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INJI Apr 07. 2024

가난과 돈에 관한 잔인한 이야기들

가난과 돈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돈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고 생각 됩니다.

마치 세상 모든 이야기의 절반이 돈에 대한 이야기처럼 느껴지기도 하니까요.

주식이나 코인, 부동산 등의 이야기는 결국 돈에 대한 이야기니까요.

그리고 우리는 무조건 빨리 부자가 되어야 한다는 강박을 느끼기도 합니다. 그래서 영끌 투자라는 말이 유행하고 상대적으로 세상을 사는 것이 정말 쉽지 않죠.


그래서 오늘은 ‘가난과 돈에 관한 잔인한 이야기들’이라는 내용으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우선 첫번째로,


“지금 이 나라에서 가난한 것은 죄에요. 이렇게 고도 성장한 나라에서 여전히 가난하다? 그것은 정신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지금 이 시대는 어마어마하게 돈 벌기 쉬운 시대구요. 가난은 충분히 치료할 수 있는 정신병입니다!”


이 이야기는 어느 유튜브 광고 내용 중 일부인데,

보고 나서 너무 어이없고 불편한 광고였지만, 한편으로는 왠지 이해와 공감이 되는 광고였습니다.

솔직히 개인적으로 너무 짜증도 나고 가난하고 힘든 사람들의 가슴에 비수를 박는 느낌이랄까?

뭐 그런 거죠. 왠지 거부하고 싶은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아무리 광고라고 하지만,

이런 이야기들은 패륜적인 말에 가깝다고 느낄 만큼 반감이 생기더라구요.

지금 현재 가난하고 힘든 사람들에겐 희망보다는 좌절감이나 열등감만 느끼게 할 것 같은 광고였습니다. 물론 그만큼 광고 효과가 클 수는 있겠죠.

어쨌든 그만큼 가난이라는 것이 힘들고 잔인한 상황이라는 반증이라고 생각됩니다.

어쩌면 진짜 정신병일지도 모른다고 느껴질 만큼 힘든 것이 가난이기도 하니까요.


그리고 두번째로,

“가난이 대문으로 들어오면 사랑과 행복은 창문으로 나가고, 

부자라고 전부 행복하지는 않지만, 가난하면 대부분 불행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지금 현재 가난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이렇게 느끼고 공감할 것입니다. 절대 행복하지 않죠.

솔직히 가난하다는 자체가 너무 힘든 상황이고 그 안에서 사랑이나 행복을 찾기란 진짜 쉽지가 않죠. 


우리는 이 이야기를 이성이나 머리로는 절대적으로 부인하고 싶지만, 몸으로는 확실히 느끼는 것 같구요.

또한 현재 대한민국 결혼 조건 1순위도 경제력이고, 이혼 원인 1순위도 경제력이라고 합니다.

어쨌든 결혼 상대자를 찾을 때는 직업이나 경제력이 무조건 1순위가 되는 거죠. 

이미 세상은 물질적인 가치가 모든 것을 지배하고 있다는 사실을 도저히 부인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지독한 가난을 경험해 본 사람들은 확실히 알 겁니다.

어떤 부자들은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다!”고 말하지만,

반대로 가난한 사람들은 “행복을 돈으로 어느 정도는 확실히 살 수 있다!”고 생각하죠.

게다가 부자들은 가난으로 인한 비참함이나 잔혹한 감정들을 느끼지는 않죠. 그리고 어쩌면 이 자체가 행복인지도 모르구요. 

확실히 돈이란 불행함을 덜 느끼도록 하고, 행복을 더 느끼도록 만들어 준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아직 부자가 아니어서 돈이 얼마나 행복을 느끼게 만드는지는 잘 모르지만,

너무 가난했던 경험 때문에 돈이 없으면 불행하고 비참하다는 느낌은 확실히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보다 더 가난해지는 상황이 무섭기도 합니다. 솔직히 생각하기도 싫구요.


마지막 세번째로,

“가난은 당신의 생각보다 훨씬 잔혹하고 비참하며, 나이 들어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노년의 가난이다. 

특히 늙어서 가난해지면 삶 전체가 비참해진다. 어쩌면 마치 실패한 인생처럼 느껴지기 쉽다!”라는 이야기입니다


듣기만 해도 너무 가혹하고 무섭죠?

제가 경험했던 가난은 대학 시절에 집에 전기와 가스가 끊어지고 동생들과 어머니를 부양해야하는 기억하기 싫은 잔혹함과 비참함이였습니다. 

그때는 정말 누가 나의 힘든 상황을 미리 알아봐주고 도와줬으면 하는 생각으로 가득 했거든요.

그래서 저는 절대로 20대의 대학 시절로 돌아가고 싶지 않습니다. 


그리고 50살 정도가 되어 보니, 이제는 나이 들어서 가난하고 힘든 분들이 주변에 많이 보입니다. 친구들 중에서도 돈 때문에 세상을 달리하는 경우가 생기기 하구요.


또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독거 노인 문제나 높은 자살율 모두 가난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고, 특히 한국은 OECD 국가 기준으로 노인 빈곤율이 1위라고 합니다. 심각한 문제죠.

‘가난은 나라님도 구하지 못한다!’라는 사실에서 절대로 가난해져서는 안되거나 지금의 가난한 상황을 무조건 벗어나야 한다는 강박적인 생각을 더 많이 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지금의 세상은 부와 가난이 되물림 되는 것이 확실히 느껴지고, 가난한 사람들의 행복은 저 세상 이야기가 되는 것 같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승진하고 싶지 않은 4가지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