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야옹이버스 Jul 31. 2022

프렌즈 Friends-로빈 던바 Robin Dunbar

과학이 우정에 대해 알려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

1. 우정에 대한 총망라라는 설명이 어울리는 책이었다.

- 인간이 컨트롤할 수 있는 인간관계의 레벨과 각 레벨에 해당하는 친구 수에 대한 정리(우정의 원)

- 우정 유지 활동의 4 범주와 우정으로 얻는 8가지 혜택

- 정신화와 마음 이론

- 뇌 크기, 정신화 능력, 친구 수가 비례관계에 있다는 점

- 우정을 측정할 수 있는 일곱 기둥에 대한 정리

- 관계 유지의 6법칙과 깨지는 11법칙

등등.. 우정에 대한 온갖 개념에 대해 풍부한 실험을 통해 설명하고 정리해 두었다.


2. 흥미로운 아이디어들도 접할 수 있었는데,

- 친구들과 사교하는 방식은 개개인별로 특성(사회적 지문)을 가짐

- 사람들이 이해하는 의도의 차수는 평균적으로 5차

- CT 뉴런은 털을 골라주는 속도인 초속 2.5cm에 반응하여 엔도르핀 시스템을 가동하고, 털이 없는 인간에게는 그것이 쓰다듬기에 해당한다는 점

- 효율적으로 우정을 만들기 위해 여럿에게 털을 골라줘야 하는데, 고안된 방식이 웃음, 노래, 춤, 잔치, 스토리텔링, 종교의식

- 함께 대화를 나누기에 4명을 넘을 수 없다는 이야기

- 여성은 대화를 통해, 남성은 함께한 행동을 통해 우정을 쌓는다는 부분을 비롯 차이가 꽤 크다는 점

등등이 기억에 남는 부분이다.


3. 던바의 수나 뇌 크기에 비례한다는 내용 등에 대해서는 그렇게 단순화해서 확언할 수 없다는 반대 의견도 많으나, 저자가 전하고 싶은 느낌적인 느낌은 충분히 이해하고, 나의 인간관계를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된 책이다.

다만, 학술서가 아닌 대중서라는 것은 깔고 읽을 것 ㅎㅎ




* 좋은 친구는 완전히 미친 세상에서 제정신으로 가는 열쇠 - 로이스 와이즈 소설가


* 친구는 과학적으로 효용성이 증명된, 건강과 행복의 가장 중요한 원천


* 저자의 주장

- 사회적 뇌 가설 social brain hypothesis : 인간과 영장류의 사회성 설명하는 이론적 틀 - 공감/마음이론/이타주의/협동

- 뇌의 진화와 발달은 사회적 정보 처리 위함, 뇌 크기와 사회적 네트워크 비례, 던바의 수 150 (친구의 수)


* 저자에 대한 비판

- 150이란 수는 가정과 계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뇌 크기와 인간관계 규모에 대한 규정은 비생물학적 요소들을 무시함




1장 : 우정, 매우 유의미

2~4장 : 유의미한 친구 수는 매우 적고, 사회적 체계는 연속적 층(원)을 이루며, 가족이 중요

5~8장 : 우정에 관여하는 메커니즘

9~12장 : 언어

13장 : 젠더

14장 : 헤어짐

15장 : 나이

16장 : 온라인




1. 왜 지금 우정을 말하는가


* 우정과 고독 : 사회적 동전의 양면


* 친구는 건강과 행복의 원천 : 20년 의학 문헌의 결론 중 가장 놀라운 것

- 생존 확률에 가장 큰 영향 : 사교 활동 수치 (금연과 비슷한 수준)

- 친구가 행복하면 나도 행복, 우울한 친구 따라 우울해질 확률은 행복 친구 따라 행복해질 확률의 6배

- 친구는 가상의 아스피린 : 친구와 즐거운 한때 -> 엔도르핀 활성화 -> NK세포(natural killer cell) 생성 촉진 -> 면역력 증진


