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은 Jul 29. 2019

여행(旅行) 여행(勵行)

지구를 스쳐 지나가는 사람이 남기는 흔적  <모래강 내성천> 편

적어도 내게 있어 여행은 항상 옳다


가족과 떠나는 패키지여행도, 친구들과 가는 해외여행도, 혼자 떠나는 국내 여행도 어느 것 하나 즐겁지 않은 것이 없다. 그중에서 무엇이 제일이냐 묻는다면 당연히 혼자 떠나는 여행이 가장 즐겁다고 말할 정도로 여행은 내 삶에 있어 에너지의 근원이다. 스쿠터를 타고 제주도 일주를 하겠노라 호언장담을 하고 갔던 가을 제주에서는 그 무섭다는 가을 태풍을 만났고 패러글라이딩에 도전해보겠노라 하고 갔던 단양에서는 전날 빈속에 마신 술로 인해 트럭으로 산을 타는 것조차 고역이었지만 당시에도 지금도 그 모든 순간은 그저 즐거움이었다.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차곡차곡 모은 돈을 들고 세계일주를 하고 싶은 것이 소원이다. 일단 박사 수료를 하든 졸업을 하든 뭐라도 해야 가능한 꿈이지만 그 언젠가를 위해 가고 싶은 여행지만 꾸준히 북마크 할 뿐이다.

지하철을 타고 강을 건널 때, 스마트폰만 들여다보던 사람들이 미어캣처럼 고개를 드는 것을 지켜보는 것도 소소한 행복 ©에코

대학원생은 돈 못 버는 직장인이라더니,

종강은 있는데 방학은 없는 삶이 아직 채 적응이 되지 않는 대학원 새내기는 짧게나마 여행을 가고 싶은 욕구를 항상 가슴속 다락방에 넣어두고 다닌다. 어쩔 수 없이 서울에서 자취를 하고 있지만 매주 집에 내려갈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곳이 고향인 경기도 사람. 광역버스를 타고 한남대교를 건너며 창 밖으로 푸른 하늘을 볼 때, 혹은 2호선을 타고 당산에서 합정으로 넘어가는 길에 노을 진 한강을 볼 때가 가장 마음이 시끄럽다. 노을빛을 닮은 모닥불이 마음에도 지펴지기라도 한 건지, 모닥불을 지피러 캠핑을 하러 가자고 발을 동동 구르는 것인지 아니면 그냥 불에 감자라도 구워 먹자는 것인지 도통 내 마음을 모르겠어하며 신분당선으로 갈아타던 순간 마주친 여행이라는 두 글자는 여행이 무엇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할 기회를 주었다.


대한민국을 사랑하고, 우리나라의 자연이 참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국내 여행을 떠날 때 이 아름다움이 어디에서 오는지 한 번 고민해보게 된다. 여행을 한다는 것은 여행을 통해서 얻는 것이 명백히 있기 때문에 시간을 투자하고 에너지와 자본을 투자하는 것이다. 그 얻는 것이 쉼과 위로가 될 수도 있고 새로운 장소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지겨운 일상으로부터의 탈출일 수도 있다. 여행을 누구랑 가는지, 언제 가는지에 따라서 추구하는 여행의 목적은 달라지기 마련이고 목적 없이 떠난 여행조차도 남는 것은 있다. 그것이 무엇인지 말로 형용할 수 없을지언정 가슴으로 느낀 것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니까.


신분당선 강남역 역사 안의 홍보 현장

여행(旅行)을 미친 듯이 여행(勵行)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여행이 반드시 옳다! 여행을 가지 않으면 청춘이 아니다! 고 말하는 듯한 글을 하나 더 더하려는 것은 아니다. 사람마다 여행에 대해 다른 생각을 가질 수 있으니까. 다만, 여행을 좋아하고 떠나는 사람이라면 여행지의 아름다움이 어디에서 오는지에 대해 한 번쯤 같이 고민해봤으면 좋겠어서 타자를 두드리게 되었다. 내가 환승하는 길에 마주쳤던 여행 홍보는 사실 이렇다 할 대단한 홍보도 아니었다. 사진에 나와있듯이 중부내륙지방의 6개 시·군이 모여 행정협력회를 만들고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공동협력사업이나 건설사업 등을 이룩하기 위해 출범한 단체에서 각각의 지역으로 여행 오라고 지역명만 언급해둔 간단한 홍보였을 뿐이다. 행정협력회에 포함되는 지역의 이름만 나와있을 뿐 각 지역에 어떤 것이 특색 있고 유명한 지조차 언급되지 않은, 홍보를 접한 사람이 자발적으로 찾아봐야 하는 그런 홍보. 그중에 영주시와 봉화군이 내 마음을 두드렸다. 여기 어떠냐며.


