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경덩이 Jun 10. 2023

인생에 도움이 되는 건설적인 뒷담화(?) 방법

뒷담화도 할거면 제대로 하자

살면서 남 욕을 했던 경험은 모두 한 번씩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 어린시절, 특히 학창시절에 부끄럽지만 뒷담화를 적지 않게 했다고 생각한다.


스스로 내면의 소리를 듣고 나의 감정을 돌아볼 능력이 전혀 없던 그 시절, 

나에게 거슬리는 누군가에 대해 안좋게 얘기하고,

나만 그 사람이 싫은게 아니라는 공감을 받을 때 느껴지는 카타르시스는 부정할 수 없다.

또한 남 욕을 통해 공공의 적을 만든 그룹끼리의 유대감도 무시할 수 없는 뒷담화의 유인 요소다.


그래도 나이가 들면서 남에 대한 안좋은 얘기를 하고 다니는 것이 

결국 내 얼굴에 침뱉기이며 나에게 화살로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또한 "남 욕하는 사람은 미성숙한 인간"이라는 교훈을 얻은 이후부터는

싫어하는 사람이 생겨도 함부로 남에게 욕하지는 않았다.


최근 심리학, 특히 인지심리학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

내면의 감정과 상태를 들여다봄으로써 자기자신에 대해 알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깨달았고,

남에 대한 나의 부정적인 감정이 나의 내면을 돌아보는 것에 굉장히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현재 나는 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느꼈을 때,

"나의 내면을 돌아볼 수 있는 건설적인 방법"으로 남 욕을 하게 되었다. 

(건설적으로 남 욕하는 방법이라니 내가 쓰고도 너무 자기합리화스러운 말 같지만.. 

진짜로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스스로에게 솔직해지는 것은 생각보다 정말 너무 어려운 일이다.

우리는 끊임없이 스스로를 속이거나 불쑥불쑥 떠오르는 솔직한 생각과 감정을 억누른다.


예를 들어, 오랜 친구가 성공해서 질투의 감정이 느껴져서 참을 수가 없을 때 

1. 내가 사랑하는 친구에게 이런 미성숙한 질투의 감정을 느낄리 없어! 하고 나의 감정을 회피하거나

2. 그 친구에게 부정적인 감정이 든 것은 '질투'가 아니라 그 친구가 나에게 잘못을 해서 내가 그 친구가 불편한 것이라고 스스로를 속이며 결론을 내린다.


2.와 같은 해결방식은 그 친구의 사소한 행동과 말에 꼬투리를 잡고,

남에게 그것을 얘기하면서 내가 아니라 그 친구가 이상해서 내가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이라고 

나의 감정을 끊임없이 정당화하는 작업에 들어간다.


남들에게 '그 친구가 나쁘다'는 동의를 이끌어 내야하기 때문에 

있지도 않은 사실을 꾸며내거나 사건을 과장하는 내용으로 뒷담화를 하여 공감을 유도한다.

이를 통해 "그 친구 정말 이상하네"라는 얘기를 듣고나면,

내가 느낀 감정이 질투가 아니라 그 친구 때문이라며 내가 아닌 상대방 탓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이 때의 나는 내가 친구에게 질투나 하는 미성숙한 인간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불편한 감정을 해소시킬 수 있다.

(그냥 질투가 난다고 인정하면 되는데, 이게 뭐라고 생각보다 굉장히 어렵다.)


이러한 방식의 뒷담화는 내 인생에 1도 도움이 되지 않고 자기 기만을 더욱 높이는 어리석은 행동이다.


내가 제안하고 싶은 뒷담화 방법은"그 친구가 나쁘다"라는 내용보다는 

"나는 왜 그 친구에게 불편한 감정으 느끼는가"에 집중하는 방법이다.




내 지인 중에는 묘하게 나를 불편하게 만드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나를 잘 챙겨주기도 하고, 주변 사람들 평판도 나쁘지 않다.

그 사람이 나에게 객관적으로 잘못하는 것이 없는데 

내가 그 사람이 거슬리는 이유가

처음에는 내가 느끼는 그 사람에 대한 감정이 질투인지도 생각해봤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그 사람에게 내가 부러워하는 속성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질투의 감정은 아니라고 결론을 내렸다.


