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손주부 Jun 07. 2024

엔비디아 재무제표 분석하기  

일단 엔비디아 분기 재무제표를 출력합니다. 잠깐 제 일화를 들으시고 재무제표 분석 들어갑니다. 


총각 시절 살아계셨던 어머니는 제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여자 친구는 같은 종교였으면 좋겠다."


"아, 그리고 동향이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첫째는 아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키는 컸으면 좋겠다."


"그리고, 나이 차이는 4살이 났으면 좋겠다."


"그리고 외동딸은 아니었으면 좋겠다."


어머니의 말씀을 듣고, 제가 만날 수 있는 여성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저보다 네 살 어린 분이 대한민국에 약 40만 명이 있고, 


그중에서 4만 명이 종교가 같고, 


평균보다 큰 키를 따지면 2만 명이 남고, 


이런 식으로 어머니의 조건대로 계속해서 추려나가다 보니 제가 만날 수 있는 여성은 전국에 천명밖에 남지 않더군요! 


아무튼, 기업도 이런 식으로 조건을 걸어 계속해서 추려나가다 보면 투자할 기업이 몇 개 밖에 남지 않는답니다!


 


오늘은 재무제표를 활용해서 엔비디아를 분석해 볼까 합니다. 


재무제표를 통해 우리는 


엔비디아의 성장성과 수익성, 재무 안정성과 효율성을 알 수 있습니다. 


1. 성장성 


성장성 확인을 위해 크게 네 가지 지표를 봅니다.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증가율, 당기순이익 증가율, 총 자산 증가율이 네 가지 지표입니다.   (단위는 백만 불)


매출액증가율 = 26,044/7,192 - 1 = 262% 

영업이익증가율 = 16,909/2,140 -1 = 690%

당기순이익증가율 = 14,881/2,043 -1 = 628%

총 자산증가율 = 77,072/65,728 - 1 = 17.3%


당기순이익 증가율을 보니 할 말이 없네요.


2. 수익성 


매출총이익률 = 20,406/26,044 = 78.4%

영업이익률 = 16,909/26,044 = 64.9%

당기순이익률 = 14,881/26,044 = 57.1%


참고로 삼성전자는 당기순이익률이 18.9% 나오네요.


3. 안정성 


이자보상배율은 납부해야 하는 이자(채권, 은행대출) 대비 영업이익이 몇 배 인지 보여줍니다. 

쉽게 말해 은행 대출 이자가 30만 원인데, 내 월급이 300만 원이면 이자보상배율이 10이라는 말입니다.


1 미만이면, 대출이자 30만 원인데, 한 달에 30만 원도 못 벌고 있다는 뜻입니다. 


구하는 식은 "영업이익/이자비용" 16,909/64=264, 즉 엔비디아는 이자의 264배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벌고 있습니다. 대출이자 30만 원인데, 한 달에 7920만 원 번다는 소립니다.


유동비율은 1년 이내 갚아야 할 것들 대비 1년 이내 현금화 가능한 자산을 보여주고 적어도 1 이상이 나와야, 안정적입니다. 

"유동자산/유동부채" = 53,729 / 15,223 = 3.5


부채비율은 자기 자본 대비 부채가 얼마나 있나 보여줍니다. 단기 유동성을 보여줍니다. 2를 초과하면 위험하다고 봅니다. 

"부채/자기 자본" = 27,930 / 49,142 = 0.57


자기 자본비율은 전체 자산대비 자기 자본을 보여줍니다. 0.3 밑으로 떨어지면, 레버리지를 너무 많이 일으킨 것으로 간주됩니다. 

"자기 자본/전체자산" = 49,142 / 77,072 = 0.64


지급능력비율은 전체 부채 대비 해서 자산이 몇 배인지 보여줍니다. 장기 유동성을 보여줍니다. 1.5 밑으로 떨어지면, 재무적 위험이 있는 것으로 봅니다. 

"전체자산/부채" = 77,072/27,930 =  2.76       


4. 효율성


총 자산회전율은 자산을 활용해서 매출을 몇 회전시켰는지 알려줍니다.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식당의 테이블 회전율과 호텔의 객실 회전율을 떠올리면 됩니다.


떡볶이 집을 1억에 차렸는데, 연간 매출이 3억이 나왔다면, 회전율이 "3" 이 됩니다. 구하는 방법은 "매출액/평균총자산"입니다. 


79,774/{(77,072+65,728)/2} = 1.12 엔비디아는 자산보다 매출이 조금 더 높게 나왔습니다. 


재고자산회전율은 재고자산이 매출로 바뀌는 속도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즉, 회전율이 낮으면 매출로 바뀌는 속도가 느려서, 창고에 오랫동안 묵혀져 있다는 뜻입니다. 

구하는 식은 "매출원가/평균재고자산"입니다. 

19,715/{(5,864+5,282)/2} = 3.54

재고가 판매되기까지 평균적으로 103일 (365/3.54) 정도 소요된다고 보면 됩니다.


매출채권회전율은 외상이 얼마나 빠르게 회수되는지 보여줍니다. 

79,774/{(12,365+9,999)/2} = 7.13

고객에게 준 외상이 평균 51일 (365/7.13) 걸려서 상환되고 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삼산도서관 강의 자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