지도에 표시된 부분은 선몽대의 위치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식민지의 역사가 그래 왔고 많은 여행지가 여전히 그렇듯 이곳의 여행지도 사람이 원주민의 삶을 파괴하는 현장에 지나지 않았다. 영주시와 봉화군의 문화관광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해당 지역의 특징을 잘 알 수 있다. 백두대간을 끼고 있는 만큼 산과 계곡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사찰이 있는 등 자연 속에서 하루나 이틀 쉬다 가기 좋은 장소임을 자랑하고 있다. 내가 직접 걸어본 곳도 인간이 쉬기엔 참으로 평화롭고 여전히 아름답다고 느낄 수 있었다. 처음 가본 사람들이라면 원래 그곳 자연이 그런 거구나 하고 깨닫기 참으로 좋은 곳, 쉼과 위로가 되기에 충분한 지역. 그러나 이전에 이 곳을 방문했던 사람이라면 어딘가 잘못되고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밖에 없다. 그러니까 거기가 도대체 어디냐고? 경상북도 봉화군에서 영주시를 따라 흘러 예천군에 도달해 회룡포를 지나 낙동강으로 흘러들어 가는 길고도 긴 낙동강의 지류 '내성천'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선몽대 일원의 소나무 숲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백송리에 있는 선몽대 일원은 국가명승 제19호에 해당하는, 예천 읍지에 수록된 약 450여 년 역사를 가진 유서 깊은 곳으로, 선몽대와 선몽대 숲 그리고 그 앞을 흐르는 내성천과 하천 앞에 넓게 펼쳐진 백사장이 함께 어우러져 한국의 전통적 산수미를 보여주는 예천 내성천 유역의 대표적 경승지의 하나라고 문화재청 국가 문화유산 포털사이트에서 소개하고 있다. 소개 글을 더 빌려오자면 "선몽대 숲은 선몽대와 선몽대 뒤편의 백송리 마을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성된 우리 선조들의 풍수사상이 깃든 전통적인 마을 숲으로 100~200여 년 수령의 소나무 노거수와 은행나무, 버드나무, 향나무 등이 함께 자라고 있으며, 수해방비림, 방풍림, 수구막이 숲(홍수로부터 마을을 보호하거나 풍수상 단점을 보완할 목적으로 물길 등을 막기 위해 조성한 숲) 및 비 보림(풍수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숲)의 역할을 해 온 것으로 보인다"라고 한다.


2019.06.15 직접 방문한 선몽대 일원의 풍경 ©에코

그러나 직접 걸어본 선몽대 일원은 묘사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 듯하다. 특히, "예천에서 안동 방향으로 흐르는 내성천의 강물과 십리에 이른다는 넓게 펼쳐진 백사장이 역사적 유래가 깊은 선몽대와 숲과 함께 어우러져 빼어난 경관을 자아내고 있는 곳으로 경관적·역사적 가치가 큰 경승지로 평가되고 있다."는 명사십리는 원래 이렇게 짧은 것일까? 모래의 비율과 우거진 풀의 비율이 거진 엇비슷해 보이는데 과연 선조들이 이것을 두고 명사십리라고 일컬었을까. 홈페이지에서 소개하는 선몽대 일원의 사진과 비교해봐도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현장이다. 또한, 인위적으로 높여 세운 돌담과 인공적으로 옮겨 심은 작은 소나무들은 기존에 있던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해치면서 얻은 것마저 아무것도 없어 보인다.


선몽대 뒤의 숲에서 만난 칡때까치 ©에코

선몽대 일원이 더 이상 휴식에 적합하지 않은 장소라는 뜻은 물론 아니다. 사람들은 너도나도 돗자리를 펴고, 캠핑 의자를 가지고 나와서 소나무 그늘 아래에서 강바람을 맞으며 휴식을 취했고, 나도 넓은 돌 위에 누워서 자유를 만끽했었으니. 또, 여전히 많은 생물들이 그곳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다. 다만, 나는 저렇게 변하기 전의 선몽대 일원의 내성천 유역을 절대 볼 일이 없을 것이다. 앞으로 선몽대 일원과 내성천을 방문하는 사람들도 역시 볼 일이 없을 것이다. 그것이 너무나도 안타까울 뿐. 국가명승이자 명사십리라고 추천하기에 너무나도 머쓱해지는 풍경, 원인은 도대체 뭘까?