* 고독 : 진화의 과정에서 발달한 감정, 뭔가 잘못됐다고 알려주는 신호

- 면역, 정신건강, 알츠하이머, 우울증, 치매, 불면증, 조기사망에도 영향

- 고독감을 느낄 때 면역반응 감소 검증

- 고혈압에 영향 : 친구 결여 > 당뇨 등의 질환


* 어린 시절의 사회관계는 성인 된 후에도 오랜 시간 영향 끼침


* 우정을 설명하는 4가지 아이디어

- 사회적 뇌 가설 : 뇌 크기가 사회 집단의 크기를 제약한다

- 던바의 수 Dunbar's Number : 사람이 유지할 수 있는 친구 수는 한계가 있다

- 사회적 털 손질의 중요성

- 언어 진화의 뒷담화 이론 : 언어는 사회적 정보 교환을 위해 진화했다


2. 던바의 수


* 150명 : 새벽 3시 홍콩 공항 라운지에서 우연히 발견했을 때 주저하지 않고 옆자리 앉게 되는 사람

- 창피해하지 않고 뭔가 부탁할 수 있는 사람

- 어려울 때 주저 없이 도와주고자 하는 사람

- 다른 선택지가 있음에도 같이 시간을 보내고 싶은 사람

- 하지만, 큰 위험이나 비용이 따르는데도 호의를 베풀지는 않음


* 카스키의 도약 Kaski's katapult : 누군가를 알게 되어 사회적 네트워크가 급격히 발전하는 상황


* 왜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친구가 많을까?

- 어릴 때 친구가 더 많음 (친구 사귀는데 유연)

- 성격 : 내향인은 감정적 지지를 원하고 외향인은 넓은 세계에 대한 정보를 원함


* 가족 : 150은 족외혼을 하는 집단에서 3세대를 이어 내려오면 도달하는 공동체 수

* 친족 선택(해밀턴의 법칙 Hamilton's Rule) : 먼 친척보다 가까운 친척에게 이타적 행동을 함

* 가족보다 친구관계가 유지하는데 비용이 더 많이 듦


* 사회적 네트워크는, 고인이 된 친척, 존경하는 성인, 드라마 주인공, 반려동물도 포함


3. 당신의 뇌가 친구를 만드는 방법


* 동물의 털 손질 시간은 집단 크기와 상관관계가 있음(몸 크기와는 상관없음)

* 뇌 크기 ∝ 털 손질에 쓰는 시간 ∝ 집단 크기


* 생태학적 가설 : 식량을 잘 찾아내기 위해서

* 사회적 뇌 가설 : 포식자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 1단계 : 생존의 문제는 집단생활을 통해 해결

