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준규 Jace Shim Dec 22. 2016

2016년 중국은 '刷'(쇄,슈아)

신예방에서 정한 올해의 한자 刷를 통해 본 올해의 중국



2016년 12월 17일 중국의 항주에서는 ‘2016 중국 신예방(2016年度汉字)'이 열렸다. 

신예방(新锐榜)에서는 한 해 동안의 트렌드와 이슈를 놓고 매년 올해의 한자를 선정해 왔는데 올해의 한자(2016年度汉字)로  “刷”(한자로 인쇄할 '쇄', 중국어로 '슈아')를 선정하였다. 

   



[Image source from : http://hzdaily.hangzhou.com.cn]


중국에서 거의 매일 썼던 단어중에 하나가 '刷卡(슈아카, 카드를 긁다)'였어서 그러지 더욱 친숙하고, 한편으로는 그렇게 빠르게 스쳐가는 것이 많아지는 시대였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의 '빨리빨리'로 이해되었던 사회적 특징이 이제 모바일을 기반으로 점핑한 중국사회에서도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중국은 이 부분이 모두 모바일 라이프로 연계되어 발전되며, 이러한 빨리빨리가 새로운 편의를 주고 있다는 점에서 신(新)라이프 스타일이 기준이 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mage source from : http://hzdaily.hangzhou.com.cn]




“刷”가 중국 국민의 트레드와 한 해동안의 (라이프 스타일)을 대표하는 것으로 써, 

다음과 같이 올 한 해 핫 한 이슈들을 모두 내포하고 있다.


- 刷微博(刷-웨이보,weibo / SNS),

- 刷微信(刷-웨이신, weixin / SNS)

- 刷淘宝(刷-타오바오, taobao / eCommerce)

- 刷外卖(刷-와이마이, waimai / take out)

- 刷网剧(刷-왕쥐, wangju / Internet Drama)

- 刷直播(刷-즈보, zhibo / mobile live broadcasting)

- 刷票房(刷-퍄오팡, piaofang / box office)

- 刷流量(刷-리유량, liuliang / data flux)

- 刷存在感(刷-춘자이간, cunzaigan / sense of existence)


웨이보부터 시작하여 왕홍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즈보(모바일 개인 생방송 플랫폼)까지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생동감 있는 중국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동안의 역대 ‘올해의 한자’로는 아래와 같다.
2015년도- 造(만들 조, 자오) / 창업과 더불어 세계일류 강국이 되기위한 창조의 시기, 제조의 시대의 혁신을 상징
2014년도 - 退(물러날 퇴, 투이) / 글로벌 기업들의 중국시장에서의 철수, 유명 스포츠 선수의 은퇴 등 각 분야에서 물러난 것에 대한 반영
2013년도 - 梦(꿈 몽, 멍) / 시진핑 주석의 취임과 시진핑 주성의 키워드 中国夢(중국꿈,중궈몽)가 반영된 것으로써, 미래 지향적인 목표를 부여
2012년도 - 微(작을 미,  웨이) / 웨이보(微博), 웨이신(微信), 웨이궁이(微公益) 등 웨이보, 웨이신등이 급성장 하면서 큰 이슈가 되었던 사항을 반영

작가의 이전글 모바일 중심, 자전거 공유의 진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