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프리윌 May 01. 2020

노션Notion으로 나만의 독서노트 만들기-2

데이터베이스 View, Filter, Sort 활용

안녕하세요. 노션과 3P바인더를 강의하는 프리윌입니다.


저번 글의 주제인 독서리스트 데이터베이스와 독서노트 템플릿은 만들어보셨나요?


오늘은 독서리스트를 다른 뷰로 바꾸어보고, 속성값(Property)를 필터(Filter)로 걸러 보고싶은 것만 보거나 정렬(Sort)로 순서를 변경하는 방법들에 대해 다룰 거에요.


처음에 뷰 기능을 모르고 템플릿으로 제공되는 독서리스트를 썼었는데, 뷰를 바꿀 때마다 페이지가 다 사라져서 페이지를 만드는 기능인가 헷갈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알고보니 Filter를 걸어 보고 싶은 태그로 정렬해놓았다는 것을 아주 뒤늦게 알게 되었죠.


이 글을 보고 나시면 뷰의 유형이나 필터, 정렬에 대해 이해하실 수 있을거에요.


독서노트를 만드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https://brunch.co.kr/@cynical52/5


1. 독서노트 뷰(View) 바꾸기


저번에 만들었던 독서노트의 뷰를 바꾸어봅시다. 오늘은 다크모드로 진행해볼게요.


다크모드는 Ctrl + Shift + L을 누르시면 됩니다. 또는 사이드바의 설정창인 Setting & Members에서 Dark Mode를 눌러도 적용되죠.


데이터베이스 제목인 독서노트 DB 옆에 마우스를 가져가서 +add View를 누르면 5개의 뷰를 볼 수 있습니다.


5개의 뷰는 각각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1. Table View(표로 보기) : 엑셀과 비슷한 기능입니다. 지금 만들어진 독서노트가 테이블 뷰입니다. 전체 Property값을 보기 가장 좋은 뷰입니다.


2.Board View(보드로 보기) : State Property를 기준으로 칸반보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 칸반보드란 도요타에서 업무 프로세스 진행상황을 보기 위해 개발한 방식입니다. 일이 진행되는 상황에 맞추어 업무가 적힌 포스트잇을 옮겨서 진행상황을 표시합니다.


3. Calendar View(달력으로 보기) : Date Property를 기준으로 날짜를 표시해줍니다. 프로젝트 진행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4. List View(리스트로 보기) : 말 그대로 리스트로 표시됩니다. Table과 비슷하지만 좀 더 깔끔하게 보입니다. 하지만 많은 정보량을 표시할 수 없어 Table보다는 효율이 떨어집니다.


5. Gallary View(갤러리로 보기) : 카드뉴스나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보는 느낌으로 보여줍니다. 여행이나 북리스트를 보여줄 때도 유용합니다.


1-1. 보드 뷰(Board View)


독서노트의 뷰를 'Board View'로 바꾸어봅시다. 뷰 제목을 보드 뷰 라고 입력하고 바꿨더니 저자 기준으로 정렬되었습니다.



제가 알고 싶은 것은 봐야할 책의 목록입니다. 그렇다면 저자가 아닌 상태 기준으로 재정렬해야겠죠?


테이블의 오른쪽 위에 있는 · · · 을 눌러 설정창을 연 후 Group by를 누릅니다.



상태 property로 정렬합니다.



아래처럼 태그가 변경됩니다.


이제 읽고 싶은 책, 읽는 중인 책, 완독, 3가지로 구분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No 상태 저게 제일 앞에 있는데, 없애고 싶네요. 

No 상태 옆에도 · · · 이 있습니다. 클릭해서 Hide 시켜봅시다.

오, 이렇게 Hidden Column으로 바뀌면서 페이지도 숨겨지네요. 요걸 응용하면 완독한 책도 숨겨두고 읽고 싶은 책과 읽는 중인 책만 볼수도 있습니다. 완독한 책이 많아지면 거추장스러워질테니까요.



그런데, Property값이 너무 많아서 지저분해 보이네요. 제목과 저자만 보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까 Group by를 설정했던 설정창으로 돌아가서 이번에는 Properties를 선택해봅시다.


저자만 빼고 다 꺼줍니다. 깔끔하네요.


이렇게 하면 읽고 싶은 책과 읽는 중인 책의 리스트만 볼 수 있습니다. 진행상황을 알 수 있겠죠?


1-2. 캘린더 뷰(Calendar View)


독서노트를 캘린더 뷰로 바꾸어봅시다. 책이 한개만 있으니 밋밋해서 페이지를 추가해봤습니다.



아래처럼 달력으로 바뀌네요? 와 신기~ 저는 처음 볼 때 깜짝 놀랐습니다.



캘린더 뷰는 프로젝트를 관리하거나 일정을 확인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1-3 리스트 뷰(List View)


이번에는 리스트 뷰를 만들어봅시다.

리스트 뷰의 특징은 깔끔함입니다. 표는 자칫 property가 많아지면 지저분해 보일수도 있는데, 리스트뷰를 사용하면 깔끔하게 보이죠. 그런데 너무 밋밋하네요. 저자를 한번 추가해봅시다.


이번에도 설정창의 Properties를 조정하시면 됩니다.



Property 중 저자를 추가합니다.



이제 저자가 추가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1-4. 갤러리 뷰(Gallary View)


이제 막바지네요. 대망의 갤러리 뷰를 추가해봅니다.



만들었더니 어? 페이지의 내용들이 보입니다. 



저는 책 표지로 갤러리 뷰를 꾸미고 싶은데,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요? 역시 설정창의 properties로 갑니다.


이번에는 Card Preview를 조정해봅시다. 책표지를 클릭합니다.


바뀌긴 했는데, 뭔가 이상하군요. 표지 전체를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Properties 창으로 돌아가 Fit IMAGE를 클릭합니다. Card Size도 Large로 좀 키워볼게요. 



오~ 이제 깔끔하네요. 이런 식으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View를 바꾸면서 다양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을 이해하고 나면 이제 Filter나 Sort를 활용하실 준비가 되신거죠.


2. 필터Filter, 정렬Sort 활용하기


처음의 테이블뷰로 다시 돌아가봅니다.



2-1. 필터(Filter)


이 상태에서 평점 5점인 책만 보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요? 설정에서 Filter를 걸어줍니다.



Add a filter를 클릭하면



요런게 뜹니다.



평점 / is / ⭐⭐⭐⭐⭐로 바꿔봅시다.



이렇게 평점 5점인 책만 보이게 됩니다.



요걸 응용하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다 본 책을 숨기고 읽고 싶은 책이나 읽는 중인 책만 확인

2. 4월에 본 책만 표시하기

3. 가격이 20,000원 이상인 책만 확인하기


등등 다양하게 필터링을 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View를 만들 때 같은 종류의 View도 여러 개 만들 수 있습니다. 이걸 활용하면 독서노트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만 갖고도 2018년, 2019년, 2020년 이렇게 연도별로 자료를 볼 수도 있죠.


2-2. 정렬(Sort)


정렬기능은 필터에 비해 간단합니다. 설정창에서 Sort를 클릭해봅시다.



Add Filter를 클릭한 후 필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딱 두개밖에 없네요. Ascending은 오름차순, Descending은 내림차순입니다.


Descending으로 바꿨더니 날짜가 최신순으로 정렬되었네요.



오늘은 View 변경과 필터, 정렬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만 이해하면 노션을 거의 이해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Property중 고급 기능인 Relation과 Roll u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Notion으로 나만의 독서노트 만들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