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폴더블의 승자는 로욜이다

삼성 갤럭시 폴드와 화웨이 Mate-x가 놓친 폴더블의 본질

스마트폰 성장의 정체와 5G가 만나는 2019년은 새로운 폼팩터가 탄생하기 좋은 타이밍이다. 때맞춰 CES2019에선 중국의 작은 기업 로욜(Royole)이 최초로 폴더블 스마트폰을 선보이면서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며 일약 스타가 된다. 삼성이외에 많은 기업들이 오랫동안 폴더블을 준비하고 있었던터라 로욜의 등장은 마치 애플워치가 나오기 전 페블의 성공과도 겹쳐보인다. 한달 후 MWC에서 모바일의 두 강자 삼성과 화웨이가 동시에 폴더블 디바이스를 선보인다. 아직 안정성이 떨어진다, 누가 우월하다, 어떤 제품이 더 좋다... 등 수 많은 평가와 리뷰가 나오고 있지만 기저의 본질은 무엇인지 시원하게 이야기하고 있지 않다. 게다가 SF영화를 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신문을 보는 장면들이 나오는데 왜 구지 이 기술을 수많은 기능성과 사용성의 문제가 존재하는 기존 아날로그 제품에 적용하는지 의아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본질적 가치는 무엇이며 앞으로 이 기술은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술의 난이도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2013년 CES에서 삼성디스플레이가 프로토타입을 처음 소개하였지만 실제 제품에 적용되기 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OLED 기술이 충분한 내구성과 수율, 적정한 성능과 가격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나마도 현재 가능한 기술을 확보한 기업은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그리고 중국의 BOE정도이다. 난이도 중 가장 핵심은 폴딩인데 언론에 많이 노출되는 인폴딩, 아웃폴딩이라는 용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안쪽 방향으로 접는냐, 바깥방향으로 접느냐를 구분하는 것일 뿐 기본원리는 같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유리재질대신 폴딩이 가능하도록 폴리이미드(PI) 재질의 기판과 박막봉지(TFE: Thin Film Encapsulation)공정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가 적용된다.

Flexible OLED Layer 구조 (출처: Samsung SDI Blog)


기술적인 관점에서 보면 완전히 포개지면서 접히는 삼성의 디스플레이가 상대적으로 더 큰 곡률을 가지고 구부러지는 화웨이의 경우보다 구현난이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두 제품 모두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이 책정된 것으로 보아 아직까지는 수율과 품질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술적 우위를 과시하는 플래그쉽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본질과 공급자의 마인드세트

디바이스의 본질이라 함은 사용자가 인지하는 중요한 가치이며 그들의 사용시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점유하는 영역에서의 기능성과 사용성이라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스크린 사이즈와 해상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삼성의 갤럭시 폴드와 화웨이의 메이트 X는 같은 '폴딩폰'이라 불리우기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삼성 갤럭시 폴드의 해상도와 스크린 사이즈


갤럭시 폴드의 경우 접힌 상태에서의 스크린 사이즈는 4.6인치 1960x840 픽셀(화면비 21:9)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고 펼쳤을 때는 별도의 인폴딩된 스크린이 활성화되는데 7.3인치 2152x1536 픽셀(화면비 16:10)의 해상도를 가진다.


화웨이 메이트 X의 해상도와 스크린 사이즈

화웨이 메이트 X의 경우 접힌 상태에서의 스크린 사이즈는 6.6인치 2480x1148 픽셀(화면비 19.5:9)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고 펼쳤을 때는 별도의 인폴딩된 스크린이 활성화되는데 8.0인치 2480x2200 픽셀(화면비 8:7.1)의 해상도로 개발되었다.