- 2단계 : 집단생활의 어려움, 스트레스 해결 위해 큰 뇌 가짐

- 다른 이들은 생태학적 가설을 주장하지만 저자는 결국 같은 얘기라고 함


* 사회적 네트워크 크기 ∝ 뇌에서 사교활동 담당하는 부위 크기

- 사회적 뇌 가설은 종들 사이뿐 아니라, 종 내 개별 개체 사이에도 성립


* 성별과 사회적 뇌 : 여성이 친구가 조금 더 많다

- 신피질(사교성)은 어머니의 유전자로 결정됨

- 대뇌변연계 유전자는 아버지에게 물려받음


4. 우정의 원


* 연민 집단 sympathy group : 12명 전후로 형성

- 죽으면 진짜 슬플 것 같은 사람 수

- 긴밀한 상호작용이 요구되는 집단 크기


* 우정의 원 : 대략 3 배수 비율

- 1.5 : 영원한 절친/애인, 여자는 나만의 친구 2, 남자는 1 따라서 1.5

- 5 : 절친, 지지 모둠, 기대어 울 수 있는

- 15 : 친한 친구, 연민 집단, 영화관에 같이 가곤 하는

- 50 : 좋은 친구, 파티 친구들

- 150 : 친구, 주변 네트워크, 결혼식 하객, 이타적 행동에 대한 의지 마지노선

- 500 : 지인

- 1500 : 이름을 아는 사람

- 5000 : 얼굴을 아는 사람


* 가장 친한 친구

- 여 : 비밀을 털어놓거나 조언을 구하는 사람

- 남 : 술집에서 저녁 시간을 같이 보내는 사람


* 3자 관계의 원리 : 구조적 균형 이론 Structural Balance Theory , 친구관계 말하는 것 아님

- 3명의 개인이 여러 형태로 관계를 맺을 수 있음

- 그중, 모두가 서로 좋아하는 3명, 혹은 3개 하위 집단이 결합되면 구조적 안정성 획득, 외부 충격에도 강해짐


* 어떤 친구에게 시간을 쓸 것인가

- 첫 번째 해법 : 소수의 강한 우정 & 다수의 약한 우정 : 공동체 규모가 클 경우

- 두 번째 해법 : 다수의 강한 우정 & 소수의 약한 우정 : 공동체의 규모가 작을 경우, 약한 관계 유지할 기회가 줄어드니 친밀한 친구 만드는데 시간을 투여


* 우정 유지 활동의 4 범주

- 긍정 : 웃고, 감사하고

- 지지 : 도움 주고,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 개방 : 지적 대화 나누고, 생각 공유하고

- 함께 : 함께 시간 보내고, 서로 집을 방문하고


* 사회적 혜택 8 항목

- 말벗

- 애정

- 인도

- 가치 확인

- 속마음 털어놓기

- 도구적 지원

- 감정적 지원

- 동맹


5. 사회적 지문


* 우리는 이미 나의 네트워크에 있던 사람을 만나는 것과 같은 빈도로 새 친구를 만난다

- 오래된 우정 지키기 VS 새 친구 사귀기


* 사회적 지문 Social fingerprint : 전화통화 실험

- 친구와의 전화 통화 횟수는 개개인마다 뚜렷한 패턴이 존재

- 18~20세 : 18개월 동안 네트워크 구성원 40%가 바뀜


* 깨어있는 시간(18시간)의 20%(3.5시간)를 사회적 상호작용에 사용


* 30분 법칙 Thirty-Minute Rule

- 30분 내에 살면 중요한 사람, 자주 보는 사람에게 전화도 자주 걸음

- 자주 만날 기회 없어지면 우정은 놀랄 만큼 사라짐


* 사교 목적이 아닌 다른 맥락에서 투자가치 있는 사람들(그때뿐)

- 예) 교문 친구들 school-gate friends : 아이를 교문 앞에서 기다리는 엄마들


* 우정을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 활동

- 여 : 수다 떨기(말)

- 남 : 멋진 일을 같이 하려는 것(행동)


* 올빼미형 학생 사회 네트워크 크기 > 종달새형

- 올빼미형은 전체를 관리하는 활동에 집중, 네트워크가 응집력이 더 약함, 올빼미에 대한 동종친화 강함


* 우정 키우는 방법 & 우정의 대가에 대한 2가지 발견

- 노력 분배 방식은 사회적 지문과 비슷, 성격의 여러 측면을 반영해 친구 선택

- 사교 활동 패턴은 안정적으로 유지됨, 그 우정의 안에 누가 있나 와는 상관없음


6. 우정과 뇌의 메커니즘


* 사회적 복잡성 처리하기 위해 ->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오직 인간에게만 있음) 필요


* 인간의 사회적 세계 : 우주에서 관측 가능한 현상중 가장 복잡할 것

- 사회적 능력 : 놀랍도록 정교, 인지 메커니즘은 진화의 기적


* 마음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

- 마음읽기 mindreading

- 정신화 mentalizing


* 마음 이론 theory of mind : 만 5세에 겪음, 자신과 남의 생각을 겪음

- 잘못된 믿음 false belief을 이해하는 능력

- 인간 사회의 열쇠

- 그럴싸한 거짓말을 할 수 있는 이유(상대의 시각, 세계관 이해해야 함)


