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책읽는그립 Jan 06. 2024

미숙했던 엄마, 어렸던 나

자기 전 남편 옆에 누워 내가 쓴 글을 읽어 준 적이 있었다. 어릴 때 내 얘기로 장난감이 없었다는 이야기였다.


"나도 어릴 때 부모님이 그랬어. 그런데 그냥 그러려니 했어."

라며 남편이 짧은 감상평을 남겼다.


남편은 어릴 때 바쁜 부모님이 잘 돌봐주지 못했다고 했다. 농사를 지으시는 부모님은 언제나 집에 안 계셨다. 막내인 남편은 형, 누나들과 시간을 보냈다. 5살 때 혼자서 계란프라이를 해 먹을 정도로 뭐든 스스로 했다고 했다. 집 형편이 좋지 않아 자기 몫의 장난감도 없었다.


남편과 나는 많은 부분이 닮았다. 그런데 결정적인 부분이 다르다. 남편과 나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남편은 부모님을 이해했다. 부모가 되면 부모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다는데, 나는 아이를 키울수록 부모님이 미웠다. 내가 부모의 마음을 알게 되자 엄마가 어떤 마음으로 나를 대했는지 알 것 같았으므로.



우리 집은 부유했다. 어린 시절, 부잣집 밥 먹듯 굶었다는 아버지는 돈에 대해 집착이 심했다. 그래서였는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돈을 많이 벌었다. 일을 하고 돌아오면 항상 힘들어했고 그 화살은 가족들에게 향했다. 자주 하는 말씀은 "내가 뭐 때문에 이렇게 힘들게 일하고 있는데. 처자식 먹여 살린다고 뼈 빠지게 고생하는데."


아버지의 사업은 점차 커졌다. 혼자서는 힘들어진 규모에 어머니가 일을 도왔다. 그럴수록 부모님은 자주 싸웠다. 내 기억 속 남아있는 부모님의 모습은 매일 밤 통장을 보며 이 돈을 어디다 썼는지 묻는 소리 지르는 아버지와 엄마의 악다구니였다.


부모님은 본인들의 삶을 항상 버거워했다. 일이 늘고 돈은 많아졌지만 마음은 항상 허덕였다. 아버지는 가난하고 밥 굶던 시절의 모습 그대로였다. 돈이 어디로 샐까 걱정이었고, 엄마는 그런 아버지의 간섭과 통제를 못 견뎌했다. 엄마의 삶이 힘드니 자식에게 신경 쓸 겨를이 없었다. 자신의 삶을 보호하는 데에도 온 신경을 다 써야 했으니까. 그런 와중에 엄마는 힘을 짜내 동생에게 남은 신경 일부분을 썼다. 거기에 내 몫은 없었다.


나는 엄마 말을 잘 듣고 공부를 잘해야만 겨우 눈길을 받을 수 있었다. 나는 노력해야 얻을 수 있는 것들을 동생은 아무 대가 없이 받았다. 엄마의 사랑을 받고 싶은 나는 말 잘 듣고 착한 아이, 요구가 없는 아이, 혼자 알아서 잘하는 아이가 되어야 했다.


성인이 된 후 한 번은 동생과 대화를 한 적이 있다.

"우리 엄마는 그리 사랑이 많았던 엄마는 아니었던 것 같아."

내가 말했다. 그러자 동생이

"나는 엄마가 사랑이 많은 사람이라 생각하는데?"

하고 답했다. 나는 어떤 말보다 그 말이 참 슬펐다.


나와 남편의 결정적인 차이는 이것이었다. 남편은 형제들과 비슷한 정도로 사랑을 받았고, 나는 차별적이고 조건이 붙은 사랑을 갈구하며 받았다.


심리서를 종종 읽는다. 어떨 때는 다 내 얘기 같고 어떨 때는 하나도 맞는 게 없는 것 같다. 그럴 때면 세상에 혼자 있는 듯한 외로움을 느낀다. 나는 차별받고 자랐다는 마음을 가슴 한편에 간직하고 살았다. 어떤 일을 당해도 나는 차별받고 자란 사람이니, 다른 사람에게까지 이렇게 당하고 싶진 않다는 게 지배적인 마음이었다. 그런 것이 마땅한 줄 알았다. 그 과정에서 나는 자존감이 높은 사람인 줄 착각하며 살았다. 그런 마음이 내 안에서 자존감 한 부분을 비대하게 키워갔는지도 모르고. 그렇게 내 속이 곪아가는지도 모르고 그저 아파만 했다.



나는 그렇게 부당하게 취급받을 이유가 없었다. 하지만 그런 상황이 있었던 것만은 사실이고, 이것이 나의 잘못이나 결함에서 기인하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그들은 그 나이에 알맞게, 형편없이 미숙했다.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허지원

© wesmac5, 출처 Unsplash



엄마는 자신의 삶을 보살피느라 딸인 나의 삶까지 봐줄 여유가 없었다. 엄마는 엄마대로 살아냄이 힘겨웠고, 자식을 다루는 데 미숙했다. 한때는 원망했고, 분노했다. 나는 이것을 더 이상 아프게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엄마의 삶이 힘든 건 내 잘못이 아니었다. 내가 아무리 엄마 속을 썩이지 않으려 안간힘을 쓰고, 신경 쓰이지 않게 해도 여전히 엄마는 불행해했다. 그때 내가 어떤 노력을 했더라도 엄마를 그 삶에서 구해낼 수 없었을 것이다. 엄마가 아무리 삶에 지쳤더라도 나 역시 그런 취급을 당할 이유는 없었다. 나는 내 나이답게, 엄마는 엄마 나이답게 미성숙했다.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이라는 말이 있다. '가는 곳마다 주체가 돼라, 지금 서 있는 곳이 모두 진리이다'라는 뜻으로 중국 당나라시대 임제 선사의 언행을 기록한 임제록에 나오는 말이다. 상황과 조건이 변하는 환경에서도 주도적으로 행하라는 것이 수처작주이고 서 있는 곳에서 해결 방법을 찾으라는 것이 입처개진이다.


나는 더 이상 부모를 원망하는 데 에너지를 쏟지 않기로 했다. 상처받은 과거는 사실이다. 그러면서 나의 고유성이 만들어졌다. 나의 장점과 단점, 스스로 정말 좋아하는 부분과 약점 모두 어린 시절을 겪으면서 다듬어지고 깎여졌다. 


과거는 더 이상 아무런 힘을 갖지 않는다. 나는 이제 스스로의 삶을 책임질 수 있는 성인이 됐고 과거의 상처받은 나는 이제 내가 보듬기로 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사실은 나는 부모오답노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아이를 양육함에 있어서 해서는 안될 몇 가지를 깊이 체득했다. 이것이 엄마로서 내가 가진 큰 힘이 됐다.


내가 주체가 되어 사는 삶, 그리고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아는 수처작주 입처개진을 떠올리며 지금, 현재를 오늘도 다시 살아간다.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김밥 꼬다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