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경영로스팅 Dec 16. 2024

뫼비우스가 보여준 자유와 실험

만화의 지평을 넓힌 메탈 위를랑

미야자키 하야오의 걸작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는 1984년에 탄생한 작품입니다. 이 이야기는 전쟁과 오염으로 황폐해진 세계를 배경으로 펼쳐집니다. 인류가 만든 독성 숲 ‘부해(腐海)’가 퍼지며, 인간은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환경과 싸워야 했습니다. 이러한 시대 속에서 바람계곡의 공주 나우시카는 자연과의 조화를 찾기 위해 모험을 떠납니다. 그녀의 여정은 단순한 전쟁의 승리가 아니라, 생명을 지키고 재생할 방법을 모색하는 길이었습니다.


미야자키는 여러 차례 인터뷰에서 프랑스 만화가 뫼비우스의 작품에서 받은 영감을 언급했습니다. 그는 "나는 뫼비우스의 영향을 받아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를 창작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뫼비우스의 1975년 작품 《아르작》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아르작》의 광활한 사막 풍경과 신비로운 생명체들은 《나우시카》의 독특한 세계관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뫼비우스의 광활한 풍경 묘사와 디테일이 살아 있는 기계 디자인, 그리고 철학적인 스토리텔링은 나우시카의 시각적 스타일과 서사에 깊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마치 사막의 모래폭풍처럼, 미야자키의 작품에는 뫼비우스의 광대한 세계관과 끝없는 상상력이 녹아 있습니다. 나우시카는 두려움 없이 ‘부해’ 속으로 들어가 그곳에서 파괴가 아닌 생명의 신비로움을 발견합니다. 이 작품은 고요하지만 강렬한 메시지를 통해 우리가 잊어버린 자연과의 관계를 다시 돌아보게 합니다.


뫼비우스의《아르작》, 미야자키 하야오의《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장 지로(Jean Giraud), 일명 뫼비우스(Moebius)는 1938년 5월 8일 파리 근교 노장쉬르마른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어린 시절은 부모님의 이혼으로 인해 조부모님 밑에서 주로 보내졌습니다. 현실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상상 속 세계로 도피하곤 했던 그는 만화를 통해 위안을 얻었습니다. 특히 미국 웨스턴 만화에 매료된 그는 끊임없이 그림을 그리며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기 시작했습니다. 18세에 광고 회사에서 일하면서도 틈틈이 만화를 그린 그는 1956년 《프랭크와 제로니모》라는 첫 작품을 '코어 바이앙' 잡지에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만화가의 길에 들어섰습니다. 이 짧은 4페이지짜리 작품은 지로의 독특한 그림체와 스토리텔링 능력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시작점이 되었습니다.


지로가 '뫼비우스'라는 필명을 택한 것은 그의 예술적 변신을 상징하는 결정적인 순간이었습니다. 이미 '블루베리' 시리즈로 유명세를 얻었지만, 그는 기존의 틀을 넘어서 실험적이고 초현실적인 작품을 창조하고자 했습니다. 뫼비우스의 띠처럼 시작과 끝이 없는 무한한 창조성을 추구하고자 이 이름을 선택한 것입니다. '뫼비우스'라는 이름 아래, 그는 기존의 만화 문법을 파괴하고 철학적이며 초현실적인 주제를 담은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아르작》은 이러한 변화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 작품을 통해 그는 단순한 만화가를 넘어 비주얼 아티스트로서의 면모를 드러냈으며, 만화의 예술적 가능성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아르작》의 탄생 배경은 지로의 예술적 여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1970년대 초, 멕시코 여행 중 환각제를 경험하며 그는 초현실적인 세계관에 대한 영감을 얻었습니다. 이 경험은 《아르작》의 독특한 사막 풍경, 기묘한 생명체, 그리고 시공간을 초월하는 서사 구조를 만들어내는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아르작》은 전통적인 내러티브를 거부하고 독자가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도록 열린 구조를 채택했습니다. 발표 당시 이 작품은 많은 이들에게 충격과 감동을 주었으며, 이후 영화,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블레이드 러너》와 《에일리언》 같은 SF 영화의 비주얼에 큰 영감을 주며, 뫼비우스를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비주얼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게 했습니다.


