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살다보니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elen Feb 04. 2017

인연의 가지치기

사니까 변하는 거다

생의 시기마다 필요한 옷이 있고 어울리는 색과 취향이 있듯이 삶의 체형도 맞게 인연도 변해간다.

- 싸울수록 투명해진다 | 은유 -


왜? 또 뭐가 필요해?


자기 필요할 때만 연락하는 사람. 누구나 이런 지인 한두 명쯤 가진다. 나도 있다. 그들이 연락할 때는 둘 중 하나다. 인생 하소연을 쏟고 싶거나 부탁하거나. 보통 좋고 신날 때는 연락두절이다. 힘들 때 전용이라고 해야 되나?


자기 필요가 우선인지라 나는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그저 잘 들어주고 부탁을 처리할 사람이 필요한 거다. 그러니 내 병명도 임의 변경되고 서너 번 말해 준 것도 수시로 다시 묻는다. 때론 요청한 적 없는 조언도 날린다. 좀 웃기다. 뭘 조언하려면 알아야 되는 거 아닌가.


비슷한 상황이 반복되니 슬슬 짜증이 난다. '넌 뭐냐? 주고받는 거 모르니?' 지인이 알려준 하나하나 기억하는 나도 싫다. 이러니 연락에 날 선 반응이 나간다. ‘또 뭘 하소연하려나?’ 혹은 ‘뭐가 필요한 거야?’


슬며시 건성건성 대답하고 몇 개는 무시 한다. 그러다 인연인데 싶은 죄책감으로 다가서면 여지없이 반복된다. 남에게 짜증이 반복되면 나는? 이라며 들여다본다. 과연 나는 다른가? 나도 뜸하던 지인에게 연락한다. 그의 필요가 아니라 내 필요에 의해서.


반반은 치킨에만


살며 정확히 반반씩 주고받는 건 어차피 불가능하다. 사는 거 치킨 반반이 아니잖는가. 더 주는 곳 있으면 더 받는 곳도 있다. 그러니 약간 손해 보듯 사는 것도 맘 편해지는 방법 중 하나다. 속 끓여야 상대는 모른다. 날 선 반응에 ‘왜 그래? 안 좋은 일 있어?’라는 응답이 돌아온다. 여태 참다 짜증을 쏟는 상대를 되려 어리둥절해한다.


잔잔히 품으면 얼마나 좋겠냐만 잘 안된다. 손해 보리라 맘먹고 눌러도 삐죽삐죽 나온다. 사람이잖나. '내가 잘못 사나'부터 '사람을 잘 못 봤나'까지 오만가지 질문이 맴돈다. 그러다 문득 너무나 자연스러운 거에 변치 말라고 내 고집을 피우나 싶더라.


관심은 강요할 순 없다. 나를 봐달라 한들 볼까? 앙갚음하듯이 돌려주마라고 해봐야 진 빠진다. 그러니 인정하고 내려놓으면 어떨까 싶었다. 그저 '저 사람보다 내가 좀 더 관계에 진지했구나’라고. 살면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던가. 변화를 인정하면 ‘너 뭐냐?’에서 ‘그런 거지 뭐’가 되고 나중엔 ‘아.. 너 아직 있었구나’가 된다.


불변? 사니까 변한다 


혈족 사회가 해체되어 가지만 여전히 오랜 우정, 끈끈한 관계에 집착한다. 유독 길고 오래된 관계에 자랑스러워한다. 진지하고 괜찮은 사람이라는 보증 수표가 같다. 글쎄, 과연 그럴까?


나무가 헐벗는 겨울이다. 저 나무에 저리 잔가지가 많았나 싶다. 자세히 보니 아랫부분엔 잔가지가 없다. 계속 잔가지를 들고 살았다면 나무가 컸을까? 성장은 둘째치고 바람과 눈비의 무게로 잔가지를 쳐내야 살 수 있지 않았을까?


사람이라고 다를까. 시간에 따라 환경에 따라 인연은 맺어졌다 끊어진다. 못내 아쉬워 부여잡으면 잡힐까? 아니, 그리 다 부여잡으면 과연 살 수 있을까? 아쉬워도 남겨두고 들어와도 내치지 말고. 인연의 옷을 갈아입으며. 이리 사는 거 아닐까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무게를 가진 것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