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까치하니 Sep 09. 2020

구글 SEO 검색엔진 최적화 체크리스트

<온라인 마케팅> 검색엔진 상위 노출을 위한 외부 최적화 작업 체크리스트

아래의 외부 최적화 체크리스트를 확인하고 그대로 따라 해 보자. 외부 최적화 작업은 하루 만에 모든 것을 끝내서는 절대 안 된다. 하루 만에 마무리할 수 있는 작업을 왜 굳이 하지 말라고 하느냐고? 시간이 없는 사람들은 백링크를 빨리 생성하여 후딱 처리해 버리고 다른 일을 하면 시간을 효과적으로 보내 수 있기 때문에 주어진 시간에 할 수 있는 가능한 최대한의 일을 하고 싶을 것이다. 그 상황과 마음은 이해 간다. 외부 최적화는 즉, 백링크를 생성한다는 말인데, 하지만 이렇게 인위적으로 생성된 백링크를 구글은 좋아하지 않는다. 최대한 구글이 눈치채지 못하게 Organic SEO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외부 최적화의 관건이다. 


내부 최적화와 달리 외부 최적화의 결과를 눈으로 확인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 내부 최적화의 결과 확인은 며칠 혹은 최대 2주 안에도 가능한데 반해, 외부 최적화의 결과의 경우 "달" 단위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외부 최적화 작업을 진행할 때는, 리포트를 작성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고 필수이다. 매일 작성하지 않으면 나중에 문제를 발견했을 때 백링크를 수정을 하기가 힘들다. 아무리 사소한 것들이라도 무조건 기록을 남기는 것은 습관화하는 것이 좋다. 외부 최적화에서 "끝"이라는 것이 없다. 다람쥐 쳇바퀴 돌듯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동안에는 꾸준히 멈추지 말고 해야 한다.


아래의 외부 최적화 체크리스트는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기준으로 작성이 되었다. 외부 최적화의 경우에는 코딩을 할 수 있는 전문가가 따로 필요하지 않으니, 코딩을 몰라도 걱정할 필요 없다. 



Off-Page SEO Checklist


□ 구글 웹마스터를 통해 백 링크 분석

□ 사이트 맵 생성

□ 사이트 맵 제출 (구글/빙 등 검색엔진) 

□ 구글 비즈니스 등록

□ 포럼/커뮤니티 웹사이트 가입 & 활동

□ 블로그 개설

    □ 네이버 (Naver)

    □ 티스토리(Tistory)

    □ 블로거 (Blogger)

□ 비디오 채널 개설

    □ 유튜브(Youtube) 채널 생성

    □ 비메모(Vimeo) 채널 생성

    □ 데일리모션(Dailymotion) 채널 생성

□ 소셜미디어 생성 (필수)

    □ 페이스북 (Facebook)

    □ 인스타그램 (Instagram)

    □ 트위터 (Twitter)

    □ 링크드인 (Linkedin)

    □ 텀블러 (Tumblr)

    □ 핀터레스트 (Pinterest)

    □ 플리커 (Flickr)

□ 소셜미디어 생성 (선택)

    □ 큐존 (Qzone)

    □ 레딧 (Reddit)

    □ 미디엄 (Medium)

    □ 바이두 (Baidu)

    □ 마이스페이스 (Myspace)

    □ 라이브저널 (LiveJournal)

    □ 틱톡 (Tik Tok)

□ 소셜 북마크 (Social Bookmarking) 

□ 파일/이미지/로고 공유

    □ 구글 드라이브 (Google Drive)

    □ 드롭박스 (Drop Box)

□ 언론사에 기사 송출 (PR)

□ 게스트 포스팅 (Guest Posting)

□ 디렉토리에 사이트 제출 (Directory Submission)

□ 논문/글 투고 (Article Submission)

□ RSS 피드 생성

□ 도메인 Authority가 높은 웹사이트로부터 백링크 생성 (예: edu/org)

□ 서브 웹사이트 제작  



구글 SEO 검색엔진 최적화 체크 리스트 

* 틱톡 애플리케이션 : 현재 대략 500 million (1 million = 100만)의 사용자가 틱톡을 사용하고 있다. 중국에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개인정보 불법 수집에 대한 문제로 몇몇의 나라에서 사용 자제와 과징금을 징수받았다. 이 점을 잘 인지하고 틱톡의 사용을 결정하길 바란다.


*RSS 피드 : 구글의 웹마스터 트렌트 분석가인, John Muller는 RSS 피드의 사용을 아래와 같이 말했다. RSS 피드 생성 자체가 SEO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아니지만 구글 봇이 정보를 수집하고 검색에 노출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된다. 하지만, 명심할 것은 RSS 피드가 XML이라는 언어로 작성이 되기 때문에 콘텐츠가 쉽게 도용이 될 수 있으므로 이 점 또한 명심해야 한다.


* 웹사이트 제작 : 메인 비즈니스를 서포트할 수 있는 서브 웹사이트 제작을 말한다. 그렇다고 Mirror Site (미러 사이트)를 만들어서는 안된다. 미러 사이트의 정의는 영어로  "A mirror site is a copy of a website hosted on another server." 이다. 말 그대로, 다른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그대로 가져와 만들면 안된다는 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구글 SEO 검색엔진 최적화 체크리스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