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건빵 Sep 05. 2020

고문진보야 우리 조금 친해졌지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後集)을 마치다 2.

2020년 세계는 ‘코로나19’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고 그간 ‘면대면(面對面)’을 주장하던 교육계의 풍토도 순식간에 바뀌어 ‘비대면(untact)’이 대세가 되었다. 이젠 더 이상 누군가에게 ‘맘껏 마음을 열고 여기저기든 떠나봐’라는 말을 할 수 없는 세상이 오고야 만 것이다.                



▲ 815 광화문집회 후에 급격하게 확산되며 임고반에서도 마스크를 써야 한다.




코로나가 만든 위기?     


올해 초에 2차 시험을 봤는데 면접 문제 중 즉답형 문제가 바로 ‘면대면’과 관련된 관련된 것이었다. 두 명의 교사를 제시하고 한 명은 면대면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교무회의를 꼭 만나서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에 다른 한 명은 통신기술이 발달했으니 굳이 모일 필요 없이 회의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이었다. 이 둘 중에 더 공감가는 교사상을 이야기하고 반대 의견을 가진 교사와 이야기를 나눌 때 설득방안에 대해 논하라는 문제였다. 

당연히 이 문제에 정답이란 있지 않고 얼마나 자신의 논리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으며, 그걸 설득까지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할 뿐이다. 하지만 이런 문제가 출제될 수 있었던 건 어디까지나 ‘면대면’이 가능한 시대기 때문이고 그걸 권장하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가 휩쓴 지금 시대엔 더 이상 저런 문제는 나올 수가 없다. 수업도 온라인 중심의 비대면 수업을 권장하게 되었으니 말이다. 

이런 상황 때문에 당연히 진행되던 것들도 무기한 연장되거나 아예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3월이면 임고반에 들어가 공부의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임고반도 몇 차례의 연기를 거듭하며 모집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시립도서관조차도 열람실을 개방하지 않고 있으니 이런 상황에선 집에서 공부를 해야만 했다. 

솔직히 이건 시험공부를 해야 하는 사람에겐 위기라 말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계획을 세웠는지 피치 못할 상황으로 인해 어긋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위기라기보다는 또 하나의 기회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들더라. 이 기회를 통해 평상시에 공부하고 싶었지만 하지 못했던 것들을 정리할 수 있으니 말이다. 임용시험까진 많은 시간이 남았으니 정리하고 싶은 것들을 하나하나 마칠 수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다. 그 덕에 꼭 한 번 제대로 정리하고 싶었던 『비슷한 것은 가짜다』, 『연암을 읽는다』, 『한시미학산책』, 『교육입국론』, 고사성어와 같은 방대한 내용을 지닌 책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하나씩 끝내가는 재미그럼에도 미루어둔 것     


이렇게 긴 시간을 들여가며 정리하고 싶던 것들을 하나하나 정리하며 끝내다 보니 자신감이 들더라. 예전엔 무엇인지도 모르고 시간 단위로 배정을 해서 공부했었다. 이를테면 초등학생 때 방학이 되면 시간표를 만드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9~11시 경서, 11~12시 한시, 1~3시 교육학’ 하는 식으로 하루에 여러 가지를 한 번씩은 다해야 한다는 강박이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한 권의 책을 꾸준히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그런 강박은 깨졌다. ‘여러 가지를 하루에 시간대별로 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하나를 꾸준히 잡고 그것부터 정리하면서 끝내자’는 생각으로 바뀌었다. 이렇게 하면 좋은 점은 하나씩 하나씩 끝나간다는 성취감이 있고 그에 따라 더 이상 끝난 것에 대한 아쉬운 마음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정리하고 싶은 목록에도 당연히 『고문진보(古文眞寶)』도 끼어 있었지만 다른 것만 손댈 뿐 이 책은 여전히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다. 이미 보기 전부터 양이 많다는 사실에 손조차 대기 싫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다고 해서 무작정 미루기만 하는 건 불가능했고 시험을 보기 전까지 ‘서사한시와 『고문진보(古文眞寶)』는 모두 정리해놓고 간다’고 계획을 세운 이상 한 번은 직면해야만 했다.                



▲ 집에서 공부할 때의 모습. 컴퓨터로 열심히 정리한다.