* 이중정보처리 메커니즘 dual-process mechanism : 서로 협력하며 움직이는 2개의 분리된 메커니즘

- 하나 : 관계의 감정적인 내용과 관련, 의식의 레이더 아래에서 작동, 엔도르핀이 관여

- 둘 : 심리적 반사 psychological reflection 과정을 거쳐 신뢰, 책임, 호혜를 쌓음, 사회적 뇌 가설 뒷받침


* 대화의 미친 난이도

- 상대의 마음 읽고

- 상대가 뭐에 흥미 가질지 예측하고

- 상대가 방금 한 말과 동떨어지지 않고 논리적으로 이어지는 결론 찾고

- 상대를 불쾌하지 않게 하면서 하고 싶은 말을 하고


* 정신화

- 만약 내가 앤에게 어떤 말을 하고 나서 앤이 했던 대답 때문에 샐리가 화를 냈다면 샐리의 엄마는 뭐라고 할까?


* 마음 상태 동사 mindstate : 의도와 느슨하게 연결되는 동사

- 바라는, 하려고 한다, 추측하는, 궁금해한다, 믿는다, 생각한다


* 의도의 차수 : 특정한 발언에 포함되는 마음 상태의 개수

- 6차 의도 선언문 sixth-order intentional statement : 마음 상태가 여섯 번 반복된 문장

- 당신이 내게 바라는 것과 반대되는 일을 내가 하려고 한다고 당신이 추측하는 이유를 내가 궁금해한다고 당신이 믿는다고 나는 생각한다 => 6차 의도적

- 제미마가 샐리에게 그녀가 프레드와 사랑에 빠졌는지 물어볼 것이라고 짐이 기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당신이 궁금해한다고 나는 믿는다 => 5차 의도적

- 정신화 능력을 평가하는 표준, 정상적인 성인 = 평균 5개 , 20%만 더 많은 마음이 들어간 문장 생성 가능

- 최고의 농담 : 3~5개 마음 상태 포함, 5개까지는 마음 상태 개수 늘수록 농담에 대한 점수 높아짐

- 마음 상태 개수와 비례해서 뇌의 '안와전두피질' 부피 커짐 : 감정처리 영역, 원초적인 느낌


* 뇌 크기 ∝ 정신화 능력 ∝ 친구 수


* 우세 반응 억제 inhibition of prepotent response (의지력) : 우세 반응(행동이 먼저)

- 우정 유지하는데 정신화와 같은 수준으로 중요함

- 행동 억제는 외교의 기본, 민주주의의 기본, 힘든 상황에 살아남아 내일을 기약하는 토대

- 행동 억제능력은 원숭이, 유인원, 인간에게만 있음


* 공유지의 비극

- 공유지를 유지하려면, 미래의 큰 이익을 위해 지금 작은 이익을 포기하는 것, 타협과 절충

- 현재 편향 discounting the future = 밀렵꾼의 딜레마 poacher's dilemma

- 2가지 전략을 사용함 : 의지로 충동 억제 or 의지 실패를 예상하고 사전 위탁 pre-commitment으로 유혹을 의도적으로 차단(공개적 약속, 유혹 장소를 피함 등)


