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onggsungg labnote Aug 11. 2024

나는 왜 대학원에 왔는가? (2)

전문가가 되고 싶었다.

(22년 4월에 작성했던 글을 기반으로 합니다.)


1편에서는 박사라는 이름값. 호칭. 직함. 때문이라고 말했지만, 실제로 박사는 자기 분야에서만큼은 정말로 전문가이고. 똑똑하다. 나는 박사 학위 과정을 통해서 전문성을 지니고 싶다.


정재승 교수님이 하는 뇌과학 내용은 나도 다 아는 내용이니까 내가 똑같이 따라할 수 있다고 했다. 학부생의 수준에서 겉으로 나오는 내용은 똑같을 것이다. 하지만 속에 얼마나 깊은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지는 다르다. 박사는 내부에 많은 전문성을 기반으로 그 전문 지식 중 일부를 골라서 컨텐츠를. 청중이 준비된 부분 이외의 질문을 했을 때 답변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을 알고 있다. 해마가 기억을 담당한다고 얘기할 때. 나는 교과서에 나오는 사례밖에 모르지만. 아무래도 전문가는 케이스 스터디나 논문을 더 읽어봤으니까 더 생생하게 기억에 관한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다.


전문가는 알고 있는 지식이 100 있는 상태에서 사람들이 좋아하고 내가 잘 전달할 수 있는 10 만큼을 전달한다. 헛똑똑이는 알고 있는 지식이 15 있는 상태에서 자신이 아는 10 만큼을 전달한다. 보여지는 건 똑같은 10 이다. 전문가는 그 10을 어떻게 보여주면 좋을지. 11을 물어보면 어떻게 답할지. 타겟층이 다르면 100 중에서 10을 어떻게 구성할지. 자연스레 알고 있다. 헛똑똑이는 10을 보여주는 데 급급하다. 11은 안 물어보면 좋겠다. 타겟층이 달라도 아는 건 10 밖에 없다. 지식의 스펙트럼이 넓을수록 같은 말을 할 때 풍기는 여유가 다를 수 밖에 없다. 


코딩의 전문성은 개발. 경영의 전문성은 사업. 과학의 전문성은 연구. 자연과학생에게는 전공을 살려서 본인만의 전문적인 컨텐츠를 개발하는 작업이 연구다. 그래서 지금 나는 박사과정동안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연구를통해서 논문이라는 컨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논문으로 작성한 성취는 다른 과학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강점이다. 세포생물학을 하더라도 누구는 이미징을 잘 하고. 누구는 줄기세포 분화를 잘 하고. 누구는 스크리닝을 잘 하고. 그리고 그걸 논문으로 자랑한다. 과학계에서 나름 알아주는 강점이 연구자에게는 전공분야이다.


연구자로서의 전문성으로도 필요하지만. 과학소통의 전문성도 필요하다. 사실 과학소통할 때 보편전사인자의 어셈블리 순서 같이 너무 깊이 있는 지식은 필요없다. 그것보다 CRISPR 의 원리. CryoEM 의 원리. 이런 테마에 대해서 공부하는 게 더 낫고. 그래서 필드 이외의 논문도 종종 읽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제약, 물리, 화학, 등 전반적인 과학 지식이 필요하다. 그래서 과학 전반에 대한 다른 수업도 듣고 있다. 대학원에서 화학부 수업이나 데이터 사이언스 수업을 수강했다. 앞으로도 과학학이나 정수론 같은 수업들을 청강하거나 온라인강의를 듣고 싶다.


박사 학위과정을 통해서 전문성을 얻을 것이다. 과학자 집단 내의 전문성을 위해 연구를 하고. 대중 소통의 전문성을 위해 폭넓은 지식을 접한다. 앞서 말했듯 박사는 말에 무게가 있다. 그리고 그 말의 무게에 걸맞는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 


비중만 얻고 전문성은 없는 무책임한 사람이 되고 싶지는 않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는 왜 대학원에 왔는가? (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