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끔 Nov 04. 2019

타고난 센스는 없어도 되지만,

센스의 재발견

-

#센스 없는


나는 센스 ‘없는’ 사람이었다.

그게 별로 부끄럽지는 않았다.

나는 ‘센스 없다’를, 마이너스의 개념이 아니라

센스라는 것을 가지지 않은 상태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타고난 운동신경,

타고난 절대음감,

타고난 공부머리

그리고 타고난 센스.


이처럼 ‘타고난’ 이란 수식어가 한 단어처럼 잘 어울리는 것들은 가진 사람들이 부러울 순 있지만, 없다고 부끄러운 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애써 센스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지 않았다.



-

#언젠가부터



언젠가부터 무언가 잘하고 싶은 일이 생길 때 마다

원하는 만큼의 결과치를 내지 못하는 일이 잦아졌다. (지금 생각해보니 잘하고 싶은 무언가가 시험 공부가 아니게 됐을 때 부터였던 것 같다.)

필요한 스킬을 배워도 내가 원하는 대로 만들어 내지 못할 때, ‘나는 왜이렇게 능력이 없지’란 생각을 하곤 했다.


이런 생각이 고개를 들자,

내가 못하는 것들이 하루에도 몇개씩 눈에 띄기 시작했다.


나는 왜 재미가 없지?

나는 왜 간단하게 표현하지 못하지?

나는 왜 그런 생각을 못했지?

...


-

#왜 나는…



무언갈 잘해낸 누군가를 본 후엔 늘 '왜 나는' 으로 시작하는 문장들이 떠올랐다.  

그러다 어느날에,


...쟤는 어떻게?


로 질문이 바뀌었다.

덕분에 나를 반성하기보다, 상대를 관찰할 수 있었다. 내가 못해낸 무언가를 해낸 사람들은 항상 공통적으로 듣는 말이 있었다.


“되게 센스있다”


센스는 남들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스펙이었다.


-

#부(끄)러운



‘타고난 센스’는 없어도 되지만,

‘능력으로서의 센스’는 없으면 없을수록 부끄러운 것이었다. 가르쳐주는 선생님도, 교재도, 수료증 따위도 없는 센스는 어떻게 가질 수 있는 것일까?


아니, 애초에 센스란 무엇일까?



-

#ㅅ ㅔ ㄴ ㅅ ㅡ



센스에 대해 생각하면 할수록

마치 게슈탈트 붕괴에 무너진 미궁 속을 헤매는 듯 했다.


겨우 하나 떠올릴 수 있었던 건,

센스있는 사람들은 센스라는 말을 한 마디로 정의해 낼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었다.


그렇게 미즈노 마나부의 <센스의 재발견>이란 책을 만나게 되었다.



-

#서점에서



서점 한 구석에 걸터앉아 휘릭 넘겨보았다.

“센스는 평범함이다”라는 타이틀이 보였다.


평범함이란 좋은 것을 아는 것

평범함이란 나쁜 것도 아는 것

양쪽을 모두 알아야 가장 한가운데를 알 수 있다.


이 세줄의 설득력에 나는 책을 구매할 수 밖에 없었다.



-

#평범한 게



나는 평범한 게 싫었다.

중학생 시절, 공부하기 싫어 몸이 배배꼬인 나에게 엄마는 자주 이렇게 말씀하셨다.


“평범하게 사는게 제일 어려워. 나중에 평범하고 무난하게 살려고 열심히 공부하는 거야.”


그 때부터 평범한 게 싫었던 것 같다.

‘남들 다 하는 것’에 대한 반감으로 ‘남들은 안 하는 것’들이 좋았고,그게 멋이라고 생각했던 중2병 시절에서 벗어나 성인이 된 후에도 최대한 평범에서 멀리 떨어지고 싶었다.


평범이 뭔지도 모르면서.



-

#솔직히 싫어



그러고보니 난 뭔가를 골라야 할 때, A부터 Z까지 모든 선택지를 다 봐야만 결정을 내릴 수 있었다.


원피스 하나를 고르더라도

시간이 허락하는 한 최대한 많이 검색해봐야 하고,

체력이 허락하는 한 최대한 많은 가게를 돌아봐야 했다.


하지만 어떤 원피스가 좋은지, 나쁜지에 대한 기준이 없는데 아무리 많이 본다고 한들 어떻게 좋은 원피스를 찾을 수 있을까.


이런 게 센스가 없다는 거구나.


25년이 넘는 세월을 살면서 아직도 평범에 대한 기준도 세우지 못한 내 모습이,

평범함 보다도,

솔직히 싫었다.



-

#비기



저자는 나와 같이 센스를 갈망하는 사람들을 위해

어떻게 하면 센스를 가질 수 있는 지 방법을 알려주었다.


Step 1. 왕도’를 찾는다   

왕도란 기본적인 것,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것, 스테디셀러. 무엇이 왕도인지, 또 왜 왕도인지 근거를 찾아 조사하는 과정에서 그 분야에 관계된 폭넓은 지식을 얻어야 한다.



Step 2.지금 유행하는 것을 안다   

왕도의 정반대가 유행. 왕도와 유행을 다 알면 지식의 폭이 넓어지며, 유행을 깨닫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잡지. 잡지는 인터넷 정보와 다르게 트렌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질 좋은 정보를 제공한다.



Step 3. ’공통점’과 ‘일정규칙’이 없는지 생각한다   

지식을 정제하는 과정. 그 동안에 축적된 지식 속에서 '좋은 것'들의 공통 규칙을 발견하고 이를 적용한다.


비기를 안 후 책의 뒷부분은 열심히 읽지 않았지만,

저자가 하고 싶은 말은 확실히 이해했다.


'센스는 노력이다.'



-

#센스의 재발견



센스를 공부하기 위한 노력으로

열심히 유튜브를 보고 있던 어느 날,

어떤 영상을 틀자마자 이런 말이 들렸다.


"클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 센스 있다.


내가 하고픈 말,

"좋아요 눌러주세요, 구독해주세요" 가 아닌,

상대가 들었을 때 기분이 좋아지는 인삿말이었다.

그 유튜버 덕에 나는 센스에 대한 중요한 한 가지를 깨쳤다.


센스는, 배려다.


내가 아니라

상대방이 무엇을 좋아할지, 무엇을 기대할지, 무엇을 원할지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

그게 센스였다.


센스의 재발견.


매거진의 이전글 뭐먹고 살지?에서 어떻게 살지?가 되기까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