* 요약

- 우정에 필요한 2가지 심리 메커니즘 : 정신화 능력 & 억제


7. 시간과 접촉의 마법


* 신체 접촉 : 관계를 유지하는 힘

- 적당한 접촉을 판단하는 훈련, 아동기 청소년기 대부분을 지나야 파악


* 원숭이, 털 많이 손질해줄수록 서로 도와줄 확률 높음

* 우정은 최면이다

- 뇌 자체 분비 진통제, 엔도르핀류 분자 : 엔케팔린 enkephalin, 다이놀핀 dynorphin, 엔도르핀 endorphin

- 엔도르핀 : 화학구조가 모르핀과 유사, 진통제 역할, 아편 등과 화학구조면에서 유사하나 중독되지 않음


* 털을 골라주면, c-촉각신경(CT) 뉴런(특수 말초신경 시스템) 활성화, 엔도르핀 시스템 활성화

- 1초에 2.5센티미터 속도로 가볍게 천천히 쓰다듬는 것

- 날록손(모르핀, 엔도르핀 길항제) 주입하면 털손질 아무리 해도 부족하여 계속 요청

- 모르핀 주입하면 털손질 받는것에 흥미 잃음

- 털이 없는 인간, 쓰다듬기/톡톡 두드리기/ 껴안기로 대체


* 친구들에게 얻는 심적 따뜻함 = 따뜻함 물체를 손에 들고 있을 때


* 옥시토신 : 사랑호르몬, 신뢰호르몬, 원래 어류의 몸에서 수분 균형 유지하는 메커니즘의 일부로 진화

- 모유 수유를 해도 엄마 몸이 수분 균형을 잃고 엉망이 되지 않게 해주는 것

- 그러나, 옥시토신과 '사랑/신뢰' 등은 신뢰성 떨어짐, 다른 조건 통제 안 함, 확신할 수 없음

- 옥시토신보다는 엔도르핀 시스템이 사회적 유대에 더 설득력 있음


* 사교성은 3 측면 평가 필요

- 사교적 성향 : 개인의 사교 유형, 친절한가(잘 예측하는 변수는 엔도르핀)

- 2인 관계 : 애인 관계 (잘 예측하는 변수는 옥시토신)

- 사회적 네트워크 : 공동체 안에서 얼마나 잘 자리 잡나(잘 예측하는 변수는 도파민)


* 로만 체어 Roman Chair : 가짜 의자에 앉은 자세로 얼마나 버티는지 측정, 통증 역치 측정에 사용


* 친밀도와 시간

- 지인 -> 가벼운 친구 casual friend : 45시간 (9주에 30시간, 하루에 15분)

- 가벼운 친구 -> 유의미한 친구 meaningful friend : 3개월 동안 50시간 필요

- 유의미한 친구 -> 절친 best friends : 100시간

- 우정은 싼값에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님

- 애인이 생기면 친구 2명을 잃게 됩니다


8. 우정을 견고하게 만드는 것들


* 우정을 만들기 위해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함, 유일한 방법은 동시에 여럿의 털을 손질하는 것

- 웃음, 노래, 춤, 잔치, 스토리텔링, 종교의식


* 웃음 : 최초의 약

- 비의도적이고 본능적 반응, 전염성 강함, 일체감/유대감 일으킴

- 웃은 후에 통증 역치 올라감, 엔도르핀 시스템 활성화


* 비의도적 웃음 (뒤센 미소 Duchenne laughter) : 눈꼬리 바깥쪽 잔주름 나타남, 눈 반짝임

- 의도적 웃음(비 뒤센 미소)


* 여럿이 동시에 노 젓는 행동 , 엔도르핀 효과 커짐

- 춤 동작 과격하고 동작이 잘 맞을수록, 유대감 커짐, 엔도르핀 커짐


* 노래 : 집단 규모가 커질수록 유대감도 커짐


* 음식, 소화 발생하는 열 + 포만감 : 엔도르핀 시스템 자극

- 빅 런치 프로젝트 big lunch project : 사교적 식사 프로젝트, 매년 여름 하루 각자 마을 거리에서 점심식사를 함께하며 서로를 알아감


* 공동체 참여의식 크면 ∝ 삶이 가치 있다는 느낌 커짐

* 행복도 : 펍의 단골손님 > 어쩌다 한번 방문한 손님 > 아예 술을 안 마시는 사람


9. 우정의 언어


* 동물과 달리, 인간의 대화는 사회적 세계(정신적 세계)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룸


