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성격⦁적성검사 척도》
《지능⦁성격⦁적성검사 척도》 (김병욱, 킴스정보전략연구소, 2015, 190313 yes24 e-book)
정서지능검사
정서적 지능 (EI: Emotional inteligence)은 정서와 지능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를 말한다. 20세기 초까지 정서는 감정feeling과 동일한 개념으로 혼용되었다.
감정은 쾌, 불쾌, 기쁨, 슬픔, 노여움, 공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감정들은 인간의 원시 본능을 그대로 기술한 것이다. 즉, 자신의 보호를 위한 생리적 징후를 감정 혹은 정서로 본 것이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원시시대의 위험이 많이 사라진 지금은 사회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긴급을 요하는 정서처리가 필요하다.
옥스퍼드 사전에 따르면, 정서는 ‘마음과 감정 그리고 격정의 동요나 혼란 즉, 격렬하거나 흥분된 정신상태’라고 정의되고 있듯이 이 역시 피동적 요소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정서를 개체의 적응을 저해하는 요소로 바라보고 있다. 13
언어지능검사
언어지능이란 단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 말재주, 글 솜씨로 세상을 이해하는 능력을 말하며, 다른 지능과 독립적이면서 연계성 높다. 언어적 지능은 단어의 소리, 리듬, 의미에 대한 감수성이나 언어의 다른 기능에 대한 민감성 등과 관련된 능력이기도 하다. 21
사회지능검사
사회지능이란 용어는 1920년 Thorndike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는 인간의 지능을 추상적 지능abstract intelligence, 기계적 지능mechanical intelligence,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의 세 종류로 구분하고, 사회지능을 하나의 독립된 지능으로 간주하였다. 그는 사회지능을 타인을 이해하고, 타인에 대해 현명하게 행동하는 능력으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그는 타인에 대한 인지적인 이해와 타인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사회지능을 ‘사회적 실마리를 이해하고 사회적 인간관계 속에서 현명하게 행동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