
디지털테크 분야 분석회사인 주니퍼 리서치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공유경제의 시장규모는 2017년 기준 186억 달러(21조1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규모는 에어비앤비나 우버와 같은 공유경제 플랫폼 사업자의 매출을 토대로 분석됐다. 주니퍼 리서치에 따르면, 에어비앤비 등 플랫폼 사업자를 기반으로 한 공유경제 규모는 2022년 402억 달러(45조6천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공유경제는 점점 더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 중 첫 번째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제질서로 확립된 저성장이다. 저성장 시대에는 무언가를 새로 생산해 봤자 그것을 소비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사람들이 부족하다. 그러다 보니 기존에 이미 있는 것을 다시 활용하려는 동인이 생겼다. 공유경제의 핵심은 바로 여기에 있다. 앞으로 이어지는 글에서 바로 이 같은 측면이 반복해 등장할 것이다.
여기에 2007년 애플 아이폰의 등장 이후 스마트폰이 확산되면서 온라인 접근성이 대폭 확대되었고, 기존 자원의 활용도가 높아졌다. ‘공유경제: 사람들은 왜 협력적 소비에 참여하는가’라는 제목의 논문은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이 이른바 협력적 소비와 개인간(Peer-to-Peer) 거래를 확산시킨다”고 설명했다. 협력적 소비와 개인간 거래는 공유경제의 핵심 키워드다. 스마트폰은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쉽게 공유경제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게 해줬다.
공유경제의 확산에는 문화적 요인도 빼놓을 수 없다. 새로운 문화는 밀레니얼 세대(1980~2000년생)가 주도하고 있다. 밀레니얼은 소유보다는 경험과 이벤트, 네트워크를 중시한다. 스트리밍으로 음악을 듣고 영화를 본다. 집을 살 수 있는 자본도 없거니와 그럴 필요성도 과거 세대보다는 덜 느끼며 만남을 중시한다. 세계적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밀레니얼은 다른 어떤 세대보다 더 건강과 환경을 중시하는 세대이기도 하다. 기존 자원을 재활용하는 공유경제가 새로운 문화 트렌드에 적절하게 맞아 떨어진다는 의미다.
이렇게 공유경제는 이제 주류 경제의 일부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 추세는 더욱 가파르게 확산될 것이다. 예컨대 공유경제의 대표주자인 에어비앤비는 2008년 설립한 이후 짧은 시간이 흘렀지만, 이미 현실 세계에서 강력한 경제주체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까지 에어비앤비를 이용한 고객(게스트)이 누적적으로 무려 3억명 (2018년 4월 기준)에 이를 정도이며, 기업가치가 힐튼을 뛰어넘은지 오래다. 지난 2017년 8월5일은 하루 동안 에어비앤비 숙소에서 잠을 청한 사람이 전 세계에서 250만명에 달했다.
이렇게 공유경제가 확산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바로 인식의 전환이다. 공유경제에 대한 모호한 환상은 혼란을 야기할 뿐이며,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수 없게 만든다. 많은 사람들이 공유경제에 대해 오해하고 있다. 공유경제는 서로 가진 것을 나누는 방식의 따뜻한 경제이며, 자본주의를 극복할 대안이라는 식의 인식이 그 중 하나다. 물론 공유경제의 특성상 이 같은 긍정적인 측면이 강한 것이 사실이지만, 본질은 그게 아니다. 이런 식으로 정의한다면 공유경제의 범위를 너무 협소하게 보는 것이다. 마치 ‘장님 코끼리 만지기' 식으로 공유경제의 일부만 이해하게 되고 공유경제가 등장하게 된 본질적인 이유를 놓쳐버릴 우려가 있다. 등장배경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으면, 우리가 공유경제를 바탕으로 무엇을 얻어낼 것인지 목표도 불분명해지며, 세계적인 흐름도 놓쳐버릴 것이다.
음성원 도시건축전문작가
*이 글은 2018년 11월27일 발행된 책 <팝업시티>의 일부 내용입니다. #팝업시티 #에어비앤비 #인식의전환 #공유경제는_사회적경제가_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