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우현 Nov 12. 2019

친일청산.. 중뿔난 짓이라도 누군가 했어야

친일문제 연구의 선구자 임종국 선생 30주기, 그 뜻에 가닿으려면


임종국 선생이 생을 바쳐 기록한 1만 2천 장의 친일인명카드

우리는 먼저 떠난 고인(故人)들을 기리고 추모한다. 떠난 이를 향한 그리움을 표현함과 동시에 그의 생애를 회고해보는 것이다. 가끔씩은 고인이 떠난 시점을 기점으로 시간사적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1주기, 10주기, 30주기.. 이처럼 말이다. 이런 경우 그만큼 고인이 관철한 삶이 강렬했거나, 사상과 행적을 기념할 필요가 높았다고 판단해볼 수 있다.


지난 11월 9일(토) 천안 일원에서 열린 '임종국 선생'의 30주기에 특별한 추모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임종국 선생은 친일문제 연구에 선구자적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그는 평생을 통해 일제에 부역했던 사람들의 행적을 조사했으며 관련 자료를 집대성하다시피 골몰하여 후대 연구의 기반을 조성했다. 우리가 흔히 '친일파'로 알고 또 지칭하는 수많은 인물들의 기록이 그가 작성한 1만 2천 장에 달하는 '친일인명카드' 속에 담겼 후일 이는 친일인명사전의 뿌리가 됐. <친일문학론>(1966), <일제 침략과 친일파>(1983), <일제하의 사상탄압>(1985) 등 실증에 입각한 저서들도 남겼다.


특히 올해 <반일종족주의>, '류석춘 교수 논란' 등을 위시한 '친일' 논란이 두드러진 한 해였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임종국 선생의 사상과 정신을 되짚어보는 일은 더욱 의미가 있다. 이날 추모를 위해 모인 시민들의 행렬은 선생이 영면한 '천안공원묘원'과 필사의 연구를 이어나간 '요산재(樂山齋)' 등 공간의 발자취를 따라 이어졌다.


시민들 깊은 추념... 생존 당시 인터뷰 녹음본도 공개


임종국 선생은 생애 마지막 9년여 시간을 천안에서 보냈다. 일단의 건강문제도 있었거니와 친일파 연구와 집필에 전념할 공간의 필요를 느꼈기 때문이다. 천안이라는 고장과 선생의 인연이 깊은 이유다. 2016년에는 임종국 선생을 기리는 조형물(흉상)도 천안 신부공원 광장에 들어섰다.


*참고로 천안 신부공원에는 임종국 선생의 조형물과 더불어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평화의 소녀상'과 '6월 민주항쟁 30주년 표석'이 함께 자리해 있다. 민족, 민주, 평화에 대한 상징적 의미가 있는 공간이기도 한 것이다.


이날 80여 명에 이르는 시민, 자원봉사자, 민족문제연구소 회원들이 선생의 영면지인 천안공원묘역(무학지구 철쭉 4-1)에 운집했다. 임종국 선생의 막내 누이동생인 임경화 여사를 비롯해 이준식 독립기념관장, 차영조 독립유공자 유족회 부회장(독립운동가 차리석 선생 외아들), 이용길 천안역사문화연구회장 등 각계, 지역의 인사들도 자리했다. 

30주기 당일 임종국 선생 묘소. 문재인 대통령의 조화도 눈에 띈다.

30주기를 맞이하여 현장에서 임종국 선생 육성이 담겨있는 인터뷰 녹음 공개기도 했다. 해당 녹음본은 1988년 CBS 라디오에 출연한 임종국 선생과 임헌 소장(시 문학평론가)의 대담을 담 것이다. 해당 녹음본 속의 임종국 선생은 시 폐기종 등으로 몸이 좋지 않아 어렵게 말을 이어가면서도 친일 청산이 왜 필요한가를 강하게 피력고 있다.


일본 사람들의 영향이란 것은 (우리 일상에, 필자 주) 알게 모르게 상당 부분 파고 들어와 있어요. 그리고 그것이 우리나라의 주체성을 완전히 마비시켜 놓은 이런 상태가 돼있거든요.

