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와 콘텐츠 마케터, 사는 게 참 비슷하네요
사람 사는 게 다 거기서 거기라지만, 직무도 다 거기서 거기인 걸까. '개발자'와 '콘텐츠 마케터'는 대척점에 직무 같았다. 단순한 이과/ 문과라는 이분법적 분류. 나아가 회사에서 그들의 행동양식을 관찰해도 나와 일반적인 개발자들의 행동은 굉장히 달랐다. 깜장 화면에서 영어 자판을 두드리고, 영어 전문용어를 쓰면서 컴퓨터 앞에서 2~3시간을 조용히! 보내는 걸 보면서 서로 다른 일을 하는 걸 넘어 다른 인간 종류구나 생각했다.
하지만 막상 일 이야기를 듣고 지근거리에서 살펴보면, 코딩을 짜는 개발자 삶이나 콘텐츠 마케터의 글을 쓰는 삶이나 똑같네 싶었다. 그 쌍둥이처럼 비슷한 발견 4가지를 소개한다.
왜 '잘못'은 대중에게 공개가 된 후 보이는 것일까. 프로덕트에는 버그가 있다면 콘텐츠에는 오탈자가 있다. 고통과 번뇌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버그나 오탈자 왜 다른 사람이 먼저 발견하는 걸까. 개발자가 배포 후 구시렁거리는 하는 말 "이 코드 3~4명이 봤는데, 왜 이제야 버그를 발견한 거야"라는 말이다.
콘텐츠 마케터인 나도 글을 발행하기 전후 글을 읽고 또 읽어도, '여기 오탈자 있어요'라는 사내 메신저 또는 댓글이 달린다. 물론 여러 사람에게 검토도 요청했고 맞춤법 검사기도 돌렸는데 꼭 그렇다. 글 쓰는 직업을 갖은 지 6년 차가 돼가는데 이젠 오탈자들끼리 나 몰래 자가 번식한 게 아닐까 싶을 정도다. 개발자 심정도 마찬가지인 거 같다.
'나도 코딩할걸'이라는 말은 개발자의 연봉이 높은 구직시장에서 문과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말일 것. 이 말을 회사에서 자주 내뱉곤 했는데 개발자들 모두 '지금 당장 할 수 있어요. 늦지 않았어요'라고 말한다. 코딩은 누구나 시작할 수 있다. 기초 지식 없이도 마음만 먹으면 된다. 실제로 우리 회사에도 철학과, 사학과 등 학과 출신 개발자가 있다.
반대로 나도 개발자들에게 '글 잘 써서 좋겠다'는 말을 정말 많이 듣고, '글은 어떻게 쓰냐'는 말을 많이 듣는다. 똑같이 응수한다. 지금 아무거나 쓰세요! 지금 바로 펜으로 노트에 끄적이고, 인스타그램에 한 줄 쓰는 것부터가 글 쓰는 건데요!라고.
하지만 먹고 사니즘을 위해 글과 코딩을 한다면, 좋은 글을 쓰고 코드를 잘 짜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평가를 꼭 받고 개선하는 과정을 여러 번 거쳐야 한다. 개발자 자리에 가면 두 명이 짝을 지어 쌍쌍바처럼 앉아 이야기를 하는 걸 매번 본다. 코드를 리뷰 중이다. 매니저가 한줄한줄 코드를 뜯어보고 이해 안 되는 부분을 짚어주고 수정을 거듭한다.
글도 마찬가지다. 기자를 준비할 때는 '공개처형'이라고 불리는 시간이 있었는데, 글 한편을 쓰면 동기 5~10명이 돌려보면서 글 한줄한줄 팩트 체크, 표현과 논리를 따져서 비판하는 시간이 있었다. 지금도 경력이 6년 차지만 대표부터 매니저에게 점수로 글을 평가받고 어느 부분이 좋고, 개선돼야 하는지 평가받았다. 이 평가를 '정면돌파' 하고 받아들여야만 좋은 코드, 좋은 글을 평균적으로 잘 뽑아내는 사람이 될 수 있다.