* 언어의 경이로움 : 매우 고차원적 정신화 능력 필요

- 성공적 대화의 조건은 몰입 flow

- 네안데르탈인은 4차 의도만 이해/표현 가능 : 현 인류와 1개 의도 차이지만, 이야기의 복잡성과 대화 나눌 사람 수에 지대한 영향

- 남자아이 성인 수준 언어 능력 갖추려면 생애 첫 20년 대부분 소요됨

- 5차 정신화 소화하는 사람은 3개 마음 상태의 이야기는 시시하다고 생각함

- 복잡한 의사소통은 규모 큰 집단에서 생활하는 능력의 핵심


* 언어가 진화한 이유

- 1 네트워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뒷담화 가설

- 2 스토리 텔링에 사용됨. 이야기, 설화 : 소속감


* 대화 주제 2/3 사교적인 것

- 혼자 보내는 시간 적고, 의미 있는 대화(스몰톡말고) 많이 하는 학생은 웰빙 수준 높음, 성인도 동일


* 부정적 뒷담화 순기능 : 규칙을 지키게 함, 나쁜 행동 줄임

* 낮 대화 34%-불평 , 6%-이야기 / 저녁 대화 85%-전설과 민담 , 7%-불평


* 얼굴, 목소리, 몸짓의 중요함

- 억양과 강세, 혹은 음량만 남긴 음성파일로 관계 유추 가능, 75~90% 정답률


* 여럿이 함께하는 감정적 경험 = 강한 유대 메커니즘

- 전통적 소규모 공동체 성년의식 : 고통, 공포 포함됨


* 몇 명이 대화해야 자연스러운가 : 4인

- 5인이 되면 30초 내에 2개 대화로 쪼개짐

- 4 배수 도달할 때마다 집단이 쪼개져서 또 하나 대화가 시작됨

- 4명 넘는데 쪼개지지 않을 유일한 방법은 강연으로 전환하는 것


* 자리 없는 누군가의 마음 상태에 관해 얘기할 경우, 대화 인원 최대치는 3명

- 자리 있는 누군가 마음 상태나 사실적 문제 얘기할 경우, 대화 인원 최대치는 4명

- 웃음에도 인원 제한 존재

- 희곡, 현대 영화 : 한 장면 등장인물은 4명, 관객이 한 대화에서 4명까지만 처리 가능

- 만찬 연회의 규모, 식탁 크기에 영향 줌 : 큰 식탁을 놓는 것 - 대화에 깊이 빠져들지 않기를 바람, 조용히 연단의 이야기를 듣기를 바람


* 어둠 속의 대화의 특별함 : 불로 인류는 햇빛을 4시간 연장, 사교활동을 함

- 현재 사교활동에 할애하는 시간과 거의 일치


10. 동종선호화 우정의 일곱 기둥


* 친구들끼리는, 동종 선호 homophily

- 유전자 공유 : 같은 DRD2 도파민 수용체 유전자 가지고 있을 확률 높음, 같은 CYP2A6 유전자 가질 확률 낮음

- 비슷한 생각함 : 영화의 같은 장면을 볼 때 유사한 신경반응 나타냄


* 우정의 일곱 기둥 - 우정은 처음부터 정해져 있는 것이지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다

- 같은 언어/방언 사용

- 같은 지역에서 성장

- 같은 학교, 비슷한 직장 생활

- 유사한 취미와 관심사

- 세계관 일치

- 유머 감각 비슷

- 같은 음악 취향


* 안쪽 5-층 : 기둥 6~7개 공유 / 바깥 150-층 : 1~2개 공유

- 기둥은 대체 가능, 기둥 사이 위계 없음


* 언어와 문화를 완전하게 습득하는 유일한 방법 : 가상의 모닥불 앞에 앉아 어른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는 것


