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창익 Sep 30. 2024

논술의 종착역, 창의력 #5 걷는다는 건 무엇인가.

차원이 다른 창의력...카테고리 시프트 

    

    A와 B는 로봇을 만드는 업체다.      


인간은 두 발로 걷는다. 이족보행 동물이다. 걷기란 개념을 어떤 범주에 포함시키느냐에 따라 A와 B의 운명이 엇갈릴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걷는다는 건 일반적으로 ‘수평 이동’이다. 하지만 걷기의 본질을 ‘낙하 운동’으로 본다면 관점이 완전히 달라진다.  수평 이동과 낙하 운동은 에너지 소모량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걷기는 제어된 넘어짐’이란 말이 있다. 누가 한 말인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옵티머스 등 휴머노이드를 만드는 업체들에겐 유레카를 외칠 말이다.      


넘어짐은 이동이 아니라 낙하다. 인간이 앞으로 고꾸라질 때엔 에너지를 쓰지 않는다. 중력에 의해 바닥으로 몸이 떨어지는 것이다. 걷기를 세분화해서보면 넘어짐과 이를 다리가 받친 후 관성을 기반으로 다시 일어서는 운동을 반복하는 것이다.                          


인간은 넘어짐을 제어해 걷기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인간은 다른 동물들보다 에너지를 덜 쓰고 이동할 수 있다. 챗GPT에 따르면 1km를 이동하는 데 인간은 0.15리터의 산소를 쓴다. 반면 개는 같은 거리를 이동하는데 0.2리터, 말은 0.3리터, 침팬지는 0.4리터를 쓴다. 인간은 이족보행으로 아낀 에너지를 뇌에서 소비할 수 있게됐다.      


가에서 걷기를 a(수평 이동)의 범주에 포함시킨 업체 A와 b(낙하 운동)이란 범주로 본 B는 에너지 소비량이 완전히 다른 휴머노이드를 만들 수 밖에 없다. 휴머노이드의 보행 구조가 완전히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한번 충전으로 할 수 있는 노동량이 달라지는 것이다. 공장에서 일할 휴머노이드를 대량으로 구입하는 사주라면 선택지는 분명하다.     


이 또한 개념과 범주의 문제다. 2족 보행의 개념을 관찰을 통해 정확히 정의했는가와 그에 따라 인간의 걷기를 어떤 범주에 포함시켰느냐에 따라 치열한 AI로봇 경쟁에서의 승자가 결정될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