사용자들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면서 중요하게 여기는 기능성의 관점에서 화면사이즈와 해상도를 보면 그것이 바로 메인 디스플레이가 된다. 갤럭시 폴드의 경우 웹브라우징, 동영상재생, 게임이나 다양한 컨텐츠소비 시 4.6인치 디스플레이는 매우 부족하고, 대신 펼쳐진 7.3인치 화면이 적절하다. 결국 메인 디스플레이는 7.3인치라 할 수 있으며 4.6인치는 서브디스플레이로 볼 수 있다. 즉, 메인이 7.3인치인 태블릿이 갤럭시 폴드의 본질적인 기능성이며 결국 이 태블릿을 접은 것이 갤럭시 폴드이다. 화웨이 메이트X의 경우는 6.6인치 화면자체로도 이미 충분한 해상도와 사이즈를 가지고 있어 기능성에 부족함이 없는데 펼치면 해상도와 크기가 확장되는 컨셉이다. 이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는 6.6인치 전면 디스플레이라 볼 수 있으며, 8인치로 펼쳐지는 6.6인치 스마트폰이 본질적 기능성인 것이다.


이는 갤럭시 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폴드를 빈번히 펼쳐야만 원하는 사용성을 얻을 수 있고 화웨이 메이트X의 경우 펼치지 않아도 사용성을 확보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여기에 두 번째 기능성 이슈가 존재한다. 갤럭시 폴드는 인폴딩방식이라 평상시에 화면보호가 용이하고 펼칠 때와 접을 때, 디스플레이에 가해지는 충격과 압력이 작지만 아웃폴딩방식의 화웨이 메이트X는 가장 자주 쓰는 평상시에 외부 충격에 완전히 노출되어 있으며 펼칠 때나 접을 때 지속적으로 큰 압력을 화면에 주어야 한다. 화면이 펼쳐질 때 굴곡이 생긴다거나 평평하지 못 하다는 이슈와 안드로이드 방식의 태블릿이 가진 단점들을 고려대상에서 차치하고라도 결국 갤럭시 폴드는 쓸때마다 불편하게 화면을 펼쳐야 하고, 화웨이 메이트 X는 펼치지 않아도 될 스마트폰의 삼면을 스크린으로 만들어 내구성과 사용성에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게 된 것이다.  


만약 갤럭시폴드가 외부 4.6인치 디스플레이를 화웨이처럼 6인치정도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여 전면을 커버했다면 접은 상태에서의 스마트폰으로도 소구를 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로 보는 영상과 내부 디스플레이로 보는 영상의 차이가 크지 않아 7.3인치의 가치가 사라지는 트레이드오프도 존재했을 것이다. 이렇게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기술의 혁신성에도 불구하고 삼성과 화웨이의 제품에서는 본질에 접근하는 디테일을 보여주지 못했다.  

 



폴더블제품은 문제를 해결하는가, 문제를 만드는가?

갤럭시 폴드의 접히는 태블릿 컨셉은 이외에도 몇 문제들이 더 있다. 먼저 전면의 작은 화면이 일부 기능에서만 적절한 탓에 빈번하게 펼쳐야 하는 데 터치의 오류나 기구적 이슈로 펼치는 동작들이 너무도 조심스러워 보였고 UX 자체도 결코 편리해 보이지 않는다. 또한  태블릿에 최적화되지 않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제약을 커버하기 위해 3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한 화면에 올리는 멀티태스킹을 시연했는데 사용자관점에서의 고민이 부족했음이 여러 차례 드러났다. 커다란 화면에서 유튜브를 작은 화면으로 보면서 메신저와 검색을 함께 한다는 시나리오가 현실성이 떨어지며 키보드 입력시 동영상 재생화면이 화면밖으로 밀려 올라가는 치명적인 UX도 그 예이다.

갤럭시 폴드의 멀티태스킹 예시 (출처: 삼성 언팩 영상)
갤럭시 폴드의 멀티태스킹 시 타이핑 UI (출처: 삼성 언팩 영상)


물론 화웨이 메이트X의 경우도 적절한 킬러앱이나 새로운 사용성을 제시하기보다는 접히는 기능과 디자인 컨셉을 보여주는데 급급했다. 많은 사람들에게 신기한 제품으로 보였겠지만 동시에 폴더블 디바이스가 가진 문제점을 잔뜩 인식시켜주는 계기가 된 셈이다. 기술적 실험과 도전은 높이 사지만 동시에 디테일과 본질에 대한 세심한 고민이 부족한 것이 아쉬운 대목이다.