"이거 배추도사가 쓴 글"인 거 같아. 정말 대학교 때부터 지금까지 자주 듣는 말이다. 평가받기 위해 이름을 가려 제출한 글, 대학교 때는 익명으로 쓴 대자보, 몰래 친구에게 쓴 쪽지, 기자들에게 배포한 보도자료. 다 이름표를 떼서 보냈는데도 다 '이거 배추도사가 쓴 거죠?'라는 말이 나왔다. 글에는 지문이 있다. 아무리 담백하고 객관적으로 쓴다고 하더라도 글을 서술하고 표현하는 방식, 문체, 관점 등 '필자'의 특색이 드러난다. 사실, 나도 임경선, 백영옥, 김얀, 이어령 등 좋아하는 글쟁이들의 이름을 가려도 누가 썼는지 알 수 있다.
코드도 마찬가지다. 우리 회사 개발자에게 꽤 들은 말이 '대표(레드)'가 짠 코드는 찾아낼 수 있어요'. 레드가 짠 코드의 특징은 명확하거든요. 그의 코드 특징이란 게 '핵심'을 굉장히 촘촘하고 뾰족하게 짰다는 거라고 한다. 코드 전반은 아니더라도, 제품의 이름 정하거나 무언가를 정의하고 논리를 정리하는 과정이다 보니 그 사람의 특징이 나온다.
제일 좋은 글은 쉬운 글이다. 그 예로는 이어령 선생님의 글이다. 그는 어려운걸 쉽게 썼다. 그러니 초등학생부터 어르신들 모두가 읽고 그의 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고, 계속 읽어 행동이나 생각을 바꾼다.(초등학생 때 이어령 선생님의 글을 읽고 관점이나 사고방식을 따라 하고 여러 어른들과 그의 글을 소재로 대화할 수 있었다.)
지금도 글을 썼을 때, 꼭 아예 회사 밖에 아무것도 모르는 친구, 부모에게 글을 읽히고 어떻냐고 물어본다. 아무런 배경지식이 없는 사람이 주는 피드백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거나 별말이 없으면 다시 쓴다. 주제가 어떻게 됐든 쉬워야지 모두가 하나의 주제에 대해 이해하고 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대의 관심을 끌거나 변화를 만든다.
코딩도 마찬가지다. 제품은 다 함께 만드는 것이고, 계속 업데이트를 하기 때문에 코드는 누가 봐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정의를 어떻게 했고, 어떻게 설명하고, 로직을 어떻게 짰는지 쉽게 이해 할 수 있어야 한다. 개발자들 코드 리뷰를 듣다 보면 정말 많이 듣는 말이 "이렇게 써두면 사람들이 이해를 못 하잖아요"다.
쉬운 글/ 코딩을 짜는데 핵심은 '하나의 글/ 함수에는 하나의 주제만 담을 것'이다.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아도 참고 딱 하나의 주장을 논리 정연하고 깔끔하게 쓰면 웬만해선 쉬운 글이 된다. 아마 코딩도 그렇겠지?
코딩과 글의 다른 점도 정말 많지만, 그중 가장 다른 건 담당자의 연봉이지 않을까? 앞자리가 정말 여러 번 다르다. 개발자와 나는 정말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거 같은데, 연봉이 다르다니. 게다가 제품은 개발하면 큰돈을 벌어다 주지만, 글은 항상 어딜 가도 똥값을 취급이다. 사람들은 왜 글을 공짜로만 읽으려고 하는 걸까.
그래도 알라딘 램프요정이 와서 '개발자로 직업을 바꾸게 해 줄게'라고 말한다고 하더라도, 난 말과 글을 쓰는 일을 선택할 거 같다. 한 줄 한 줄 감정을 담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제품을 아무리 잘 만들어도 사람을 결국 움직이게 만드는 건 글이기 때문이다. 제품을 누구든 이해하기 쉽게 활자화해, 그 글들이 모니터를 뚫고 나와 소비자를 움직이게 만드는 짜릿함. 그냥 그게 더 재밌을 거 같다. 휴~아이고 내 팔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