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F 투자의 기회가 다시 포착됐다
안녕하세요, 히르찬(희찬)입니다.
최근 12월 FOMC가 있었는데요. 모두가 아시는 것처럼 연준은 25bp(0.25%p) 금리인하 결정을 했습니다. 하지만 기준금리를 낮췄음에도 시장금리는 급등했고, 주식시장은 급락을 했습니다.
기준금리를 하락했음에도 시장금리가 급등한 이유는 연준의 25년 금리 전망이 너무 긴축적으로 바뀌었기 때문이죠. 그 이유는 '경제가 좋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하지만 필자가 FOMC 내용을 다시 확인해본 결과, 경기가 좋은 것도 있지만 더 큰 이유는 따로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필자는 '그 이유'를 부정적으로 보며, 25년 연준은 기준금리를 3회 이상 낮출 수 있다 바라보는 편입니다.
그럼 어떠한 이유로 필자가 이렇게 주장하는지, 자세하게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 필자의 모든 글은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며, 절대적으로 매수/매도 추천이 아니란 점 참고바랍니다.
들어가기 전 [구독] 눌러주시면 더 좋은 컨텐츠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12월 FOMC 내용요약
이번 FOMC는 0.25%p 금리인하 결정으로,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25~4.50%를 보이고 있습니다.
연준은 9월 금리인하를 시작으로 3회 연속 금리인하를 지속하고 있으며, 100bp(1%p) 금리인하를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기준금리를 낮췄지만 당시 시장금리는 급등했다는 점인데요. 미국 10년물 금리 기준으로 4.5% 이상의 모습을 보였습니다.
본래 기준금리가 하락한다면 시장금리도 하락한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시장금리는 기준금리로 인해 변하는 금리가 아닙니다.
시장금리는 '기대심리'에 의해 움직이는 금리입니다. 즉 미래를 미리 반영하는 금리가 시장금리라는 뜻이죠.
그럼 이제 기준금리가 하락했지만 시장금리가 상승한 이유를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시장은 미래에 연준이 금리를 높일 것'이라 보고 있다고 말이죠.
*위 표는 9월과 12월 점도표를 정리한 겁니다.
2024년, 연준이 바라본 24년 금리전망은 4.5%였는데요. 이 부분은 9월과 12월 변동 없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하나 다른 점이 있다면, 12월 금리동결을 외친 위원들이 4명이라는 점인데요. 9월에는 3명이었는데, 한명이 더 추가된 것이죠.
이게 중요한 게 뭐냐면, 본래 12월 금리전망은 19명 위원이 모두 같습니다. 왜냐하면 어차피 그 해 FOMC 회의는 12월이 마지막이기 때문에, 그 해 금리전망은 12월에는 대부분 19명이 모두 일치합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기존 3명이 동결을 외쳤는데, 이또한 1명이 증가한 4명이 24년 12월 마지막 회의까지 금리동결 의지를 표했습니다.
어차피 12월 25bp 금리인하가 될 것임에도 4명의 위원들이 입장을 바꾸지 않은 이유는 "내년은 금리인하 반대야" 이 입장을 강력하게 보여주었다 해석할 수 있게 됩니다.
25년과 26년, 27년 금리전망 또한 모두 상향조정이 됐는데요.
9월 점도표에서 25년 금리전망은 3.5%, 26년과 27년은 2.9%로 바라봤는데요. 하지만 12월 점도표에서는 대부분 상향조정 되었습니다.
25년은 4.0%, 26년은 3.5%, 27년은 3.25%로 바뀌었습니다.
즉, 25년과 26년은 기존전망 보다 0.5%p 금리수준이 상승했고, 27년은 0.25%p 금리수준이 상승했습니다. 결국 연준은 더욱 긴축적인 태도를 취할 것이라 입장을 발표한 것이죠.
또한, '중립금리' 수준도 기존 2.9%에서 3.0%로 상향조정 했죠.
왜 금리를 수준을 올렸을까?
그렇다면 연준은 무슨 이유로 9월보다 기준금리 수준을 높였을까요? 그 이유는 수정경제전망 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표는 수정경제전망지표 정리 자료이며, 인플레이션은 '근원PCE'로 넣었습니다.
위 표를 보면, 연준은 24년과 25년 모두 경제성장률을 높게 조정했고, 실업률 또한 낮게 조정했습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 수준 또한 상향조정 했죠.
즉, '올해도 내년에도 경제는 계속 좋을거야' 이런 입장을 밝힌 거고, 그에 따라 금리를 높게 수정한 것이죠.
하지만, 25년부터 경제성장률과 실업률을 긍정적으로 조정하긴 했지만 유독 24년~25년까지 물가상승 전망을 높게 잡았고, 또 본래 9월에는 26년에 목표물가 2% 달성으로 봤지만 목표물가 달성을 27년으로 바꿔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 말은 즉, '물가에 대한 우려'가 유독 크다는 겁니다.