가격을 떠나 잘 팔리지 않는 갤럭시 태블릿을 접었다고 갑자기 잘 팔릴리 만무하며, 특별한 차별적 가치도 없는데 고장나지 않게 노심초사 조심해야 할 고가의 삼면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메이트X도 잘 팔릴리가 없다. 결국 폴더블 디스플레이로 사용자가 가지고있는 어떤 중요한 문제를 풀어 낼 수 있느냐가 관건이며 이를 위해 어떤 새로운 사용성을 제시하느냐가 핵심일 것이다. 지금의 폴더블 디바이스는 고객이 가진 그 어떤 본질적인 문제도 풀지 못하고 있다. 아니 오히려 다른 문제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접고 싶다라던가 펼쳐서 큰 화면을 가지고 싶다'는 고객의 근본적인 문제나 니즈(Must  to have)가 아니며, 있으면 좋겠다(Nice  to  have)정도의 발현 일 뿐인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본질적인 가치

폴더블을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가진 가장 중요한 목적은 무엇일까? 일단 작은 화면을 펼쳐 크게 만드는 것이나, 큰 화면을 접어 작게 만드는 것이 본질적인 목적은 아니다. 사용자에게 어떤 문제가 있고 그걸 풀어내기 위해 접거나 펼쳐야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가진 가치는 많겠지만 그 중 세 가지만 선택하라고 하면,

1. 평면 디자인의 파괴이다. 예전 피처폰때도 바(Bar) 폰, 폴더(Folder) 폰, 슬라이드(Slide) 폰의 폼팩터가 있었지만 전부 평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했다. 이제는 사람과 콘텍스트에 가장 최적화된 형태의 디자인이 가능하다. 디자인적으로 고도의 최적화된 형태로 진화할 수 있게 되었다. 웨어러블들이 인간의 신체에 최적화된 형태를 띄게 되며 상황에 따라 형태가 변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자체가 제품이 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는 수많은 제품에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거나 시각적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이 되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다른 기술들을 내재화하면서 디스플레이 자체가 최종 제품으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깨어지지 않는 슬림한 디스플레이 시대가 열린다.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는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에 강하고 형태변형에 유연하기 때문에 깨진 디스플레이를 수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사라진다.

3. 심리스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해진다. 펼치거나 접는 기구적인 접근에서 부터 Rollable이나 Extractable같은 형태의 변화가 기능에 따라 달라지며 사용자가 가진 고착된 형태에서의 문제를 해결한다. 트랜스포머와 같이 다른 형태에서 다른 기능성을 가지게 된다. 커브의 스마트폰이 슬라이드가 되면서 포터블 커브드 TV가 된다거나 롤러블TV같이 형태가 기능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019년 폴더블 폰의 승자는 로욜이다

이렇게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가진 가치를 모바일디바이스에서의 실제 사용자 니즈와 연결하지 못한 지금, 결론적으로 '폴더블 폰의 승자는 중국의 로욜이다'라고 말하고 싶다. 디자인의 완성도나 기능성도 제대로 구현하지 못했지만 가장 먼저 폴더블 폰의 시제품을 내 놓으면서 순식간에 세계적으로 그 이름이 알려졌고, 마케팅이 목적이었다면 최고의 성과를 만들어 낸 셈이다. 향후 제품이 출시되었을때 실제 판매량과 고객의 만족도를 미리 감안해 본다면 삼성과 화웨이는 기술과시로 만족해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수많은 이유들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큰 잠재력을 가진 솔루션이다. 이를 이용하여 고객의 Unmet Needs를 풀어내거나 새로운 폼펙터의 혁신적인 UX를 제안해낸다면 새로운 카테고리킹이 되어 오랫동안 시장의 우선적 지위를 얻어 낼 수도 있다. 폴드(Fold)라는 폼팩터에 매몰되지 않고 플렉서블의 다양한 가능성과 본질을 사용자의 관점에서 깊이있게 고민하고 근본적인 가치를 발견해내는 플레이어가 진정한 승자가 될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