고문진보란 산에 오르기 시작하다     


마침 정리하고 있던 고려시대 산문까지 모두 끝나게 되자 8월 26일(수)부터 고문진보를 잡고 해석을 하기 시작했다. 2년 전부터 한문공부를 다시 시작하면서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고문진보(古文眞寶)』를 보긴 했으니 아예 맨바닥에서 시작해야 하는 건 아니었지만 그래도 봐야 할 글이 무려 67편이나 되더라. 

끙끙대며 고문진보란 산을 마침내 오르기 시작했다. 이런 우여곡적 끝에 고문진보란 산에 오르기 시작한 만큼 ‘시작이 반’이라는 말에 적극적으로 동의한다. 시작조차 하지 않고 내뺄 땐 그만큼 부담이 있는 것이고, 그만큼 잘 해내고 싶다는 마음이 있는 것이다. 그런 부담과 잘 하고 싶은 마음 사이를 파헤치고 들어가 시작하게 된 셈이니 힘겨웠던 시작만큼이나 그 시작의 가치는 일의 절반을 성취한 것과 같을 수밖에 없다. 올해 참으로 많은 것들을 시작하고 정리한 저력이 있는 만큼 막상 시작한 『고문진보(古文眞寶)』도 잘 마무리 지을 거라 자신감이 있었다. 시간은 좀 더 걸릴지라도 중간에 하기 싫어 딴짓을 할지라도 말이다. 

그렇게 시작한 『고문진보(古文眞寶)』는 9일 만에 끝이 났다. 이번에 정리하며 특히 두 개의 글이 나를 괴롭혔다. 한유(韓愈)의 「평회서비(平准西碑)」가 하나이고, 유종원(柳宗元)의 「재인전(梓人傳)」이 다른 하나다. 한유의 글 같은 경우는 양도 많을뿐더러, 문체도 익숙하지 않고 당나라 반란과 그걸 해결해나간 역사적인 사실까지 담고 있어 전혀 쉽지 않았으며, 유종원의 글은 대목장과 재상을 비유한 심플한 내용임에도 까다로운 한자들이 많아 쉽지 않았다. 그러니 다른 글을 먼저 해석하기로 하고 이 두 글은 최대한 나중으로 미루어두고 있었던 것이다.                



▲ 임고반에서의내 책상. 한 권씩 정리되는 만큼 책장의 책들도 줄어간다.




기어코 해냈다     


역시 시작하고 한 편씩 정리하다 보니 서서히 끝이 보이더라. 『고문진보(古文眞寶)』라는 산은 너무도 높아서 감히 나 같은 사람은 엄두도 낼 수 없을 줄만 알았는데 한 걸음씩 차곡차곡 쌓이다 보니 어느덧 정상을 코앞에 둘 수 있게 되었다. 시작은 정말로 반이었던 셈이고 그 시작을 통해 탄력을 받으니 이런 순간을 맛볼 수 있게 된 것이다. 

한유(韓愈)의 「평회서비(平准西碑)」를 마지막으로 정상에 도달했다. 이 글 하나를 정리하는데 4시간 이상이 걸렸지만 마지막이었기에 그리고 그 마지막을 통해 기어코 한 권을 제대로 본 첫 순간이기에 뿌듯하기만 하다. 

이로써 한문으로 임용시험을 준비하며 ‘『고문진보(古文眞寶)』는 다 보고 가야 하는데’라는 부담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그리고 그만큼 이런 성취감을 통해 지금부턴 좀 더 미비한 것들을 공부해나가면 된다. 막상 『고문진보(古文眞寶)』란 산에 오르고 보니, 엄두도 못 냈던 지리산을 단재학교 아이들과 4박 5일 동안 지리산을 종주하고 천왕봉에 올랐을 때의 기분처럼 무엇이든 다 할 수 있을 것만 같다. 이제 더 이상 한문을 보고 도망다니지 않아도 되고, 시험장에서 기겁을 하며 숨지 않아도 된다. 실력이 월등이 나아졌다곤 할 수 없지만 그래도 한 걸음 나갈 수 있는 기반은 마련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달 동안 마무리 잘 지어 올해 임용에서도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보련다. 그래 힘차게 가보자.           



▲ 2013년에 지리산을 함께 걷던 동지들. 소중한 인연들이다.



인용

목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