필자도 처음 이해한 건 "아~ 경제도 좋게 보고 물가도 오를 거라 봐서 금리를 높였구나!?"라고 이해했어요. 하지만 다시 FOMC 내용을 정리하다 보면서 새로운 걸 발견했고, 꽤나 충격적인 걸 보게 된 것이죠.
이번 FOMC는 충격적인 비밀이 숨겨져 있었습니다.
12월 FOMC, 충격적인 비밀
파월은 이런 말을 했고, 과거에도 항상 같은 말을 반복했습니다.
"고용은 균형을 찾고 있고, 고용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는 적다" 이렇게 말을 했는데요. 또한 "물가는 우리의 예상대로 흐르고 있다"고 말도 했습니다. 다시 말해 물가는 잡힐 것이란 자신감이 충분히 있었습니다.
또한, 12월에 발표된 11월 CPI는 최근 3개월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사실 현재 물가반등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왜냐하면, 최근 물가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건 서비스물가가 아닌 '상품물가'입니다.
상품물가의 경우 '신차'가 주도하고 있는데요. 사실 상품물가는 공급측의 요인이 아니면 서비스물가처럼 끈쩍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금방 하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뜻이죠.
그동안 물가하락을 방해했던 건 '서비스물가'였는데, 서비스물가는 굉장히 끈쩍하단 특징이 있지만 최근 서비스물가는 여전히 하락하는 방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서비스물가가 끈쩍했던 이유는 '주거비' 때문이었는데. 주거비는 잘 잡혀가고 있는 중입니다.
또한, PPI도 최근에 큰 반등을 보였는데요. 이번 PPI를 주도한 건 식품가격과 무역서비스였어요.
두 항목은 위 그래프에서 보이는 것처럼 변동성이 매우 심하다는 특징이 있는데요. 이번에도 두 항목에서 높은 변동성이 보였어요. 특히 무역서비스의 경우 마이너스로 갔다 플러스로 가는 등의 굉장히 큰 변동성도 자주 보여줍니다.
그리고 트럼프의 관세 정책 문제로 미리 상품을 구한 기업들의 일시적 수요도 물가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를 종합해 본다면 물가는 사실 '반등할 거란' 큰 우려가 있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물가에 가장 예민한 채권시장에서 보는 기대인플레이션은 별다른 반등이 없습니다. 9월-11월까지 트럼프 관세 이슈로 반등하긴 했지만, 정작 트럼프가 당선되고 12월 FOMC를 지난 시점에는 기대인플레이션의 변화가 없습니다.
즉, 적어도 현재까지는 물가반등 걱정이 없다는 것이죠.
그리고 물가가 금리를 올릴 만큼 우려할 정도로 반등하지 않을 거란 부분에 대해서는 정말 격하게 공감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이번 FOMC를 보면 이상하리만큼 물가상승에 걱정하고 있다는 겁니다.
그 이유는 바로 위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연준위원들이 물가에 대한 깊은 우려가 있는 이유는 '물가 불확실성'을 높게 보고 있기 때문이에요. 다시 말해 정말로 물가가 상승할 거라 보는 게 아니라, 특정한 이유나 상황 등으로 물가가 반등할 수 있다는 '불확실성'이 매우 크게 있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그 불확실성을 무엇으로 보고있냐 보면, 필자는 '트럼프 리스크'라 봅니다.
트럼프 정부는 말로는 재정지출을 줄일 거라 하지만, 사실 트럼프의 정책을 보면 재정지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트럼프는 부채한도 문제에 대해서 "부채한도를 폐지해라"라는 입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관세도 지난 트럼프 1기 때와 다르게 더욱 강력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1기의 경우 재선 때문에 강력한 입장을 어필할 수 없지만, 2기 때부터는 더욱 강력하게 할 수 있습니다. 어차피 다음은 없으니까요.
그리고, 필자는 동의하고 있진 않지만 '이민자 추방' 정책으로 임금이 상승해 물가가 오를 것이란 우려도 시장에는 많이 있는 상태죠.
즉 연준은 이런 '트럼프 리스크'를 미리 대응하기 위해 '물가 전망을 높였고, 그로 인해 금리수준을 높였다' 해석할 수가 있다는 겁니다.
필자는 이 부분이 정말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결국 물가전망을 높였다는 건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나온 게 아니라 '불안심리' 때문이라는 것이죠. 이 말을 돌려 말하면, 불안심리가 적어진다면 충분히 정책이 바뀔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
.
.
.
.
실제로 파월은 기자회견에서 이런 말을 남겼어요.
"우린 계획대로 움직이지 않고, 유연하게 대응할 것이다"
이 말은 곧, 상황에 따라 금리 계획은 충분히 바뀔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다시 말해 연준이 바라보는 물가 불확실성이 크지 않고, 혹은 나타나지 않는다면 금리정책을 충분히 바꿀 수 있다는 겁니다.
즉, 금리 수준은 12월 점도표 보다 더 낮아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정말 금리를 낮출 수 있을까?
지금까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다면, 현재 연준이 물가를 높게 잡은 이유는 '물가 불확실성' 때문입니다. 즉 고용으로 물가가 오를 것이란 건 크게 보지 않고 있다는 것이죠.