첫 번째 '블루베리' 스토리(1963)인 '포트 나바호', 출처: https://www.lambiek.net




1974년 12월, 파리의 한 작은 출판사에서 만화 역사를 바꿀 혁신적인 움직임이 시작되었습니다. 뫼비우스, 필립 드뤼이예(Philippe Druillet), 장-피에르 디오네(Jean-Pierre Dionnet), 베르나르 파르카스(Bernard Farkas)가 뜻을 모아 '위마노이드 아소시에(Les Humanoïdes Associés)'라는 출판사를 설립하며 '메탈 위를랑(Métal Hurlant)'이라는 획기적인 만화 잡지를 창간했습니다. 이 잡지는 단순한 잡지 출판을 넘어, 전 세계 만화 예술의 판도를 바꾸기 위한 비전을 담고 있었습니다. '메탈 위를랑'은 단순히 만화의 새로운 장을 여는 데 그치지 않고, 만화가 문화와 예술의 중심 무대에서 재평가받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기존 만화의 틀을 벗어나 복잡한 작화와 영화 같은 형상, 초현실적인 스토리라인을 선보인 '메탈 위를랑'은 곧 "성인" 만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뫼비우스는 이 잡지에서 자신의 대표작 《아르작》을 연재하며 만화의 예술적 가능성을 극대화했습니다. '메탈 위를랑'은 단순한 만화를 넘어 음악, 비디오 게임, 영화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와 융합하며 독자들에게 전에 없던 신선한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잡지의 독창적인 형식은 단순히 시각적 즐거움에 머물지 않고, 다른 시각 예술의 발전에도 깊은 기여를 하며, 예술적 상상력의 한계를 확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메탈 위를랑'의 영향력은 프랑스를 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습니다. 미국에서는 '헤비 메탈(Heavy Metal)'이라는 이름으로 출판되며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는 리들리 스콧 감독의 《블레이드 러너》와 《에일리언》 같은 SF 영화의 비주얼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리들리 스콧 감독은 '메탈 위를랑'에서 영감을 받아 뫼비우스를 《에일리언》의 비주얼 디자인에 참여시켰고, 이는 영화의 독특한 미학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뫼비우스의 작품 세계는 영화 속 상징적이고 섬세한 디테일을 추가하는 데도 기여하여, 관객들에게 잊지 못할 비주얼 경험을 선사했습니다. 그 결과, '메탈 위를랑'은 만화가 영상 예술과 깊이 연계될 수 있음을 증명하며 새로운 창작의 길을 열었습니다.


일본에서도 '메탈 위를랑'의 흔적은 뚜렷이 나타났습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와 오토모 가쓰히로의 《아키라》 같은 애니메이션 걸작들이 뫼비우스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습니다. 특히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의 환상적인 자연 묘사와 《아키라》의 디스토피아적 미래 세계는 뫼비우스의 초현실적이고 독창적인 비주얼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이들 작품은 일본 애니메이션이 세계적인 인기를 얻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뫼비우스의 영향력이 단순히 만화를 넘어 영화와 애니메이션에도 깊이 스며들었음을 보여줍니다. 더불어, 이들 작품은 세계 각국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뫼비우스의 창의력이 글로벌 문화의 중요한 부분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이 잡지는 단순한 오락 매체를 넘어 진지한 예술 형식으로 만화를 격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메탈 위를랑'은 알레한드로 호도로프스키(Alejandro Jodorowsky), 리차드 코벤(Richard Corben), 엔키 빌랄(Enki Bilal) 등 세계적인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며 만화의 예술성과 표현의 자유를 한 단계 끌어올렸습니다. 특히, 이 잡지는 초현실적이고 실험적인 작품을 대중에게 선보이며 기존의 만화가 가진 경계를 뛰어넘는 시도를 지속적으로 이어갔습니다. 잡지에 소개된 많은 작품들이 다른 예술 장르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창조적 가능성을 열었으며, 이는 만화를 단순한 이야기 전달의 도구에서 복합적인 예술 표현으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성공은 다른 국가들에서도 유사한 성인 만화 잡지들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스페인의 '메트로폴(Metropol)', 이탈리아의 '프리지데어(Frigidaire)', 영국의 '2000AD'와 '워리어(Warrior)' 등은 모두 '메탈 위를랑(Métal Hurlant)'의 영향을 받아 창간되었습니다. 이 잡지들은 각자의 문화적 배경과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메탈 위를랑'이 제시한 독창적인 형식과 실험적인 정신을 이어받았습니다. '메탈 위를랑'은 전 세계 만화 문화의 판도를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오늘날에도 '메탈 위를랑'의 정신은 그래픽 노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창작 분야에서 깊이 새겨져 있으며, 만화가 예술의 한 장르로 자리 잡는 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현대 창작자들은 이 잡지의 혁신적인 시도를 계승하며, 새로운 세대를 위한 창의적 영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메탈 위를랑, 1호(1975년 1월 1일)와 6호(1976년 3월 1일)




