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복쓰리 May 08. 2024

영아들을 위한 보육정책? 보육시간 늘리기?

아이들을 위한 정책인거야?


요즘은 맞벌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부부의 맞벌이가 늘고 있다. 


둘째 아이가 지금 초등학교 졸업반인데

엄마들을 보니 절반 혹은 그 이상

일하고 있는 듯하다.


통계를 보면

맞벌이가 실제적으로 많이 늘어나고 있으니

양육으로 인해 일을 포기한다는 이야기는

점점 옛말이 되어가고 있는듯하다.


하지만

우리 아이들이 어렷을 적만 해도

1년 육아휴직 받는 것이 당당하지 못했던 

시절이었던거 같다. 

지금은 1년 육아휴직이 너무나 당연시 되고 있고

아빠 육아휴직도 이상한 시선이 아닌

자연스러운 문화가 되고 있는거 같아 너무 좋은 것 같다. 

애를 이제서 더 낳을 수도 없고...

부럽기도 하다.

(결혼도 나이가 차면 자연스럽게 하는 것이 아닌

내가 진짜 하고 싶을 때 하고,

결혼 후 아이도 꼭 나아야 하는 것이 아닌

선택적으로 낳는 것이 요즘 MZ세대이다. 

나는 이런 MZ세대의 가치관도 너무 부럽다.)


사회는 결혼해서도

경력을 쌓아야 한다는 것을 무언으로 강요하며

(경단녀가 굳이 될 필요가 없다/ 사회가 지원해 주고 있다는 메세지를

주고 있음)

어린이집에 애를 맡기고 일을 하라고 한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일과 가정일, 양육을 모두 다 잘 해낼 수 없는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각종 SNS는 모든 것을 잘해내는 부모의 모습이 나오고

그러한 모습을 보면서 완벽한 부모 그리고 일까지 잘하는

돈잘버는 부모가 되려고 한다. 

하지만 불가능한 것을 강요하는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오히려 그 무게가 너무 무겁고 소진되게 만들 것이다. 


요즘은 그래도 시대가 바뀌었다고 하지만

예전에는 남편들이 집안일을 단.지. 도움을 주는 입장으로

집안일을 자신의 온전한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확고했던거 같다. 

요즘에도 그런 남편들이 물론 많으리라....

6시에 퇴근하여 집에 7시에 도착한다고 가정하면

어린이집에서도 내가 퇴근 후까지 온전히 아이를 봐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리라고 생각한다. 

나도 아이를 키울 때 그러한 사례였다. 

남편은 육아와 가정일에서는 시간날 때 간혹 도움을 주는 사람이었다. 

결국 집안일과 퇴근 후 육모두 온전히 내몫이었다. 

어린이집과 소통하며 신경써야 하는 역할도 온전히 내 몫이었다. 

그땐 애 둘을 키우면서 무슨 정신으로 살았는지 모르겠다.

친정엄마가 집에 출퇴근 해주며 

유치원 버스 타고 오는 첫째 아이 받고

어린이집에서 오는 둘째 아이 받아 저녁밥 먹여주셔서

간신히 버틸 수 있었던거 같다. 

만일 그런 친정엄마가 도와주시지 않았다면

나도 경단녀가 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래서 일을 계속할 수 있어서 좋았겠다.

만족스럽냐고 누군가 나에게 묻는다면

나는 절대 결코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 

나는 그 당시 집에서 있는 엄마들이 제일 부러웠다. 

나도 일 안하고 한 가지 일만 하고 싶다.

육아도 제대로 못하고

일도 제대로 못하고

다 잘해내고 싶었지만

결국 다 잘할 수 없는 시스템이었고,

결국 난 어디서든 무능한 인간으로만 보였고

나는 좌절만 했으니까...


현재는 아빠들의 양육 참여가 많고

가정일에서도 참여가 예전보다는 많은 

시스템인듯하다.

칼퇴근도 가능하고 하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사회적 분위기 임에도 불구하고)

아이를 다시 키우게 된다면

그때는 일을 하지 않고 아이를 키우는 일에 온전히

시간을 보내고 싶다.

그 시절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아이와 시간을 온전히 많이 못 보낸 아쉬움이다.

아이와 한적하게 동네 놀이터에서 함께 시간 떼우고

시장도 보고, 산에도 함께 가고, 뒹굴거리면서 책도 보고...

아이와 여유있는 시간을 보내지 못했다.

집안일 하며 짧은 시간 아이와 시간을 보내다보니

늘 쫒기듯 시간을 써야했다.

알차게 교육적으로.

아이와 온전하게 시간을 보내기에는 

내 체력이 허락되지 않았던거 같다. 

그 시간들이 너무 아쉽고 아깝고

되돌일킬 수 없어서 아이들한테도 미안한 마음이 남는다. 


그래서 나의 이러한 경험에 비추어서는

가정과 일의 양립이 아닌

엄마가 아이에게 진짜 필요한 시기에 

아이 옆에 있을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 나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린이집에서 아이를 오래동안 봐주는 지원정책이 아닌

부모가 가정에서 아이가 어린 시기에 함께 시간을 보내고

0-3세 가장 중요한 시기에 가정교육을 할 수 있는

여유를 주는 정책이 마련되면 좋겠다. 

요즘은 더더욱 가정교육이 안되고

어린이집에서의 모든 교육이 일임되고 있는 것 같아서

그 부분도 너무 아쉽다. 

무엇보다 가정이 바로서야 하고

가정교육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아이의 일차적 양육자는 부모이다. 

부모가 그 책임을 먼저 다할 수 있는 지원정책이 마련되고,

언제든지 복귀할 수 있는 시스템이 

급선무라는 생각이 든다. 


시간제 보육, 야간연장 보육, 휴일보육 등 언제든지 원하는 시간에 아이들을 

봐주겠다는 보육정책이 늘어나고 있는데

과연 실효성이 있는 정책인지 모르겠다. 

만일 이 정책이 부모들에게 편의를 제공해서 출산률을 높이겠다는 정책이라면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린 영아들의 경우에는 특히 더 보육시간을 늘리거나

필요할 때 언제든지 어린이집에 맡기도록 하는 정책은

아이의 입장을 고려하지 못한 정책이라고 생각된다. 

영아들이라면 특히 더 익숙하지 않은 교사나 공간에 시간제로 맡겨지는 것이 가능한지 조차 모르겠다. 

영아들은 초기 적응과정을 한달 이상 가져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서서히 어린이집의 환경과 교사, 친구들과 낯설음을 조금씩 덜어내고 익숙함이 생겨야 안정적인 보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아이들의 특성과 발달을 고려하지 않은 시간제 보육은 최소 영아들에게는 부적합해 보인다. 

아이들의 발달특성을 생각한다면 초등학생이 되어야 시간제 보육이 가능할거 같다. 


시간을 늘려서 보육하는 연장보육, 야간보육, 휴일보육 등도 마찬가지이다. 

성인도 일대 다수가 함께 하는 사회무리에 아침점심저녁을 계속해야 한다면 과연 편안한지...

5성급 호텔일지라도 가족이 아닌 그것도 모두 마음이 맞지 않는 친구들과 함께 지낸다면 편안할지...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보육정책이 마련되기 바라는 마음이다. 

개인적으로 그 방법이 부모가 가정에서 영아기에 편안하게 아이의 육아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게 모두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거기에 어린이집이 단시간 도움을 주면서 함께 아이를 양육하는 방안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장시간 어린이집에 맡기도록 장려하는 지원정책은 옳지 않다는 생각이다. 



                    

작가의 이전글 돌봄종사자에 대한 돌봄 돌아보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