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주희 Feb 09. 2020

고민

공간감성 #3 정동1928 아트센터

정동 1928센터는


5년전, 정동에 처음으로 오게 되었다. 봄날의 기억은 시간이 흐른 지금에도 여전히 켜를 이루며 잊혀지지 않고 머리에 남아있었고 공간 역시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고종의 길에서부터 붉은 벽돌의 정동극장까지 걸으며 오랜만에 종로의 매력에 잠시 빠졌던 것 같다. 정동 1928 아트센터는 옛 구세군중앙회관을 리노에베이션하여 새롭게 태어난 복합문화공간이다. 존경하는 교수님의 작품이자 역사의 의미가 깃든 장소라 큰 기대를 가졌다.


1층 베이커리와 카페사이의 복도


현관없이 메인복도의 양 옆으로 맞이하는 두 상업공간은 도로변에서도 보이도록 밝은 조명 및 화려한 꽃으로 배치되었다. 자연스럽게 베이커리로 들어가면 외부에서 보았던 장방향이 조명이 카운터와 평행하게 있으며 그 뒤로 계단공간이 있다. 옛 건물에서의 특징 중 하나는 피난계단이 아니고서야 장식적 요소로서 공간을 마련해주었다는 점이다. 보이고 싶은 곳만 창문을 개방하여 답답하지 않은 카페공간을 마련하였다. 2층으로 올라가면 시야가 트이며 하나의 공간을 맞이한다. 시야가 트이는 방법 중 하나는 가구와 조명으로 방향과 공간감을 주는 것인데, 10m가량의 커스텀 가구가 있어 그 효과를 톡톡히 보았던 것 같다. 두번 째 방법으로 대비되는 좁은 공간을 마련하는 것인데 영화관으로 쓰이는 좁은 공간이 책장 옆으로 있다. 2층의 두공간을 천장을 막지 않고 그대로 연결 시켜 공간의 기능을 연결시킨 듯 했다.    


구조의 슬래브, 기둥, 건물을 지탱하는 모든 것들에서 세월 그대로를 노출시켰으며 한국의 자개를 이용한 가구와 서양의 카펫, 플로럴 벽지 등이 더해져 정동의 맥락을 이어 세월의 켜를 쌓아가는 듯 했다.

 

2층 영화관들어가는 입구와 책장

 

공간적 질문


Q1. 책장을 벽에 붙여 그 사이로 공간을 통과하는 길을 조성할때, 각 모서리는 어떤식으로 마감처리를 해야 다른 디자인이 될까.

Q2. 일반인들이 1층 복도를 통해 베이커리를 보며 지나가는데 꼭 복도의 문들을 닫아 카페와 단절했을까.

Q3. 천장의 나무는 기존 목구조를 보강하기 위함이었을까.

Q4. 디자인적으로 외부 파사드에 힘이 있다면 내부에서 외부로는 어떤 힘을 주면 좋을까.  


작가의 이전글 권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