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지훈(셋넷 수호천사, 평론가)
여행은 오래 지속될수록 좋다
해외여행을 가보거나 혹은 국내로 여행을 오는 젊은이들을 보면 흑인이 드물다. 기억을 떠올려보면 그렇다. 왜 그럴까? 두려움 때문에 그렇다고 진단하는 연구자들이 있다. 군인으로서 혹은 출장으로 낯선 곳에 갈 수는 있지만, 나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서 자유롭게 낯선 땅으로 가는 것은 같은 문제가 아니다. 배낭 하나 짊어지고 낯선 곳으로 찾아온 백인 젊은이들을 보면서 부럽다고 말했다면 무엇이 부러웠다는 말이었을까? 젊음이 부러울 수도 있겠지만, 모든 젊음이 낯선 곳으로의 모험과 탐험에 나서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아마도 두려움이 없는 자신감이거나 혹은 두려움을 이겨낸 마음이거나.
떠나는 모든 것이 여행은 아니다. 하지만 내몰린 행군에서조차 그 길 위에 끝까지 남아 어떤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면, 길의 끝에서 그 노정은 여행과 같은 모습을 띤다. 여기 먼 노정 끝에 목적지에 도착한 젊은이들이 있다. 책에서 소개된 셋넷들이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셋넷들을 북에서 온 이주 젊은이들이라 부르고 싶다.
이 책은 이 이주 젊은이들의 여행기다. 하지만 그들만의 여행은 아니다. ‘길잡이 늑대’가 함께 한 여행이다. 인디언들은 누구나 자신들 일생을 인도하는 ‘길잡이 늑대’가 있다고 한다. (책의 저자가 영화 편에서 소개하고 있다) 그 길잡이 늑대들이, 이 젊은이들이 남한 사회에서 선택한 셋넷학교라는 곳의 선생들이고 저자가 그 학교의 방향을 이끈 대표 길잡이 늑대다.
거의 대부분의 탈북학교는 교회를 배경으로 특히 개신교를 배경으로 출발했다. 공산주의를 부정하는 교회는 북에서 온 이주 젊은이들을 품기에는 안성맞춤인 곳이다. 그들은 두 가지 점에서 불온했다. 북에서 왔다는 것과 요즘 젊은것들이라는 점. 북에서 온 그들을 위해 이들 탈북학교들은 수령의 기표에 장군님 대신 하느님을 연결시켜 공산주의라는 삿된 이교의 무리들을 주님의 자손으로 업그레이드시켰다. ‘요즘 것들’에 대해서 학교는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도야로 대응했다. 머리 숙여 순종하는 양들에게는 몸의 양식과 마음의 양식이 은총으로 내려졌다.
셋넷학교가 그 밖의 탈북학교와 달랐던 점은 그 스스로가 교회에서 쫓겨난 자라는 것이다. 오직 영성만이 있고 집도 절도 없었던 저자도 교회의 사랑에 손을 내밀었다. 하지만 아이들을 신자가 아닌 학생으로만 보려 했던 저자는 교회서 쫓겨난다. 스피노자가 유대 공동체에서 쫓겨난 것과 유사한 사건이다. 셋넷은 불온한 학교였다.
* 2007 알면 사랑한다! 남북 청소년이 함께 하는 제주 일주 자전거 캠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