* 공동체 구성원들이 무임승차자를 알아차리려면, 세대가 바뀔 때마다 언어의 50% 정도 바꿔야 함


* 낯선 사람에게 더 친해질지

- 자주 선택하는 특징은 혈통, 종교, 정치, 윤리

- 가장 많이 선택하는 것은 음악 취향

- 진귀한 특징일 경우 가장 많이 선호


* 성격의 5요소 모형 five factor model OCEAN - 전통 심리학자들이 사용

- 개방성 openness

- 성실성 conscientiousness

- 외향/내향성 extraversion/introversion

- 친화성 agreeableness

- 신경증 neuroticism


11. 신뢰와 우정


* 신뢰

- 있어야 사회가 존재

- 너무 많으면 무임승차자 발생


* 이기적 거짓말 : 자신의 이익 / 친사회적 거짓말 : 상대의 행복을 위해

- 이기적 거짓말 & 솔직한 사람만 있는 공동체 : 여러 개 작은 집단으로 쪼개짐

- 모두 솔직 : 전체가 서로 연결된 하나의 공동체

- 선의의 거짓말을 허용하니 균열이 메워짐, 선의의 거짓말 몇 명만 있어도 공동체 단합 가능


* 윤리적 편향 moral patiality

- 친구나 가족이 나쁜 행동을 할 경우 변명, 보호하려고 함


* 처벌과 쾌감

- 남성은 육체적 처벌에 의존, 여성은 심리적 처벌에 의존


* 반사회적인 사람, 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

- 10대에 폭력적 -> 후에도 계속 폭력적

- 폭력 선행 요인 : 높은 위험 감수 성향, 낮은 IQ(특히 언어), 가정 불화, 가혹한 훈육, 과잉행동(ADHD 등), 구성원 수많은 가족, 노출되는 위험 요인

- 폭력 유발 인자 : 권태, 분노, 음주, 절망, 남성 동료의 충동질 등

- 반사회 행동은 남성 > 여성

- 반사회적 행동, 행동장애 donduct disorder = 부정적 감정 negative emotionality + 자제력 부족 (둘 다 유전적 요소임)


12. 연애는 우정에 대해 무엇을 알려줄 수 있을까


* 우정의 단계를 넘어갈 때 판단은?

- 장기적 동반자 : 정직, 겸손, 헌신


* 옥시토신 : 위험을 감수하고 사랑을 고백하게 함

- 엔도르핀과 도파민 : 고백이 받아들여진 후 다음 관계를 만들어가게 함


* 사기 대상 : 잘 사는 사람 & 외로운 사람

- 한번 믿은 후에는, 증거보다 믿고 싶은 것을 믿음


13. 우정과 젠더


* 여성 : 대화

- 가장 친한 동성친구를 자매로

- 관계를 기억

- 여섯 번째 감각을 가짐 : 다른 사람 감정 유추, 정신화

- 멀티태스킹 가능

- 대화는 협력적, 맞장구


* 남성 : 활동을 같이하는데 쓴 시간

- 가장 친한 동성친구를 사촌으로

- 집단적 측면을 기억

- 인간관계 내에서 발생하는 긴장과 스트레스에 강함

- 경쟁을 벌이기 전 후에 접촉 (안전장치:앞으로 일어날 일에 서로 기분 상하지 않도록, 경쟁 결과 수용하고 이후에도 협력하겠다는 표현)에 능숙

- 대화는 경쟁적, 전투적


* 주커먼의 자극 추구 척도 zuckerman's sensation seeking scalerk

- 남녀 차이 뚜렷

- 전율과 모험 추구 TAS (스카이다이빙 등)

- 탈억제 DIS (마약 등)

- 경험 추구 ES (여향 등)

- 권태 감수성 BS (지루함을 잘 느껴 영화관등 활동을 해야만 하는 경향)


* 엄마어(모성어) motherese : 엄마어로 말 걸어준 시간 긴 아기들이 체중 증가 빠르고 발달 단계 일찍 통과


* 성별용 다른 샤워젤

- 남성은 거친 질감, 여성은 부드러운 질감에 반응

- 여성은 색 구별을 더 잘함 (적색맹은 남성에게만 존재)