그런데도 나는 그 사람이 묘하게 거슬리고 마음에 들지 않았는데,

그 원인을 제대로 알아보기 위해 그 사람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내가 불편한 감정, 

분노를 느끼는지 찬찬히 관찰해보았다.


그 사람을 관찰을 해보니, 주변 사람들에게 스스로 계속해서 "나는 머리가 좋지만 게으르다"라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던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묘하게 주변인들의 성실성을 칭찬하는 동시에 나보다 머리가 좋지 않다고 무시를 하는 뉘앙스가 풍기는 말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내 지인의 행동이 대놓고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매우 교묘하게 이루어져서 파악이 어려웠고(대놓고 그랬다면 모두가 그 사람을 싫어했을거다), 내가 아닌 어떤 사람에게는 그다지 거슬리지 않는 행동과 말이었다는 사실도 인정한다.


남편에게 나에게 거슬렸던 내 지인의 행동과 말들을 하나씩 설명하고

그때 내가 느꼈던 감정이 분노인지, 슬픔인지, 짜증인지 설명하면서

그 사람을 통해 내 스스로 내면에 있는 '내향적 나르시즘' 성향이 보였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내가 내향적 나르시즘이 있다고 인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전에도 브런치글로 쓴 적이 있다.)


심리학 용어로 그 사람을 통해 내가 싫어하는 나의 모습에 대한 '투사'가 발생하여 내 감정이 불편했던 것이다.


이러한 생각 전개 과정은 글로 쓰거나 머리로 혼자 생각해낼 수도 있겠지만,

남편에게 그 사람의 행동과 거슬리는 점을 하나씩 '뒷담화'를 통해 설명하니 

훨씬 더 내 감정과 생각에 대한 정리가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누군가에 느껴지는 불편한 감정은 나를 되돌아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고 생각한다.

질투의 감정을 통해 내가 지금 원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고,

(생각보다 남들이 아닌 내가 진짜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깨닫는 것은 쉽지 않다.)

나의 사례와 같은 투사를 통해 내 안에 존재하는 어두운 면에 대해서도 깨달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나의 기질이 무엇인지, 내가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등 

인생을 살면서 자기자신을 아는 것은 정말 중요하고 어려운 과제인데

외부 자극없이 혼자 이 과제를 하는 것은 더 힘든 일이라고 생각한다.

가끔 외부 자극에 대한 감정이라는 '힌트'를 통해 이러한 어려운 과제 수행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힌트를 써먹는 좋은 방법이

뒷담화를 통해 내가 느낀 불편한 감정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스스로에게 솔직한 감정을 토로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방법으로 건설적인 뒷담화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원칙이 있다.

반드시 아무에게도 내 말을 옮기지 않고, 내가 내 스스로의 밑바닥 감정까지 가감없이 얘기할 수 있는

내가 정말 신뢰할 수 있는 사람에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인간이기 때문에 끊임없이 계속해서 질투, 불안, 고립감 등과 같은 불편한 감정을 이겨내며 살아가야 한다.

이러한 스스로의 감정을 제대로 돌아보지 않고 그러한 감정을 느끼게하는 대상을 욕하는 못난 뒷담화는 

일시적인 카타르시스를 제공할 수는 있어도 계속해서 우리를 더 못난 사람으로 만들 뿐이다.


'못난 뒷담화'가 주는 일시적인 해소감을 통한 자기기만을 강화하지 말고,

'건설적인 뒷담화'를 통해 나의 욕구와 어두운 면을 돌아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로 삼아야 한다.



한가지 더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실제로 나에게 불편한 감정을 제공한 그 사람에게 잘못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 사람이 의도적으로 나를 기분 나쁘게 만드는 것일 수도 있고,

나를 무시하거나 가스라이팅 하려는 의도로 인해 내가 기분이 나쁜 것일 수도 있다.


나의 불편한 감정의 원인이 누구에게 있는지 알기 위해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눈을 장착해야 한다.

뒷담화를 할 때에는 무작정 그 사람을 욕하지 말고,

상황과 나의 감정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3자의 시선에서 실제로 그 사람이 잘못했다고 판단하면 

나에게 불편한 감정을 주는 그 사람을 멀리하는 전략을 취하고,

그 사람의 잘못이 아닌 나의 내면 문제로 인한 것이라면 내 스스로의 문제로 삼으면 된다.

작가의 이전글 감정 '조절'은 정말로 잘할 수 있는 것일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