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인연 Sep 20. 2024

3-1 언어의 장신구-수식어구

한국어는 미괄식 방법으로 말하는 반면, 영어는 두괄식으로 말하는 언어다. 중요한 말 먼저 말해 명확하게 정보를 전달하려고 한다. 그래서 S+V+O같은 어순이 발달했다. 그리고 또 하나, 우리가 주목할 것은 명사 수식이다. 핵심정보인 명사를 말하고 부차적인 수식어구는 뒤에 온다. 즉 영어는 후치수식이 발달했다. 반면 한국어는 모든 부가적인 수식어구를 다 말하고, 핵심명사가 나오면서 점진적으로 정보를 노출한다.

  

한국어와 영어의 정보 전달 방식 차이

1. 문장 구조의 차이

   - 한국어: 미괄식 (중요한 정보를 문장 끝에 배치)

   - 영어: 두괄식 (중요한 정보를 문장 앞에 배치)

   예시:

   - 한국어: "내일 오후 3시에 회의가 있습니다."

   - 영어: "We have a meeting tomorrow at 3 PM."

   설명: 한국어에서는 핵심 정보인 "회의가 있다"가 문장 끝에 오지만, 영어에서는 "have a meeting"이 문장 앞부분에 온다.


2. 어순의 발달

   - 영어: S(주어) + V(동사) + O(목적어) 구조 발달

   예시: "I(S) love(V) you(O)."

   설명: 이 구조를 통해 영어는 핵심 정보를 빠르게 전달한다.


3. 명사 수식 방식의 차이

   - 영어: 후치수식 (핵심 명사 뒤에 수식어구 배치)

   - 한국어: 전치수식 (핵심 명사 앞에 수식어구 배치)

   예시:

   - 영어: "The book (on the table) is mine."

   - 한국어: "(책상 위에 있는) 책은 내 것이다."

   설명: 영어는 핵심 명사 "book"을 먼저 말하고 수식어구 "on the table"을 뒤에 배치하지만, 한국어는 수식어구를 먼저 말하고 핵심 명사 "책"을 나중에 말한다.


영어의 후치수식 유형과 차이점:

1. N + to-v (명사 + to부정사)

   예: The decision to leave was difficult.

   특징: '~할'이라는 미래의 행동이나 목적을 나타냄


2. N + ing (명사 + 현재분사)

   예: The man wearing a red hat is my uncle.

   특징: '하는'이라는 진행 중이거나 일시적인 상태를 표현


3. N + p.p (명사 + 과거분사)

   예: The letter written yesterday was important.

   특징: '~되어진' 완료된 행동이나 수동의 의미를 나타냄


4. N + 전치사구

   예: The cat on the roof is mine.

   특징: 위치, 소유, 관계 등을 표현


5. N + 관계사절

   예: The book that I bought yesterday is interesting.

   특징: 더 복잡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6. N +that+ s + v

   예: The rumor that he was leaving spread quickly.

   특징: 완전한 절을 사용하여 추가 정보를 제공


이러한 후치수식 구조를 통해 영어는 핵심 정보(명사)를 먼저 제시하고 부가적인 정보를 뒤에 배치하여 명확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 한국어는 모든 수식 정보를 먼저 제시한 후 핵심 명사를 말함으로써 정보를 점진적으로 노출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전 10화 3. 인식의 확장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