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물비늘>
물비늘은 잔잔한 물결 위에 일렁이는 햇빛의 모양새를 이르는 순우리말입니다. 물에 비친 햇빛이 꼭 비늘과도 같아 붙은 이름이죠. 물비늘, 뜻을 알고 보면 이렇게 따뜻하고 부드러운 단어가 없습니다. 그러나 단어 그 자체가 주는 인상은 어쩐지 차갑고 날카롭습니다. 임승현 감독은 영화의 첫인상인 제목을 <물비늘>로 지은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고 밝혔는데요. 제10회 서울국제어린이영화제에서 영화 <물비늘>을 만나 그 이유를 탐색해 보았습니다.
물비늘
The Ripple
'예분'은 매일 금속 탐지기를 들고 강을 수색합니다. 1년 전, 래프팅 사고로 목숨을 잃은 손녀 '수정'의 시신을 찾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던 어느 날, '예분'의 친구 '옥임'이 죽기 전 마지막 소원이라며 자신의 손녀 '지윤'을 보살펴 달라고 부탁합니다. '지윤'은 수정의 절친한 친구로, '예분'은 래프팅 사고의 진실을 이야기하지 않는 '지윤'이 썩 마뜩잖습니다. 하지만 '옥임'의 죽음 이후, 혈혈단신 혼자가 되어버린 '지윤'과 어쩔 수 없이 함께 지내기로 하죠.
둘의 관계는 ‘지윤’이 예분'의 공간으로 들어오면서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실제로 영화는 ‘예분’이 서 있는 프레임 안으로 들어서는 ‘지윤’의 모습을 통해 이를 시각화합니다. '지윤'이 '예분'의 세상에 처음 진입할 때만 해도 그들 사이엔 멀찍한 거리가 존재합니다. 그들은 서로에게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상실의 고통 속에서 도생하는 것만으로도 벅찬 상황이었으니까요. '수정'은 술만 마시면 대중없이 굴던 '예분'을 말리다가 집을 나섰고, '지윤'의 제안으로 탄 래프팅 보트에서 사고를 당했습니다. '지윤'은 구명조끼를 답답해하는 '수정'의 구명조끼 버클을 조정해 주었고요. '수정'을 죽음에 이르게 했다는 생각은 '예분'이 자기 자신을 채찍질로 벌주게 하고, ‘지윤'이 환영과 환청으로 고통받게 합니다.
두 사람이 겪는 상실의 고통, 그 근원에는 죄책감이라는 공통의 감정이 있습니다. '예분'과 '지윤'은 서로를 향해 날카로운 비늘을 세우는 듯 하나, 차츰 죄책감의 물속에서 고통스러워하는 서로의 상처를 직면합니다. 좁혀지지 않을 것 같던 그들 사이의 물리적 거리는 조금씩 조금씩 가까워지죠. 나란히 걷고 나란히 앉다가 이윽고 마주 보고 누워 잠에 듭니다. 그들은 그렇게 차갑고 날카로운 첫인상을 지나 따뜻한 치유와 회복의 길로 나아갑니다. 감독은 감정의 온도와 질감 양극단 사이를 균형 있게 오가는 섬세한 연출을 통해 '물비늘'이라는 제목의 함의를 영화 전체에 담아냈습니다.
서울국제어린이영화제 출품작이다 보니 절로 어른이 아닌 인물 '지윤'에게 눈길이 갔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만 12세 미만의 사람을 어린이라고 부른다지만, 넓게 보면 청소년도 분명한 어린이니까요. ‘지윤'은 단짝 친구 '수정'과 할머니 '옥임'의 죽음을 연이어 경험하고, 어린 나이에 감당하기 힘든 여러 감정과 마주하는 캐릭터입니다. 성장 과정에 흔히 느끼는 감정이라기엔 ‘지윤’에게 드리운 상실, 죄책감, 외로움, 고독, 쓸쓸함의 구름은 가혹할 정도로 크고 무거워 보입니다.
'지윤'은 많은 물음에 "모르겠다"라고 답합니다. 무언가를 알고 있음이 분명한데, 모르겠다고만 말하는 '지윤'이 일견 답답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영화 후반부 '예분'과의 대화에서 우리는 '지윤'이 그저 두려워했을 뿐이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친구를 죽음으로 내몰았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유일한 가족인 할머니가 없는 세상을 살아가야 한다는 두려움. 어느새 어린이의 말을 편협한 시각으로 해석하는 못난 어른이 되어버렸다는 자괴감이 밀려왔습니다. 어른이 된 지금도 감정을 추스르고 이겨내는 일이 어려운데, 어린이에겐 얼마나 더 힘든 일일까요. 그저 숨기는 수밖에, 모르는 척할 수밖에는 없었겠죠.
캐릭터를 연기한 홍예서 배우가 왜소한 체격이어서 그런지, 극 중의 어린이('지윤')가 더 연약한 존재처럼 느껴졌습니다. 아직 시신이 있을지도 모르는 강에 다리를 지으러 온 공사 인부들과 '예분'이 몸싸움을 벌일 때, 어떻게든 말려보려 하지만 아무런 영향도 주지 못하고 저항 없이 쓰러지고 마는 '지윤'의 모습에서 이 시대의 어린이들이 연상되기도 했습니다. 미처 다 크지 못한 채로, 하루하루 새로운 세상에 몸 부딪히는 어린이들, 연약하면서도 단단한 어린이들. 한편으로는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듯 어른들이 어린이들의 세계를 망치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애먼 생각으로까지 사고가 흘러가더군요. 어떻게 해야 연약하지만 누구보다 단단한 어린이들의 세계를 지키는 좋은 어른으로 살 수 있을까요?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는 동안, 이런저런 생각과 함께 영화 감상을 마쳤습니다.
어른도, 어린이도 고통은 감내하기 어렵습니다. 어린이라고 해서 어른과 다른 고통을 느낄 리 없고, 어른이라고 해서 고통스러워하지 않는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마주 보고 고통을 어루만져 줄 상대, 또는 나란히 걸으며 함께 이겨낼 상대가 있다면 다릅니다. 그리고 어린이와 어른은 서로의 든든한 상대가 되어줄 수 있습니다. '예분'과 '지윤'처럼 말이죠.
사고로 각각 손녀와 친구인 한 소녀를 잃은 후 원망과 죄책감으로 방황하는 두 사람.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이들의 가파른 마음의 행로 (출처: 서울국제어린이영화제)
감독: 임승현
출연: 김자영, 홍예서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