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손민규 변리사 Jan 05. 2024

도대체 몇 시간을 공부해야 합격할 수 있나요?

제가 참 많이 받는 질문 중에 하나가 도대체 몇 시간을 공부해야 합격할 수 있나요? 라는 질문입니다.


합격수기에는 자기가 얼마나 하루에 몇 시간 공부했는지가 보통 기재가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그 합격시간에 좀 얽매여 가지고 공부시간이 이것밖에 나오지 않나 라고 굉장히 좀 좌절하고 자책했던 시간들이 참 많았습니다.


변리사 시험 1차 준비만 할 때라도 내 공부시간에 문제가 있나? 나는 이 시험을 준비하면 안 되는 것인가? 라는 의구심이 참 많았습니다.


도대체 몇 시간을 공부해야 합격할 수 있나요?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하기 전에 우리는 우선 순공부 시간의 정의부터 명확하게 하고 넘어가야 됩니다.




도대체 순공부 시간이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제가 말씀드리는 공부법에서 순공부 시간이라 함은 이 두 가지 요건을 반드시 충족해야 됩니다. 이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하는 시간만이 순공부 시간이라고 저는 정의합니다.



첫 번째 요건 - 순수하게 뇌를 사용하는 시간


첫 번째 요건은 순수하게 뇌를 사용하는 시간입니다. 이는 단순히 공부를 하기 위해 책상에 앉아있는 시간이 아닙니다.



만약 내가 독서실에 9시에 출근을 하고 밤 9시에 퇴근을 한다고 가정을 하면은 12시간은 독서실에 앉아있는 게 맞죠. 하지만 이게 순공부 시간은 절대로 아니겠죠? 왜냐하면 저 12시간 동안은 당연히 밥도 먹을 거고 휴식을 취하기도 할 것이고 핸드폰을 하는 시간도 있을 것입니다. 당연히 이 시간들은 공부 시간으로 계산을 하면 안 됩니다.



자 그러면은 뇌를 사용했다, 즉, 뇌를 썼다, 머리를 썼다고 볼 수 있는 행위는 과연 무엇일까요? 뇌를 쓴다는 것은 제가 계속 강조드리는 아웃풋, 즉, 현출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내가 알고 있는 머릿속의 내용들 즉, 인풋을 통해, 회독을 통해 내 머릿속에 희미하게 들어온 내 머릿속의 내용을 끄집어 내가지고 이거를 되새김하는 행위가 바로 아웃풋, 현출인 겁니다.



많은 분들이 이런 경험 있으셨을 겁니다. 어느 순간에 내가 이걸 하려고 했는데 내가 방금 하려고 했던 게 뭐였지? 내가 방금 하려고 했던 말이 뭐였지? 이렇게 갑자기 까먹은 경험이 다들 있으셨을 겁니다. 그 때 우리는 안간힘을 써가지고 정말 미간이 찌푸려지면서 아 뭐였지? 뭐였더라? 라고 다시 기억해내기 위해서 정말 다른 생각들이 비집을 틈도 없이 온 집중을 하게 됩니다.



공부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게 내 머릿속에 있는 지식들을 끄집어내기 위해서 정말 안간힘을 써가면서 현출해내는 그 시간과 과정이 바로 공부를 했다, 뇌를 썼다 라고 볼 수 있는 행위인 겁니다.





객관식 같은 경우에는 내 머릿속에 있는 인풋을 바탕으로 어떤 지문이 맞는지 틀린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로 아웃풋이구요. 주관식의 경우도 OX판별만 아닐 뿐이지, 내 머릿속에 있는 인풋을 끄집어 내가지고 답을, 즉, 어떤 단어나 문장 등을 맞추려고 어떻게든 머릿속에 있는 것을 끄집어 내죠. 논술형의 경우에도 내 머릿속에 있는 인풋들을 목차에 맞게, 분량에 맞게, 시간에 맞게 일부를 꺼내서 답안지에 써내려가는 것이 바로 논술형의 아웃풋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의 인풋을 기반으로 머리를 써서 아웃풋으로 인출하는 행위, 이 행위가 바로 뇌를 썼다고 볼 수 있는 행위이고, input, 즉, 회독은 냉정하게 말씀드리면은 뇌를 100% 온전하게 썼다고 볼 수는 없는 행위입니다. input이라 함은 단순히 기본서나 책들을 읽는 행위 또는 인강을 듣거나 단순히 필기하는 행위 이런 것들은 아웃풋에 비해서 뇌를 덜 쓰는 것이기 때문에 100% 순공부 시간으로 칠 수는 없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input 같은 경우에 50% 정도만 순공부 시간으로 산정을 했는데 이거는 본인이 적절하게 냉정하게 생각해서 input에 대해 적절한 배수를 곱해서 순공부 시간으로 계산을 해야 됩니다.



두 번째 요건 - 지속 가능한 시간


두 번째 요건은 바로 지속 가능한 시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내가 벼락치기를 한다고 가정해보면 내가 밤새면서까지 하루에 10시간, 12시간을 공부했다고 쳤을 때 이 12시간이라는 시간을, 수험기간 내내 3개월, 6개월, 1년, 2년 이렇게 지속을 할 수가 있을까요? 냉정하게 봤을 땐 절대로 그렇게 할 수가 없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순공부 시간이라면 주 5일에서 6일 수험기간 내내 지속 가능한 시간을 의미합니다.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슬럼프 없이 내가 계속해서 꾸준하게 지속할 수 있는 시간이 바로 순공부 시간입니다.





내가 오늘 12시간을 공부했다, 그러면 좋아할 게 아니라 12시간을 과연 1년, 2년 내내 지속할 수 있느냐 하는 관점에서 자신의 순공부 시간을 파악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자신의 지속할 수 없는 순공부 시간을 지속한다 뭐, 하루에 12시간을 공부한다, 3일이나 일주일 정도는 가능하겠죠. 그런데 이게 반년, 1년, 2년으로 가면은 반년은 커녕 그 전에 반드시 번아웃이 오고요 슬럼프가 오게 됩니다. 번아웃과 슬럼프가 오면은 또 공부를 많이 안하게 되죠. 그래서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손해라는 겁니다.



이 공부라는 것은 연속성과 지속성이 있어야 되는데 그렇게 번아웃이나 슬럼프가 오면은 앞에 내가 공부했던 12시간이나 뭐 길게는 반년 동안 해놓은 게 다 날아가 버리게 되는 겁니다. 또 심하게 슬럼프가 오면은 정말 그 후유증으로 인해서 극심한 정신적인 고통까지도 수반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리를 하자면은 수험공부 시간이라 함은 수험기간 내내 주 5일에서 6일 동안 지속 가능한 input이 아닌 output 시간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순공부 시간을 딱 정의를 해놓고 앞으로 순공부 시간에 대한 얘기를 계속해서 이어나갈 겁니다.



합격을 위해서 내가 몇 시간을 공부해야 되는 것인지, 그리고 순공부 시간을 늘리는 방법에 대해서 계속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인강 선택시 고민해야 하는 것들 (수험생활 마인드셋)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