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디지털꼰대 Nov 19. 2022

삼십육계?

어디서 들어본 것 같긴 한데...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진퇴양난 속에서

우스갯소리를 하는 말이 있다.


이제는 종료된 삼국지 조조전 온라인(넥슨)의 제갈량 퇴각 대사

삼십육계 줄행랑이다.


본래는  삼십육계의 마지막인 주위상(走為上, 도망치는 것이 상책)을 의미한다.

주위상이라는 말에서 '도망'에 초점을 두고 구전되어온 속담이다.


이렇듯 알게 모르게 삼십육계는 우리 삶 속에 나름대로 깊게 파고 들어있다.

다만 삼십육계를 삼십육계로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손자병법과 동일하게 생각하기도 하고, 그 부록 정도로 생각하거나 요약집으로 생각하는 사람.

심지어 '삼십육계(손자병법을 달리 이르는 말)' 이라고 단 자막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물론 그것은 정답이 아니다. 삼십육계는 손자병법과 그 성격부터가 다른 책이다.

똑같이 병법에 관련되어 있지만 

손자병법은 최후의 승리를 위한 국가의 경영 및 군의 편제 및 전쟁의 시기 등 대전략 위주의 책이다.

반면, 삼십육계는 손자병법에 비하면 좀 '짜치는' 책이다.


당장 위기를 벗어날 방법을 중심으로 쓰여져있으며

대부분 전략보다는 전술적인 측면에서의 책이다.

달리 말하면 전술적인 측면에서 쓰여진 책이므로 실제 실무나 실전에 더욱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흔히 손자병법을 처음 읽을 때 느끼곤 하는

'뜬 구름 잡는 소리'가 상대적으로 덜하긴 하다.


즉 손자병법이 왕과 대장군이 읽는, 지금의 경영자와 관리자를 위한 책이라면,

삼십육계는 전장에 파견된 현장 지휘관, 지금의 실무 책임자가 보아야 할 책이다.


남북조 시대의 명장, 단도제(檀道濟, ? ~ 436년). 삼십육계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다만 손무가 저술했다고 알려진 손자병법에 비해 삼십육계는 그 기원이 불분명하다.

중국 남북조시대 유송(劉宋)의 명장인 단도제(檀道濟)의 저작으로 알려져있고 

달리 '단공삼십육계'라고 불리기도 한다.


재밌게도 위에 언급한 '삼십육계 줄행랑'의 경우, 

남제서에 실린 '단공의 서른여섯 계책 중 주위상이 제일이다.' 에서 유래하였다.


하지만 단도제가 현재 전해지는 삼십육계를 모두 정리했다고 보긴 어려울 것 같다.

당장 1장인 만천과해부터 훨씬 후대인 설인귀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재는 단도제를 저자로 보기보다도 여러 중국의 이름모를 병법가들이

고금의 사례를 들어 집대성하면서 다듬어진 것이 아닐까 하는 것이 주된 이론이다.

이른바 중국 병법의 '집단지성'이 삼십육계인 것이다.


36이란 숫자도 그저 단도제가 가진 많고 많은 병법을 상징하는 숫자에서

어거지로 서른 여섯개를 끼워 맞춘 것이 아닐까 생각되곤 한다.


아마도 이런 저런 병법에 대한 저술들이 모이고,

단도제의 이름을 빌리며 원래 단도제가 썼다는 '삼십육계'를 덮어버린 것이 아닐까.


어찌되었든 삼십육계는 이러한 성격 탓에

 중국 전쟁사에서 정수만 뽑은 핵심요약집의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이제 삼십육계를 바탕으로 그 사례가 된 역사적 배경을 함께 살피고

이를 우리가 실무에서, 특히 영업에서 어떻게 활용해야하는 지에 생각하고자 한다.


다음 편에 내가 생각하는 영업에 대해 다시 말하겠지만

영업은 판매의 동의어는 아니다.


글쎼.. 왜 그럴까?

매거진의 이전글 영업 삼십육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