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바이어발굴실천회 Jun 26. 2022

의도상실 효과

의도상실 효과 (cancelation effect)


독일의 한 연구소에서 진행된 실험의 사례를 보자. 22개월 영아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다. 아이는 장남감을 가지고 놀고 있고, 한 여인이 책상에 앉아 편지를 쓰다가 펜을 떨어뜨린다. 펜을 주으려고 손을 뻗지만 손이 닿지 않는다. 아이들의 78%는 아장아장 걸어가 이 여인을 도와 펜을 주워준다. 펜, 종이, 집게 등을 떨어뜨려 아이들이 도와주는 것에 익숙해지도록 만들었다.


이 후 실험을 위해, 아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쪽은 보상을 주지 않고, 한 쪽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소리가 나는 장난감을 보상으로 주었다. 그리고 나서 다시 물건을 떨어뜨렸다. 어떻게 됐을까? 처음부터 보상 받지 않았던 아이들은 89%가 펜을 주워 주었다. 보상을 받았던 아이들은 53%만이 펜을 주워 주었다. 물질적으로 보상함으로써 도우려는 의지가 사라져 버렸다. 


일본 연구자들은 보상과 끈기의 연관성을 밝혀냈다. 실험은 피실험자들을 보상 그룹과 무보상 그룹으로 나눠 세 단계로 진행됐다. 첫째 단계에서 보상 그룹에게는 5초 간격으로 스톱워치를 눌러 1000분의 5초 이내 안에 버튼을 누를 때마다. 2.20 달러를 주었다. 무보상 그룹에게는 실험을 모두 마친 후 참가비로 일정 금액을 지급하겠다고 전했다.


두 번째 단계는 휴식시간에 각 그룹이 연습하는 비율 차이를 관찰하는 것이었다. 보상 그룹과 무보상 그룹을 모두 신문과 잡지 등 읽을 거리가 있는 휴게실에 넣었다. 어느 그룹이 휴식 시간에 연습을 더 많이 했을까? 무보상 그룹이 보상그룹보다 2배나 더 많이 연습했다. 다음 휴식시간에는 4배 더 많이 연습했다. 언뜻 생각해 보면 보상 그룹이 더 많이 연습했을 것 같지만 실상은 반대였다. 보상으로 인해 끈기가 사라진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휴식시간 후 두 그룹 모두에게 보상을 주지 않는 것이었다. 실험중 자기공명장치로 실험참가자들의 뇌를 스캔했다. 첫 스톱워치 실험에서는 두 그룹 모두 동기 부여에 관련된 부분의 운동이 감지됐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무보상 그룹만 운동이 감지됐다. 보상 그룹은 보상을 주지 않으므로써 동기 부여 뇌의 움직임이 사라졌다. 


두 실험뿐 아니라 동기부여 연구의 아버지라 불리는 에드워드 데시와 리처드 라이언의 127개 연구 분석 등 여러 근거가 있다. 감시나 압박이 없는 상태에서 조직을 위해 일한다거나 도움이 필요한 동료를 돕는 행위나 끈기는 보상을 하게 되면 사라져 버린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작가의 이전글 코브라 효과(cobra effect)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