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병진 Jul 21. 2018

'응답하라 1988' 마지막회, 정환이는 왜 사라졌나

‘응답하라 1988' 마지막회가 보여준 지극히 현실적인 3가지

1. 우리는 모두 아파트를 꿈꾼다.


‘응답하라 1997’은 1997년도에 살았던 10대의 이야기였다. ‘응답하라 1994’는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와 같은 하숙집에 살던 1994년도의 대학생 이야기다. 그리고 ‘응답하라 1988’은 ‘동네’의 이야기였다. ‘응답하라 1997’에서는 ‘이사’가 그리 큰 의미를 갖지 않았다. ‘응답하라 1994’에서도 하숙집을 떠나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 하지만 20년 넘게 한 동네에서, 그것도 자가주택을 갖고 살았던(물론 덕선이네는 셋방살이지만, 주인집과의 관계상 월세 오를 걱정이 없어 보이는 집이다), ‘응답하라 1988’의 사람들도 결국 집을 팔고 동네를 떠난다. 동네를 맨 처음 떠나는 사람들은 택이 아빠와 선우 엄마 가족. 덕선이는 나레이션을 통해 이렇게 말한다.


“길동이 아저씨는 아줌마가 더 나이 들기 전에 새 아파트에서 살게 해준다며 가장 먼저 이곳을 떠났다.”


그리고 김성균-라미란 가족과 덕선이네도 판교로 떠난다. 극중에서는 “우리도 잔디도 밟고 바베큐도 해먹으면서” 살기 위해 넓은 판교로 떠난다고 했지만, 2015년을 사는 사람들은 이미 그 결과를 알고 있다. 성과장 집도, 김사장 집도 결국은 판교에서 산 집을 팔고 지금은 아파트에 살고 있을 것이다. 


2. 그래서 한국에서 아파트가 들어서지 않은 동네는 무너진다.

‘응답하라 1988’이 마지막에 보여준 쌍문동 골목의 모습은 충격적이다. 벽에는 빨간색 페인트로 ‘철거’란 두 글자가 적혀있고, 대문은 다 뜯어져 있고, 거리에는 쓰레기가 나도는 황폐한 골목. 뉴스로 듣고, 실제로도 보았을 법한 풍경이지만 ‘응답하라 1988’에서도 볼 줄은 몰랐던 장면이다. 사람들은 아파트로 떠나고, 아파트가 아니었던 동네는 무너진다. 거의 집성촌이나 다름없는 동네를 이루었던 '쌍문동 봉황당 골목'도 예외일 수는 없다.


3. 그렇게 흩어진 동네 친구들도 더 이상 만나지 않는다.


마지막회에서 가장 이상한 부분은 동룡과 정환의 행방이다. 이들은 선우와 보라의 결혼식 장면 이후 사라진다. 캐릭터의 무게감을 보았을때, 그리고 ‘응답하라 1997’과 ‘응답하라 1994’가 항상 모든 캐릭터들의 미래를 다 보여주었고, 모든 캐릭터들에게 한 명씩의 짝을 붙여주면서 끝났던 걸 떠올려 볼 때, 의아한 부분이다. 보라와 아빠 성동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다보니 분량 조절에 실패한 탓일 수 있다. 2015년의 모습을 미리 보여준 덕선, 택, 보라 외에 나머지 캐릭터들의 현재를 갑자기 다른 배우들로 대체해 보여주는 게 드라마의 감정을 깨뜨릴 수 있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40대의 선우도 이종혁의 목소리로만 등장한다.)


하지만 그런 드라마 제작 배경에 대한 의구심 없이 그냥 드라마 자체로만 본다면, 2015년이 된 지금, 친구들은 흩어졌을 게 분명하다. 그래서 간간히 소식만 듣는 중일 것이다. 덕선, 택, 선우, 보라는 겹사돈 관계로 맺어져 있기 때문에 지금도 만나면서 살 수 있다. 하지만 이사를 가고, 취직을 하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은 후에는 각자의 생활에 충실히 살면서 가끔씩 경조사때나 만나는 게 한국에서는 가장 현실적인 모습일 것이다. 혹시 드라마 제작진은 이처럼 지극히 현실적인 모습을 간접적으로나마 드러내기 위해 정환과 동룡이를 사라지게 만든 게 아닐까? 직접적으로 이들의 현실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쌍문동 부모들 중 한 사람의 장례식이 열려야 했을지도 모르겠다. 이렇게라도 생각하면서 아쉬움을 달래보자. 


*2016년 1월 '허프포스트코리아'에 썼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봉준호의 '텔레비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