풀이 얼마나 자랐는지 알아보기위해 직접 서봤다. 1.5m는 훌쩍 넘는 키의 풀들. 오른쪽 사진은 풀속에 들어갔을때의 시야이다.  ©에코

내성천은 한국의 대표적인 모래강이다. 현재의 모습은 그 명성을 해가 다르게 잃어가고 있지만 선몽대가 명승으로 지정되었을 때 명사십리의 영향도 있었듯 과거에는 유명한 모래강이었다. 바위돌 깨뜨려 돌덩이~로 시작하는 동요 다들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모래가 되기 위해서는 바위돌, 돌덩이, 돌멩이, 자갈돌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바닷물이 되기 위해서는 도랑물, 개울물, 시냇물, 강물을 거쳐야 한다는 바로 그 노래. 내성천은 산지하천으로 기반암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내성천의 모래알은 영주 분지로부터 유래한다. 영주 분지는 중생대 화강암 풍화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백두대간의 여러 물길이 이 분지를 지나면서 모래를 내성천으로 실어 나르며 여기서 유래한 모래가 산을 휘감으며 도는 강 주변으로 금빛 모래톱을 수놓는다. 그러나 영주댐이 건설되면서 내성천의 금빛 모래톱은 초록색으로 뒤덮여가기 시작했다. 풀이 점령한 지역은 해가 다르게 늘어났으며 작년엔 모래였던 곳도 올해는 풀로 뒤덮여있는 등 매우 빠른 속도로 생태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직접 확인했다. 내성천은 산지하천이므로 유속이 원래도 상대적으로 빠른 편이고 특히 홍수기에는 많은 양의 물을 따라 다량의 모래톱이 위에서 아래로 새로 유입돼서 강 청소도 하고 생태계 정화도 하는 등의 자정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영주댐의 건설 이후로 자연스러운 물의 흐름이 억제되고 모래 유입도 적어지면서 내성천은 원래의 기능을 잃게 되었다. 피해가 여실히 드러난 곳은 선몽대뿐이 아니다. 영주댐 하류에 있는 중요 민속문화제 제278호로 지정된 '무섬마을'은 마을을 감싼 백사장과 이를 건너는 외나무다리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영주댐 건설로 인해 모래톱 유입이 줄어 백사장이 본모습을 잃자 작년(2018년) 6월 댐 상류의 모래를 인공적으로 퍼 날라서 옮기는 작업을 수자원공사에서 하게 됐다고 한다. 관광객 유치는 해야 하고 근본적인 잘못은 인정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의 전형적인 눈 가리고 아웅 식 행정.


아름다운 내성천 일대 ©에코

혹자는 모래톱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더라도 지역 주민이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건설이라면 강행해야 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영주댐은 댐의 건설 목적부터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2009년 6월 25일 배포된 국토해양부 보도자료에서 영주댐은 "4대 강 살리기 수자원 확보 사업에 포함된 댐으로 경북 영주시 평은면(낙동강 지류 내성천)에 높이 50m, 길이 380m, 총 저수용량 181백만 톤 규모(안동댐의 약 1/7)로 건설된다"라고 설명되었다. 또한, 영주댐 건설로 낙동강의 수질이 개선될 것을 기대하고 있으며 경상북도 북부 낙동강 연안의 홍수 피해를 경감하는 효과를 기대한다고 언급한다. 마치 낙동강의 수질을 댐 건설로 인해 개선할 수 있는 것처럼 적어 놨지만 낙동강의 수질 악화는 4대강 사업 때문이었지 댐이 없어서가 아니었다. 또, 2016년 준공 때부터 영주댐에 녹조가 끼는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수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지 조차 의문이 든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홍수기에 강의 상류에서 다량의 물과 함께 내려오는 모래톱이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강의 특징을 조금이라도 알아봤다면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해 댐을 건설한다는 말은 하지도 않았을 것이며 모래톱의 유입이 줄어들어 수생 생태계가 무너지는 것을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 보도자료에서 영주댐이 환경 친화적인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임을 강조한 것과는 다르게 2019년의 영주댐 건설로 인한 주변 생태 환경 변화는 처참하다. 이 생태 변화에 대해서는 여행(旅行) 여행(勵行) - 지구를 스쳐 지나가는 사람이 남기는 흔적  <흰목물떼새의 멸종> 편에서 조금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내성천 유역의 꼬마물떼새 ©에코


국내 관광객들이 해외로 여행을 가서 성수기 내수경제가 무너진다는 기사는 매 해 새롭게 등장한다.

다른 이유들은 차치하고서라도 적어도 명사십리에 가면 명사십리가 눈 앞에 펼쳐져 있어야 한다.

인공적으로 퍼다 나른 티가 나는 바퀴 자국 가득한 모래사장이 아니라 수달의 흔적이 가득한 자연 그대로가 좋다. 관광객 유치와 생태 보호,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출처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7833

http://www.bonghwa.go.kr/open.content/tour/

http://yeongju.go.kr/open_content/tour/index.do

http://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2295

http://ecoin.or.kr/xe/environment/15223

https://blog.naver.com/yesteachn/220999108087

http://www.envtimes.co.kr/view.asp?seq=2009062534


매거진의 이전글 내가 편하게 숨을 쉬면 쟤는 힘겹게 숨을 거둔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