-CBS 라디오, 임종국 선생 인터뷰(1988)


그런 한편, 임종국 선생의 막내 누이동생인 임경화 여사는 재야에서 오직 연구에만 전념하 가난한 삶을 살았던 선생의 모습들을 설명하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실제로도 선생은 연구비가 없어 여동생에게 돈을 빌릴 정도로 어려웠다고 전해진다.

*https://www.minjok.or.kr/archives/77896


치열한 삶의 현장, 요산재

요산재 시절의 임종국 선생

다음 일정은 요산재(樂山齋) 이어졌다. 산재는 생이 천안에서 기거한 동안 집필실이자 일터(밤 농사), 잠자리이자 부엌으로 역할을 한 삶의 현장다. 이러한 고로 요산재는 우리가 흔히 아는 고상한 연구실이나 향기로운 서재와는 ,  치열한 생존의 공간이다.


<총독부 관보> 35년분 2만 매 이상, <매일신보> 10년 필사분 등을 연구할 정도로 정열적이었던 선생의 학열과 연구과정을 상상해보면 이곳 요산재의 공간적 의미가 더욱 각별해진다. 민족문제연구소가 공개한 임종국 선생 연보에 따르면, 선생이 요산재에 머무른 1980년~1989년 사이 발간된 선생의 연구 저작은 <일제침략과 친일파>, <밤의 일제 침략사>, <일제하의 사상탄압>, <한국문학의 민중사> 등 9권에 달한다.


그러나 금의 요산재는 새롭게 리모델링되어 당시의 대략적인 집 형태만 남아있으며 현 거주민 또한 임종국 선생과 관계가 없는 민간인이다. 즉, 사유지이므로

접근이나 답사는 어렵다. 다만 이날은 30주년 관계로 주최 (민족문제연구소) 거주자의 협의 이루어진 상황이었음을 기사를 통해 밝힌다.


이후 30년, 선생이 남기고 간 뜻


이어 천안중앙고등학교에서 열린 임종국 선생 30주기 추모문화제를 마지막으로 이날의 추모식 일정은 모두 마무리됐다.


여기서도 김지철 충남 교육감, 윤일규 국회의원 등 공직인사와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 장병화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장 등 시민단체 인사들의 다양한 의견 표명이 있었지만 논점은 모두 비슷했다


친일 연구의 선구자 임종국 선생이 떠난 지 30년, 그 이후 우리 주변의 친일 청산은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반성해보자는 것이었다.


그런 우리와 달리, 임종국 선생어찌 그토록 치열할 수 있었을까? 선생은 자신의 저서 <친일문학론>을 통해 그 문제에 대한 답을 내어놓고 있다. 선생은 우민화, 민족말살을 기조로 한 식민교육이 자신을 역사와 민족에 무지한 '천치'로 만들었음을 지적한다. 그것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에서 선생은 친일문제 연구에 몰입했다.


식민지 교육 밑에서, 나는 그것이 당연한 줄만 알았을 뿐 한번 회의조차 해본 일이 없었다. 한국어를 제외한 모든 관념, 이것을 나는 해방 후에 얻었고 민족이라는 관념도 해방 후에 싹튼 생각이었다. 이제 친일 문학론을 쓰면서 나는 나를 그토록 천치로 만들어 준 그 무렵의 일체를 증오하지 않을 수 없었다.

- 임종국, <친일문학론>(1966)


'친일파'라는 말 자체를 금기시하던 당시(1965년)의 풍토는 선생의 연구를 외면했 선생은 가난했다. 하지만 굴하지 않았다. 그의 붓끝은 사회적으로 명망이 있건 없건 관료이건 문필, 예술가이건 가리지 않았다. 심지어 육친(아버지 임문호)과 스승(유진오)의 친일행적까지 가리지 않고 고발했다. 선생으로서는 뼈를 깎아내는 아픔이었겠지만 그것이 친일문제를 지적하는 사람의 공정이고 입장이었다.


야인이요, 백면서생으로 고독한 육십 년을 살았지만 내게 후회는 없다. 중뿔난 짓이라도 누군가 했어야 할 일이었다면 내 산자리가 허망했던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임종국 어록에서-


그 말대로 누군가 했어야 할 일이었기에, 우리 후대 사람은 선생에게 모종의 빚을 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결코 작지 않다.


30주기 추모식 당일, 천안 신부공원의 임종국 선생 조형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