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르키 Dec 14. 2023

오랜만에 만난 친구와의 5시간 수다

다시 23살로 돌아간 기분이었다

오늘은 오랜만에 학교 앞에서 대학 친구를 만났다. 친구는 남편 일로 해외에서 1년 넘게 지내다가 얼마 전 귀국했다. 여전히 학교 앞은 정답고 편안했다. 나는 이제 "화석이 됐네~"라며 너스레를 떨고 싶지도 않다. 그런 너스레는 너무 지겹고 재미도 없다. 이제 학교에 가면 화석이나 암모나이트 삼엽충 정도가 아니라, 지구 맨틀이 말랑말랑하던 시절에 태어난 기분이 되어버린다. 심지어 내가 입학했을 땐 학교의 주 거래 은행이 신한은행이 아니라 조흥은행이었다. 조흥은행, 왜 사라져서 나를 더 슬프게 만드는 것입니까... 


내가 자주 다녔던 가게들은 진즉 사라졌다. 내가 좋아했던 900원짜리 야채호떡 안엔 숙주나물과 당면이 들어있었는데 없어진 지 아주아주 오래. 모두들 "빵굼터에서 만나~"라고 했던 빵굼터는 이미 내가 2학년이었을 때 사라졌다. 간장치킨이 맛있었던 모모치킨도, 버블티 팔던 뽀바도 없어졌다.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건재한 건 스타벅스였다...! 게다가 그땐 학생들은 거의 아무도 안 가던, 효창공원 근처의 중국집 <신성각>이 갑자기 힙한 곳이 되어 있었다. 문 앞엔 '저녁 8시 23분에 문을 닫습니다.'라고 쓰여 있었던 기억이 어렴풋이 나는데. 그 엉뚱한 콘셉트와, 조미료 치지 않은 건강한 맛에 이끌려 몇 번 갔었던 곳이다. <동아냉면>도 늘 텅텅 비어있던 곳인데 방송을 탔는지 어떤 알고리즘에 의해서인지 어느샌가 학교 앞 맛집으로 등극해 있었다.. 무엇이든 언제 터질지 모르니 신기하다.


모르는 가게들 중에서 괜찮아 보이는 쌀국숫집을 골라 점심을 먹었다. 꽤 맛있었다. 그리고 몇 년째 건재한 카페 <청파맨션>에서 수다를 떨었다. 

  

나는 친구의 여행담을 좋아한다. 친구는 결혼한 다음에 남편과 둘이서 2년쯤 세계 곳곳을 여행했다. 그 여행담은 들어도 들어도 재밌다. 그중에서 내가 좋아하는 에피소드는 볼리비아 우유니 사막에 가려다가 못 간 일화. 그 아름다운 소금 사막 말이다. 친구 부부는 버스를 타고 1시간 반쯤 우유니 사막으로 향하는 비포장 도로를 달렸다. 그런데 그날은 하필 비가 많이 내렸다. 진창길이 된 버스 기사는 결국 사막 근처까지 갔다가, 왔던 길로 되돌아가기로 선택. 하지만 양옆은 더 심한 진창이라 도무지 유턴할 수 없었다고 했다. 결국 버스는 우유니 사막을 코앞에 두고 살금살금 1시간 반을 후진했다는 이야기. 


그 밖에도 요르단에서 돌 맞은 얘기. (여자는 천대받는데 외국인은 더 싫어한다고.) 아르헨티나를 가로지르는 도로를 폭스바겐 골(아토스와 비슷한 소형차라고)로 횡단하다가 진창에 빠져서 죽다 살아난 얘기. 페루의 남녀혼숙 게스트하우스에서 25금 장면을 목격한 얘기. 들어도 들어도 재밌는 얘기들. 오늘도 신나게 들었다. 


나도 몇 년 전까지는 짐도 간단히 들고 다니며 겁 없이 여행했다. 특히 '숙소 예약 따위는 미리 하지 말고 도착해서 하자' 주의자였다. 심지어 인도를 혼자 여행할 때도 미리 숙소를 예약해놓지 않고 게스트하우스에 들어가서 "방 주세요!"라고 했다. (지금 생각하면 왜 그렇게까지 했을까 싶다...) 그런데도 친구네 여행 얘기를 들으면 모험이 가득해서, '나는 비빌 게 못 되는군' 싶어 진다.


친구가 산리오 핀과 장갑, 파우치를 선물로 줬다. 오늘도 받기만 해 버렸네. 아기가 쓰기엔 아직 크니, 내가 먼저 써야겠다. 

 

친구가 물었다. 

"나중에 아이가 어떤 사람으로 자라면 좋겠어?" 

나는 답했다. 

"지혜로워서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사람. 그리고 악기 한 가지 정도는 취미로 하더라도 전문가 수준까지 하면 좋겠어."


내 지난날을 돌이켜보면, 나쁜 판단으로 나쁜 결정을 내리면 결국 내게 안 좋을 뿐이었다. 내게도 좋고, 남에게도 좋은 것을 고르는 게 좋다. 만약에 내게는 당장은 좋은 것 같은데, 남에게는 해를 끼치는 것이라면 안 하는 게 좋다.

 

또, 공부는 자기가 좋아서 한다면 좋겠다. 나는 어릴 적에 영어 공부를 진짜로 좋아했었다. 주변에 나만큼 영어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었다. 과외를 받아본 적도 없지만, 과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도 않았다... 라고 쓰고 보니 나도 좀 꼰대 같이 느껴지네. 나의 어린시절과, 2030년에 학교에 다닐 우리 아이를 단순 비교해선 곤란하다. 우린 아주 다른 세상을 살아갈 테니까. 여하튼 내가 말하고 싶은 건, 남들에게 박수받겠다는 허영심으로 꽉 차, 명문대 타이틀을 얻으려고 24시간을 보내진 말라는 얘기다.


친구는 아이가 나중에 천체물리학을 공부하면 좋겠다고 했다. 친구도 여전히 천체물리학에, 밤하늘에, 별에 관심이 많았다.


꼭 마치 23살로 다시 돌아간 기분이 들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꽃스님이 불편한 이유를 찾아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