* 단어 생성, 공간지각, 기억 : 남녀 뇌 서로 다른 영역에서 과제 처리


14. 그들은 왜 멀어졌을까


* 우정을 끝내려면 자주 안 만나면 된다


* 관계 유지 6 법칙

- 그 사람 없는 자리에서 편들어 준다

- 그 사람과 중요한 소식 공유한다

- 감정적 지원이 필요할 때 해준다

- 서로 신뢰하고 비밀을 털어놓는다

- 도움이 필요할 때 자발적으로 도와준다

- 행복하게 해 주려고 노력한다


* 관계 깨지는 11법칙

- 관심 부족, 소통 실패, 서서히 멀어짐, 질투, 약물 문제, 관계 집착, 제삼자와 경쟁, 다른 사람의 방해, 피로, 오해, 문화적 차이

- 주요 원인 3가지 : 관심 부족, 소통 실패, 질투


* 육체적 고통과 사교적 고통 관장하는 뇌 영역 동일


* 타인을 향해 느끼는 유대감은 포유동물들의 엄마-새끼 간의 유대감에서 비롯되었을 것


* 울음에는 엔도르핀 시스템 관여

- 울음의 기원은 기분 전환하는 직접 효과와 관련 있을 것


* 화해가 이뤄진 방법

- 단순한 사과

- 다름 솔직한 인정, 손해 보상, 유예기간

- 꽃다발 세리머니 등의 화해는 가장 드문 케이스

-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용서를 못함


15. 나이에 따른 우정의 변화


* 어떤 종도 인간처럼 긴 사춘기를 보내지 않는다. 사춘기에 키워야 하는 능력은 사교 세계 밖에 없다

- 10대 청소년은 인간관계에 많은 어려움 겪음 : 자잘한 것까지 섬세하게 챙겨야 함, 어른들은 이미 사교술 습득 완료, 무의식 상태에서 사교 활동하다 까다로운 일 발생 시에만 의식적으로 집중

- 자의식 있는 동물은 1차 의도, 5세 어린이 2차 의도(마음 이론), 10대 중후반 5차 의도

- 동시에 상호작용 5세 2명, 11세 3.5명

- 17세에 이르러 관계는 쌍방향이며, 상대방이 나와 같은 사람이라는 사실을 이해하기 시작


* 고독 : 현대사회의 가장 큰 사망 원인

- 과거에 노인은 짐이 되기 전에 스스로 목숨을 끊음


* 남자아이들이 여자아이들보다 더 큰 모둠을 지어서 놀음

- 여자아이들끼리는 3명이 놀면 1명이 소외되어 삼각형이 깨질 확률 높음

- 남자아이들은 2명이 놀다가 1명이 더 들어와 삼각형 이룰 확률이 높음

- 아동기 후반에서 청소년 우정 : 여자아이는 강렬하고 집중적, 남자아이는 눈에 보이지 않으면 마음에서 멀어지는 단순함


* 양극성 장애 성인의 1/3은 아동기에 사교적 고립을 경험한 사람


* 관계의 핵(아주 가까운)에 관련된 이론

- 우정의 사회적 감정 이론 : 나이 들수록 까다로워져서 몇몇과만 집중한다

- 호위 이론 : 평생 우리를 지지하는 친구들로 이뤄진 안정 집단이 삶의 동반자가 되어준다


* 이혼 회복 속도는 각자 자원에 따라 다르다

- 친구 가족 수, 소득 수준, 고학력 : 트라우마 적고 빠른 회복


* 노인 정신/신체 건강 : 사교 클럽, 사교 활동이 진짜 효과


16. 온라인의 친구들


* 화상전화 : 임재성, 몰입에 있어 효과

* 코로나의 발견

- 좋은 측면 : 디지털 기능으로 관계 유지 - 화상 합창단, 노래 부르기, 화상 식사

- 부정 측면 : 대규모 사회 모임에는 적합지 않음


* 인터넷을 많이 사용할수록 한집에 사는 가족과 소통은 줄음. 사회적 네트워크 작아짐. 우울 고독 느낄 확률 커짐

- 인터넷 사용은 부정 영향 있으나, 통계학적으로 그 효과는 크지 않음


* 삶에 만족도 높으면 - 1년 후 전자기기 사용시간 줄어듬, 전자 기기 사용 늘으면 - 1년 후 삶에 만족도 낮아짐

- 그러나 효과 크지 않음


* 아이들의 온라인 활동

- 집단 상호작용 부족

- 타협하는 방법 부족 (그냥 접속 중단하니까)


* 온라인은 신체접촉, 가벼운 애정표현인 몸짓이 불가능

매거진의 이전글 어쩐지 미술에서 뇌과학이 보인다 - 에릭 캔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