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지현 Oct 03. 2024

단군신화와 쑥과 마늘의 상징

통과의례 관점에서 바라본 변화와 성장

단군신화는 한민족의 기원을 설명하는 건국 설화로, 고조선의 창건 이야기를 다룬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신화는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와 곰과 호랑이에게 인간이 될 기회를 주고, 그 결과 단군이 태어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과정에서 환웅이 곰과 호랑이에게 쑥과 마늘을 주며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고 동굴에 머물러야 한다고 한 조건은 단순한 상징을 넘어, 고대 한국인들의 자연에 대한 믿음과 인간으로의 변신에 관한 깊은 통찰을 반영하고 있다.

랴오닝성 핑강지구 출토 금동 패식

곰과 호랑이는 인간으로 변하기를 원했지만, 결국 곰만이 시련을 견뎌내어 인간 여성인 웅녀로 변신하게 된다. 이는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자연의 시련과 내적 단련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곰이 100일 동안 동굴 속에서 쑥과 마늘을 먹으며 인내한 이 과정은 단순한 기다림이 아닌 자기 본성을 극복하기 위한 고행의 과정이었다.


쑥과 마늘의 상징성과 효용성


쑥은 고대 동아시아 전역에서 약용 식물로 널리 사용되었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서도 쑥의 약용 가치를 언급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 건강과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쑥의 학명 '아르테미지아(Artemisia)'는 그리스 신화의 여신 아르테미스에서 유래하였다. 아르테미스는 달과 사냥, 그리고 출산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쑥은 이와 같은 여신의 특성을 담고 있다. 따라서 쑥은 생명 창조와 치유, 여성의 건강을 상징하며, 웅녀가 단군을 낳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쑥은 단순한 식물 이상의 존재로, 생명의 창조와 변화를 돕는 신성한 요소로 작용했다.

조로아스터교의 경전 '베스타'

마늘 역시 고대부터 중요한 약용 및 의례용 식물로 사용되어 왔다. 기원전 6세기경의 조로아스터교 경전 '베스타'에서도 마늘에 대한 언급이 있을 정도로, 그 약효와 상징성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정받아 왔다.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에서도 마늘은 항균 작용과 건강 증진 효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단군신화에서는 강한 향과 맛으로 인해 시련과 극복의 의미를 담고 있다. 100일 동안 마늘을 먹으며 시련을 견딘다는 것은 곰이 자신의 내적 성장과 단련을 위해 극복해야 할 어려움을 상징한다. 또한 마늘의 항균 효과는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보호받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곰이 인간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외부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며 정화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통과의례와 쑥, 마늘의 역할


현대 인류학의 통과의례 관점에서 곰과 호랑이가 동굴에 들어가 쑥과 마늘을 먹으며 수행하는 과정은 세 가지 단계로 나누어 설명될 수 있다. 반 겐넵의 통과의례 이론에 따르면, '분리 단계', '전이 단계', 그리고 '통합 단계'로 나뉘어 이들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쑥과 마늘은 각기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단군신화 쑥과 마늘을 받은 호랑이와 곰

첫 번째 단계인 '분리 단계'에서 곰과 호랑이는 기존의 익숙한 세계를 떠나 동굴에 들어가며, 이 과정에서 쑥과 마늘은 정화의 상징으로 작용한다. 이 단계에서 쑥과 마늘은 이들 식물이 갖는 정화의 속성을 상징한다. 곰과 호랑이는 기존의 세계와의 단절을 통해 자신을 정화하고 새로운 변화를 위한 준비를 한다. 쑥과 마늘은 신체적으로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정화와 새로운 출발을 위한 도구로 기능하며, 이 식물들은 그들의 이전 상태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상징적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두 번째 '전이 단계'에서는 곰과 호랑이가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기 위한 수행을 겪는다. 

이 과정에서 쑥과 마늘은 시련과 인내의 상징이다. 쑥은 고대부터 약초로 사용되며 생명력과 치유의 힘을 지녔다고 여겨졌고, 마늘은 강력한 향과 맛으로 시련을 상징한다. 이 두 식물을 먹으며 100일 동안 동굴에 머무는 것은 단순한 생존을 넘어, 내면의 단련과 인내를 통해 자신의 본성을 변화시키는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 곰은 이러한 시련을 끝까지 견뎌내어 새로운 존재로 거듭날 준비를 마치지만, 호랑이는 포기하고 떠난다. 쑥과 마늘은 여기서 인내와 결단을 요구하는 중요한 상징적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통합 단계'에서, 곰은 웅녀가 되어 새로운 정체성을 받아들인다. 이 단계에서 쑥과 마늘은 음양의 조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쑥은 음의 성질을, 마늘은 양의 성질을 상징하며, 이 두 가지를 함께 섭취하는 것은 음양의 균형을 이루어 완전한 인간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웅녀가 된 곰이 새로운 사회적 역할을 수용하고, 환웅과 결합하여 단군을 낳음으로써 천(天), 지(地), 인(人)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이다.

단군 신화의 모티브를 담은 고구려 각저총 씨름도

이렇듯 쑥과 마늘은 단순한 식재료가 아니라 고대 한국인들이 인내와 내적 단련을 통해 진정한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을 상징적으로 담고 있다. 이 두 식물은 정화, 시련, 조화의 상징으로서 곰의 변화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단군신화에서 인간으로서의 변신과 새로운 정체성을 수용하는 과정을 깊이 있게 상징하고 있다. 이러한 상징들은 고조선의 건국 신화 속에서 고대인들이 인간, 자연, 신성 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단군신화는 단순한 건국 설화를 넘어 한국 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문화적, 철학적 텍스트로 이해될 수 있다. 신화에 등장하는 쑥과 마늘은 고대 한국인들의 자연관, 우주관, 그리고 인간 존재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반영하고 있다. 이들 식물은 생명력과 정화, 인내와 보호, 음양의 조화 등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과 자연, 그리고 우주 간의 관계에 대한 고대인들의 깊은 통찰을 엿볼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한국 문화와 역사 속 향의의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