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순우 Apr 18. 2024

소박한 자유인이 떠났다

홍세화 선생님의 명복을 빌며

마냥 봄날인 줄로만 알았는데, 언뜻 마주한 미세먼지 수치에 화들짝 놀랐다. 수치 위쪽에 뜨는 두 글자, 최악. 살갗에 닿는 온도만으로 봄인 줄 알았는데, 공기의 질을 따지지 않았구나. 겉보기만 번지르르하고 속은 썩어 문드러진 우리 사회의 모습 같아 마음이 한겨울 칼바람을 맞은 듯 얼얼하다.     


바깥은 여름인데 실내는 오히려 서늘하다. 공기도 정화할 겸 냉난방기를 가동한다. 별 생각 없이 열어본 스마트폰 창에 홍세화 선생님의 부고가 뜬다. 손끝이 얼어붙는다. 사월인데, 사월인데. 사월이면 날씨와 상관 없이 마음이 시리곤 하는데, 선생님이 가셨다는 말에 시린 가슴이 쿵 내려앉기까지 한다.     


딱 한 번 지근거리에서 선생님을 뵈었다. 동네 책방에서 열린 만남이었다. 당시 나는 아이들만 키우다 카페에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었다. 첫째를 병설유치원에 보내자니 믿을 수 없는 한국 교육으로 밀어넣고 있는 것만 같아 마음이 도무지 안정되지 않았다. 그때 선생님의 강연을 용기 내어 찾아갔다. 홍세화가 누구인가. 젊은 날, 내가 생각이라는 걸 조금씩 갖게 되었을 무렵, 내게 새로운 통찰을 한 무더기씩 얹어주신 분이 아닌가.     


당시 뵈었던 선생님의 모습은 많이 야위고 연세가 드셨지만, 속만은 여전히 파릇한 청년이었다. 여전히 매년 백 권 가까운 책을 읽으시고, 비판적 사고를 놓지 않으며, 까랑까랑한 목소리로 세상에 일갈하시는 모습이 무척 인상 깊었다. 당시 길을 잃었던 내게 좌표가 되어준 문구 하나.      


“교육이라기보다 차라리 집단 광란 상태라고 불러야 마땅한 그 도가니 속으로 자식을 보내면서 고민이 없다면 오히려 이상한 일이다. <생각의 좌표, 홍세화, p78>”     


시대를 한 발도 아니고 두 발 앞서 가는 분들을 아주 가끔 목도하는데, 내게는 홍세화 선생님이 그런 분이었다. 끝까지 약자의 편에 서서 힘을 보태시고, 자칫 잘못하면 적을 만들 수 있는 어려운 발언도 서슴지 않고 내뱉고 싸우셨던 홍세화 선생님의 세상을 향한 진심을 떠올린다.


어른임을 부정하는 나이에 글로 처음 뵈었는데, 어른임을 부정할 수 없는 나이가 되어 선생님의 명복을 빈다. 글로 남은 고인의 생각을 매만지며. 글이 있어 다행이라고 되뇌며.      


선생님의 마지막 칼럼을 나눈다.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75517.html?utm_source=copy&utm_medium=copy&utm_campaign=btn_share&utm_content=20240418


“진보나 좌파를 말하는 것과 진보나 좌파로 사는 것은 다르다. 말할 수 있는 것도 특권에 속하는데, 적잖은 입이 말로는 신자유주의를 비판하기도 하지만 삶은 신자유주의를 산다.”     


“우군이 된 자연에 힘을 보태기 위해서도 소유주의가 끝없이 밀어붙인 성장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리고 자연과 인간, 동물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관계는 성장하는 게 아니라 성숙하는 것이다.”     


가장 정성껏 부고를 올린 프레시안 기사도 소개한다.     


http://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4041814482840341             



마지막으로 오마이뉴스에서 진행한 인터뷰를 남긴다. 2년 전 인터뷰인데도 총선이 막 끝난 이 시점에, 정말 중요한 우리 사회의 화두가 다수 실려있다.
 

https://omn.kr/1z4u8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