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일규 Oct 06. 2018

지역 시민단체의 역할을 묻는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복수의 시민단체에서 정책위원장·부본부장 등 직책을 가지고 있다 내려 놓은지 몇 달 됐다. 지역 시민단체들에게 되묻고 싶은 말들이 많다. 입장을 내야할 사안이 발생했음에도 침묵하지 않았는지, 찬성을 위한 찬성·반대를 위한 반대에 매몰되지 않았는지, 지역의 문제를 파헤쳐 밝히는 제 역할에 충실한지 등 되묻고 싶은 사안들이 많다.


 지역의 대표적인 시민단체라면서 보도자료는 1년에 1건도 내지 않는 시민단체들이 수두룩하다. 경남 전체 단위의 시민단체이든 시군 단위의 시민단체이든 정도(경중)의 차이는 있지만 근본적으로 현실은 똑같다.


 필자는 경남 단위의 모 단체의 정책위원장으로 5개월 간 재직하면서 보도자료를 52건 생산했다. 52건 생산의 배경에는 도·교육청·도 출자출연기관·도내 시군을 상대로 154건의 정보공개 청구를 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의회에 제출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전’을 한 덕분이었다.


 정보공개로 받은 자료가 한계가 있어 문제의 실체에 온전하게 접근하지 못한 사례들도 있지만 정보공개 청구는 필자의 시민단체 활동에 있어 이슈를 개발하고 주도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되었다. 그러나 대다수 시민단체들은 정보공개제도가 무엇인지 모르고 있다.


 민주화 이후 30년이 지난 현재의 시민운동은 정보전이 핵심이다. 그러나 현재의 지역 시민단체들에게 자료라는 문서정보도 없고 정보원이라는 인간정보도 없다. 언론 보도를 보고서야 인지하거나, 심지어 자료도 언론보도를 복사하는 수준에서 만드는 등 시민단체들의 대응 수준도 처참하다.


 경남의 다수 언론보도에서 시민단체 관계자의 발언이 붙지 않는 이유를 멀리서 찾을 필요 없다. 정보전이 되지 않는 지역 시민단체에 어떤 발언이 가능하겠는가. 지역 시민단체의 역할을 필자는 다시 되묻는다. 시민단체들이 제 역할을 다하고 있는지를.


 보도자료가 시민단체의 전부를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보도자료가 실종된 시민단체에게 역할과 존재의 이유를 되물을 수 있다. 시민들이 모여 만들어진 시민단체라면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자치단체, 지방의회를 가만히 지켜만 볼 수 없다. 생각이 있으면 입장이 생기고 입장의 근거가 되는 자료들을 수집해야 한다. 


 2018년의 대한민국 지역 시민단체가 처한 지역사회는 민주화에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와 같은 이분법적 사회가 아니다. 어떤 정책인지, 어떤 예산인지 등 미시적이며 복합적인 사회에 살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도 변해야 한다. 미약하나마 이 글이 지역 시민단체들에게 변화의 신호가 되길 바란다.


이 글은 가야·양산일보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김해시는 말 테마파크 보류 및 미라클러브 폐지를 해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