'메탈 위를랑'은 시각적인 면에서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당시 만화계의 표준이었던 값싼 신문용지 대신 고품질 용지를 사용하여 작가들이 더욱 화려하고 세밀한 작품을 선보일 수 있게 했습니다. 복잡한 작화, 영화적인 구도, 초현실적인 이미지들이 페이지를 가득 채웠습니다. 특히 뫼비우스의 작품들은 섬세한 선화와 대담한 색채로 독자들의 눈을 사로잡았습니다. 이 잡지는 만화를 단순한 오락거리가 아닌 진지한 예술 형식으로 격상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메탈 위를랑'의 혁신은 시각적 표현에만 그치지 않았습니다. 잡지는 전통적인 만화의 틀을 깨고 새로운 서사 기법을 도입하며, 필립 드뤼이예(Philippe Druillet)는 기존의 칸 나누기를 과감히 무시하고 전체 페이지를 하나의 거대한 이미지로 채웠습니다. 카자(Caza)는 점묘법을 활용한 독특한 작화 스타일로 주목받으며 만화 표현의 다양성을 확장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만화라는 매체가 얼마나 유연하고 창조적일 수 있는지를 입증했습니다.


알레한드로 호도로프스키(Alejandro Jodorowsky)와 뫼비우스의 협업으로 탄생한 '인칼(The Incal)'은 복잡한 세계관과 철학적 주제를 통해 SF 만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이 작품은 독창적인 스토리와 함께 강렬한 비주얼을 제공하며 후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메탈 위를랑'은 만화를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올린 혁신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인칼 영어판, 출처: https://www.lambiek.net




1980년대 프랑스는 핵발전소 건설을 둘러싼 논란으로 뜨겁게 달아오르던 시기였습니다.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찬반이 격렬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메탈 위를랑(Métal Hurlant)'은 단순한 만화 잡지를 넘어 사회적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에 잡지는 핵발전소 건설 문제를 다룬 특집호를 발간하며, 만화라는 매체를 통해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뫼비우스(Moebius)를 비롯한 작가들은 초현실적이고 상징적인 이미지를 활용해 핵발전의 위험성과 환경 문제를 비판적으로 조명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메탈 위를랑'은 단순히 오락적인 요소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 책임감을 가진 매체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후 '메탈 위를랑'은 환경 문제와 생태학적 주제를 다룬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소개하며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필립 드뤼이예(Philippe Druillet)의 작품은 핵전쟁 이후 황폐해진 지구를 묘사하며, 인간의 탐욕과 무책임이 초래할 재앙을 경고했습니다. 카자(Caza)는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통해 독자들에게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웠습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단순히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독자들에게 깊은 성찰과 행동을 촉구하는 강력한 도구로 작용했습니다. '메탈 위를랑'은 만화를 통해 환경과 사회 문제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며, 예술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메탈 위를랑'의 이러한 노력은 프랑스를 넘어 국제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에서는 '헤비 메탈(Heavy Metal)'이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어 환경과 사회 문제를 다룬 작품들이 글로벌 독자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일본에서도 미야자키 하야오와 같은 애니메이션 거장들이 '메탈 위를랑'에서 영감을 받아 환경 보호와 인간 본성에 대한 이야기를 자신의 작품에 녹여냈습니다. 이처럼 '메탈 위를랑'은 단순히 만화 잡지의 역할을 넘어, 전 세계 예술가들과 독자들에게 환경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이는 만화가 단순한 오락거리를 넘어, 세상을 변화시키는 강력한 매체로 기능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로 남아 있습니다.


필립 드뤼이예의《라 뉘(La Nuit, 하얀 밤)》(1975)




오늘날에도 '메탈 위를랑'의 정신은 창작자들에게 중요한 교훈과 영감을 제공하며, 미래 세대 예술가들에게도 혁신의 상징으로 남아 있습니다. 1987년 출판이 중단되었다가 2002년에 재개되었던 '메탈 위를랑'은 2004년에 다시 출판이 중단되었지만, 그 영향력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4년, 창간 50주년을 맞아 '메탈 위를랑'이 다시 부활한다는 소식은 전 세계 팬들의 기대를 한껏 고조시키고 있습니다.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메탈 위를랑'이 추구했던 창작의 자유와 실험 정신, 그리고 장르와 매체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의 정신은 현대 예술계에 새로운 영감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메탈 위를랑'은 예술의 본질과 창작자의 역할에 대해 끊임없이 되묻게 하는 살아있는 유산으로 남아 있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