그것도 당연한 게, 실제로 미국 고용은 계속 둔화되고 있거든요.
연준은 '물가 불확실성'이 사라진다면 금리를 낮출 수 있을지, 이걸 우리는 봐야 되는데요. 필자는 충분히 가능하다 보는 입장입니다.
왜냐하면,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고용둔화'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거든요
25년까지 실업률 전망을 낮게 잡고 있으며, 27년까지 4.3%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연실업률도 4.2%로 보고 있죠.
그럼 만약, 연준이 바라보는 것과 다르게 고용시장이 냉각 된다면 금리를 낮추게 될 겁니다.
필자는 다른 경제지표는 즉각즉각 포스팅을 남기진 않지만, '고용지표'만큼은 바로바로 포스팅을 해 분석결과를 말씀드리는 편인데요.
필자의 포스팅을 꾸준히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필자는 미국 고용시장을 [굉장히 부정적]으로 보는 편입니다. 분명 실업률 급등 장세가 찾아올 것이라 보고 있죠.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그럼 정말로 미국 고용이 계속해서 냉각될 것인가인데요.
보통 고용시장은 기준금리가 중립금리 수준보다 높게 위치해 있다면 계속해서 냉각됩니다. 문제는 중립금리 수준을 파악할 수 없는 것인데, 그럼에도 다수의 연준위원들은 여전히 기준금리는 중립금리 보다 높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그말은 즉, 여전히 기준금리가 높다는 뜻인데요. 그럼 기준금리를 좀 더 빠르게 낮춰야 되는데, 지금의 연준위원들은 내년 2회 금리를 보고 있다는 겁니다. 즉 4.0%를 보고 있다는 뜻이고, 그것도 25년 동안 말이죠.
좀 더 오랜기간 제약적인 기준금리가 유지된다면 고용시장은 계속 둔회될 것이고, 이는 곧 실업률이 앞으로 더 상승할 수 있다는 배경이 됩니다.
현재 실업률이 낮다고 하지만, 지금도 실업률은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실업률이 4.2%라고 하지만, 소수점까지 본다면 4.2453%인데요. 여기서 0.007%p만 더 높게 나왔다면 8월5일 블랙먼데이를 불러왔던 4.3% 금리 수준까지 올라오게 되는 거였습니다.
중요한 건, 실업률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는 거예요.
그리고 무엇보다, 실업률은 싸이클을 탄다는 거예요.
즉 하락하기 시작하면 계속 하락하고,
상승하기 시작하면 계속 상승한다는 것이죠.
그리고 필자가 항상 말씀드리는 게, 현재의 미국 실업률은 '낮은 게 아니라, 낮게 보이는 중'이라 수차례 반복해서 말씀드렸습니다. (그 이유는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로 말씀드렸고, 궁금하시면 고용지표 분석글 포스팅 참조)
정리하면, 물가반등 우려는 사실 크지 않을 것이며 되려 고용시장이 냉각 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 결국 연준은 계획과 다르게 금리인하를 더 할 수 있다는 겁니다.
필자는 이 가능성을 더욱 높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필자가 바라보는 10년물 금리 하단은 3.6%로 보고 있습니다.
빠르면 1월, 늦으면 3월 중으로 10년물 금리의 하락이 나타날 것이라 보고 있으며, 필자는 운영하고 있는 '텔레그램'에서 "10년물 금리가 4.5% 위로 오르면 TMF 매수할 것"이라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4.5% 이상을 상회하자 TMF 매수를 시작했습니다.
1~3월 중 금리하락이 될 것이라 보고 있어서 이 기간까지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시기나 매도 타이밍은 시간이 흘러 상황이 바뀐다면 충분히 바뀔 수 있다는 점은 인지하셔야 됩니다.
*고용이 아니더라고, 트럼프 때문에 낮출 것
추가로, 꼭 고용이 냉각되는 게 아니더라도 트럼프가 연준에게 금리인하를 굉장히 압박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트럼프는 국채발행을 통해 재정지출을 늘릴 계획인데, 기준금리가 높다면 국채발행 계획에 문제가 될 수 있어 금리를 낮추라고 강력히 압박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아니면 금리를 낮출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수도 있겠고요.
그래서 결국에는 금리는 하락할 것이라 봅니다.
필자는 이번 12월 FOMC를 위와 같이 해석했으며, 금리 전망 또한 위와 같이 보고 있습니다.
100% 필자만의 생각이며,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됩니다.
또한 절대적으로 투자 추천 등은 아니란 점,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 점 인지바랍니다.
* 필자의 모든 글은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며, 절대적으로 매수/매도 추천이 아니란 점 참고바랍니다.
*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됩니다.
➤ 필자의 다양한 SNS 채널을 보고 싶다면? (인스타그램/텔레그램/유튜브 등등)
오늘의 내용이 도움이 됐고 앞으로 좀 더 자세하게 공부하고 싶다면 필자의 브런치를 [구독]해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