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탕상수첩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호호할무니 Jul 05. 2019

기다림이란 무기, 쌍용반점

탕상수첩, 다섯 번째 기록

투명하다는 것은 어떤 무언가가 조금도 가려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날것의 무언가를 보는 행위는 그것의 본질을 꿰뚫을 수 있게 해준다. 순수하게 그저 바라보기만 하는 것. 슬프지만 그래서 인간은 늘 투명할 수 없다. 사물의 모양을 인식하는 인간의 눈은 각막과 시신경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빛의 반사 정보를 뇌로 옮긴다. 이 과정에서 본질을 가로막는 일차 장벽이 생긴다. 거기에 더해 사회적 인식, 통념, 편견은 그 사람이 살아온 세월을 먹이로 이차 장벽을 형성하고, 인터넷, 티비, 모바일은 화룡점정. 디지털이라는 시대를 먹이로 3차 장벽을 만든다.


이 정도면 카테나치오, 만리장성급 수비 스탠스가 아닌가 싶은데, 사실 방법은 간단하다. 장벽을 부수는 것. 하지만 방법이 간단하다고 해결이 쉬운 것은 결코 아니다. 특히 상식과 편견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가장 견고한 틀이다. 두들겨 부술 수 있다면, 적어도 만 번은 두들겨야 하지 않을까. 뭐든 만 시간을 하면 그 분야의 장인이 된다는데, 아직까진 편견 제거 장인이 나타났다는 소식은 본적도, 들은 적도 없다. 뭐, 나타나기만 하면 국가와 인종을 초월한 세계 대통합도 꿈은 아닐 거다.


아무튼, 소문난 맛집이 늘 그러하듯 기다림을 상쇄하는 훌륭한 맛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런 내 생각이 무색하게 쌍용반점은 보란 듯이 편견의 틀을 깨 주었다. 역시 장인이다. 나는 장인이 없으니 명인으로 부르겠다. 주방장 선생님은 명인이 분명하다. 명인을 선택한 내 감이 틀리지 않았다는 데 안도하고, 선택지가 군산이었다는 것에 다행스러움을 느낀 순간이다. 모르긴 몰라도 최소 만 번의 웍질과 오만 번의 설거지가 콜라보레이션 되었을 거다. 견뎌냈어야만 했을 긴 인내의 시간이 그저 감사하기만 하다.





내 마음처럼 투명하다. 소스를 끼얹었음에도 그 속이 훤히 내비치는 정도라면 소스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시각적으로 구분해내기가 쉽지 않아 마치 그냥 고기튀김을 보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진다. 이렇게 보니 약간 탕수육 디오라마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명인의 솜씨를 너무 평가절하하는 것 같아 죄송한 마음이 드니 이쯤에서 그만하겠다.


사실 이러한 시각적 장치는 극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데, 처음 보는 것에 대한 놀라움이 곧 맛에 대한 호기심으로 이어지고, 이럴 경우 모나지 않게 맛에 조금만 변주를 줘도 굉장히 특별하다는 인식을 줄 수가 있다. 여타 음식이 그러하듯 탕수육 또한 보이는 맛으로 안전범위 안에서 충분한 시각적 충격을 줄 수가 있기에, 점잖으면서도 꽤나 파격적인 시도가 가능하다. 물론, 맛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앞선 모든 노력은 물거품이겠지만.





이유는 모르겠지만, 군산엔 짬뽕으로 유명한 중식당이 더러 있다. 이 집도 그중 하나인데, 맛이 솔찬히 괜찮은 부분이다. 쌍용반점의 특징은 손님의 경우 기다림에 들들 볶이고 먹지 못해 초조해하는데 반해, 정작 매장 선생님들은 하나같이 여유롭다는 것이다. 장사가 잘되어 배짱 영업을 하는 게 아니다. 그들은 아는 것이다. 탕수육이 튀겨지는 시간, 면이 삶아지는 과정, 기다림, 손님과 직원의 교우, 바닷바람에 실려오는 군산의 갯내, 정취, 그리고 또 기다림.


시간의 흐름은 기다림이라는 순리를 동반한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은, 비록 상대적일 지라도, 우리에게는 변하지 않는 것이다. 그럼, 이제 그 기다림을 무기로 한 방 두 방 내 편견에 잽을 날린다. 1초에 한 대씩. 1분은 60초, 10분은 600초, 100분은 6000초. 그럼 만 대는? 166.6666666…분. 자, 3시간만 버티면 ‘편견’을 두들겨 부술 수 있다. 그렇지만 3시간 동안의 배고픔을 견뎌낼 수 있다면 그건 장인, 명인이 아니라 성인이라고 봐야 한다. 그러니 순리고 나발이고, 일단 나올 때까지 마냥 기다렸다가 맛있게 먹기로 하자.





한 테이블에 있는 애들인데, 얘네만 안 짚고 넘어가기는 좀 미안해서, 어디서나 그렇겠지만 관심을 갈구하는 무언가에 관심을 쏟는 건 동정을 가장한 미안함의 해소가 아닐까. 쓰고 보니 미안함보다 동정이 더 안 좋은 것 같기도 하다. 사실 잘 모르겠다. 이렇게 어렵다 감정이라는 건. 이것 또한 내 편견이겠지.







매거진의 이전글 애증의 동맹, 한미반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