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곤잘레스 파파 Apr 19. 2022

잘못된 시간여행

군산 - 일제강점기의 왜곡된 추억여행?

며칠 전, 군산에 들렀다

충격적인 장면을 목격했다.

젊은 커플이 기모노를 입고

당당하게 거리를 거니는 것 아닌가.


물론, 군산은

일제강점기 수탈의 중심지였던 항구도시라

적산가옥을 비롯해 근대 유적지들이 많다.

<장군의 아들>이나 <타짜> 등 영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히로쓰 가옥을 비롯해

발전이 더딘 덕분(?)에 허물지 않은

옛 건물들이 그대로 남아 있어

시간여행의 컨셉으로 관광상품을 만들기에 그럴듯하다.


시간여행축제 (군산미래신문 발췌)


'뭐... 시간여행까지는 괜찮지.

그 시대를 살아보지 않았으니

인스타 갬성 시대에 일제강점기 모던 느낌 나는

거리와 건물 앞에서 사진을 남기는 것쯤이야...'


이런 생각!!!

문제는 바로 여기에 있다.

먼 옛날 얘긴데 뭐 어떰?



군산은 비극의 도시였다.

수탈과 착취의 도시였다.


1933년,

국내 쌀 총생산량의 절반 이상이

이 항구를 통해 빠져나갔다.


1920년에 15%에 불과했던 수탈량이

10여 년 만에 50%를 넘겼으니

조선 쌀의 밑 빠진 독은 군산부였다.


부끄러운 역사지만,

일제강점기 전국에서 일본인 지주의 비중이

가장 높았던 곳이 바로 전라북도 지역이다.


당시 조선 땅은 일본 본토에 비해

10분의 1이 저렴했고, 토지 이윤은

본토보다 4배가 많았으니

돈 좀 가진 일본인들은 여기저기 농장을 짓고

조선인 소작농을 거느리고

싼 값에 거둔 쌀을 5배는 비싸게 본토에 팔았다.


최초의 선물시장이

오사카의 쌀 시장이었다고 하니

급격한 쌀 가격 변동은 금방 그들을 부자로 만들어줬다.  


쌀 804포대 쌓아올린 군산항 축항공사 축하탑


김제-익산-군산에 이르는 호남평야의 축 선에는

철로가 놓였고, 아스팔트 도로가 깔렸다.

농토 인근에 저수지를 축성하고,

개간사업을 벌여 소작인들을 이주시켰다.


군산 최고의 농장주였던 구마모토 리헤이는

무려 2만여 명의 소작인을 거느렸다.

일본인들은 고리대금업으로 이자를 못 갚는

농민들의 토지를 몰수하는 방법으로 토지를 늘려갔다.

농민은 소작인이 되고 지주에게

수확량의 절반을 소작료로 냈다.

비료나 자재는 소작인 부담이었다.

결국 또 농장주에게 고리의 대출을 받고,

기일을 어기면 소작지를 몰수당했다.


히로쓰 가옥 (일본 지주의 적산가옥)


지주는 그 지역의 왕이었다.

거대한 별장을 짓고,

소작인들을 거느리고,

명령만 내리면 모든 게 다 이뤄지는

그들만의 세상이었다.


반면, 조선의 소작인들은

농토도 잃고, 쌀도 잃고,

굶주림에 미쳐갔다.


김제 죽산의 대지주 하시모토는

그런 조선인들을 보며

미친놈들의 나라라며 욕했다고 한다.


그들은 쌀만 뺏는 것도 모자라

조선의 문화재들도 훔쳤다.

심지어 훔친 문화재를 일본에 밀반입하기 어려워

지상 2층, 지하 1층의 금고 건물을 만들었다.

그 유명한 시마타니 금고다.


시마타니 금고 (군산시 개정면 발산초등학교 안)


우리의 고서화나 도자기 등 창고에 가득했던 문화재.

보물로 지정된 발산리 오층 석탑을 비롯해

부피가 큰 석조물들은 야외에 두었을 정도다.


일본이 패망하고 해방이 된 후에도

시마타니는 고국에 못 돌아가겠다고 했더란다.




구마모토, 시마타니, 미야자키, 모리지쿠

호소가와, 하시모토, 히로쓰...

전라북도 지역은 전국에서 가장 큰

일본 지주의 왕국이었다.


물론, 잔혹한 역사적 현장을 둘러보는

다크 투어리즘이 유행이다.

그러한 시간여행은,

잔혹했던 과거의 참상을 돌아보고

그 기억의 현장을 후손 대대로 널리 알려

역사는 되풀이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일제 가옥 앞에서 기모노를 입고,

시간여행 스탬프를 찍고,

춤추고 노래하고 폭죽 터뜨리는 행사는

좀 자제해야 되지 않을까.


아픈 역사는 그 역사대로 추모하고

아픈 역사에 희생된 선조들의 넋을 위로하는데

시간을 보내도 모자라다.

분명한 건, 20C는

찬란했던 역사가 아니었다.


드라마 <파친코>를 역사왜곡이라며

반발하고 항의하는 그들에게

본보기가 되어야 되지 않을까.


이러한 시간여행은 분명 문제가 있다!!!

작가의 이전글 통닭값이 올랐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