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담보 대출 플랫폼 Satoshi Protocol 소개
현재 시가총액 약 2조 달러에 달하는 비트코인은 전례 없는 속도로 성장하여 금융시장의
큰 부분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국가와 기관들의 채택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그 잠재력의 상당 부분은 현재까지도 유동화가 되지 못한 채 남겨져있다.
대부분의 장기 투자자들은 가치 저장 수단을 위해 보유를 할 뿐,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금융 활동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트코인 기반 CDP(담보 대출 서비스)는 비트코인의 속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제공함과 동시에, 비트코인을 매도하지 않고도 보유자들이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Satoshi Protocol 소개
Satoshi Protocol(사토시 프로토콜)은 비트코인 메인넷, 레이어 2,
그리고 EVM기반 환경에서(블록체인상에서) 비트코인을 담보로 활용하여 satUSD, 즉
달러와 가치가 1 : 1로 고정이 되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이다.
*해당 링크는 레퍼럴 링크이며, 자산 예치 시 소정의 수수료를 포인트의 형태로 지급받습니다.
AAVE나 MakerDAO와 같이 블록체인 상에는 다양한 담보 대출 서비스가 존재한다.
이들 또한 DAI나 LUSD처럼 다양한 초과 담보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있지만,
담보의 기반이 되는 자산이 변동성이 매우 심한 암호화폐이거나
중앙화된 스테이블코인인 경우가 많아 탈중앙 및 담보의 안정성 측면에서
오로지 비트코인만을 위한 대안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존재했다.
Satoshi Protocol은 오로지 비트코인만을 담보로 활용하여
중앙 집행자 없이 블록체인 상에서 자동으로 운영되며,
EVM(이더리움 가상 머신)과의 호환성을 통해 다양한 비트코인 L2와
다른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들과의 연결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다.
*현재 Satoshi Protocol은 Bob, BEVM, Bsquare Network, Bitlayer 등의
비트코인 L2 블록체인들을 지원하며, 계속해서 새로운 네트워크들을 지원해 갈 예정이다.
satUSD 민팅(Minting)
Satoshi Protocol은 유저들이 자신의 비트코인을 담보로 잡고
satUSD라는 스테이블코인을 민팅(발행)하여 유동자금을 가용할 수 있게 한다.
satUSD를 민팅할때는 Minimum Collateral Ratio(MCR), 즉 최소 담보 비율을 적어도 110%까지 유지해야 한다. 이때 MCR은 다음의 방식을 통해 계산된다.
(담보 비트코인의 총 가치) / (발행한 satUSD의 가치) = MCR
예를 들어 Satoshi Protocol에 100달러어치의 비트코인을 예치하고
50달러어치 satUSD를 민팅했다면 현재 포지션의 MCR은 200%이다.
주의) satUSD는 달러 가치에 고정됨을 약속하는 스테이블코인이기에 평범한 시장 상황에서는 50 satUSD가 50달러와 같은 가치를 지니겠지만, 100% 보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움(해킹 등).
아래는 필자의 실제 민팅 과정이다.
해당 사진에서 WBTC는 비트코인이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비트코인과 1:1 교환비율을 약속하는 다른 형태의 비트코인이다.
위 화면에서 Confirm Mint를 클릭할 시 민팅이 완료되는데,
해당 거래에서 필자는 대략 0.03(3000달러어치)의 WBTC를 예치하였으며
동시에 1500 satUSD를 민팅했다.
대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민팅하는 satUSD의 0.5%만큼의 Minting Fee(수수료)가 붙으며,
포지션 청산 시 사용되기 위한 Gas Compensation(가스비)으로 2 satUSD를 따로 빼둔다.
해당 가스비는 청산 없이 유저가 빚을 상환하면 그대로 돌려받을 수 있다.
담보물인 WBTC의 가치가 민팅한 satUSD의 약 2배이므로 필자의 MCR은 199%이다.
만약 보이는 Liquidation Price(청산가)에 비트코인의 가격이 도달하게 되면,
Satoshi Protocol은 자동으로 필자의 WBTC를 시장에 처분한다.
satUSD의 가치를 달러와 1:1로 연동하기 위해 항상 110% 이상의 초과담보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화면상에 잡히지는 않지만, 민팅 시 빌리는 자금에는 이자가 붙는다.
현재 많은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Satoshi Protocol은 0%의 이자를 제공하지만,
내년 중 고정금리 형태의 상품으로 변경될 것으로 예상된다.
*위 거래는 Bob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졌으며, 현재 Bob 위에는 SolvBTC, WBTC, tBTC, fBTC 등 다양한 형태의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다.
부채 상환(Redeem)
Redeem(상환)이란 satUSD를 통해 다른 유저의 부채를 대신 상환하여
그에 상응하는 양의 담보물을 교환받는 과정을 의미한다.
가장 MCR이 낮은 유저의 담보물부터 상환을 할 수 있으며,
만약 해당 유저의 MCR이 100%에서 110% 사이라면
상환한 부채의 양보다 큰 담보의 부분을 차익으로 남길 수 있다.
110% 이상의 경우 차익 없이 교환만 가능하다.
MCR이 낮은 유저의 담보물을 청산하도록 유도함을 통해
satUSD의 가치를 항상 1달러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Redeem은 Satoshi Protocol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satUSD 예치(Earn)
유저들은 민팅하거나 따로 시장에서 구매한 satUSD를 가지고
Earn을 통해 추가적인 수익을 노려볼 수 있다.
Earn 탭에 들어가서 Deposit(예치)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원하는 양을 선택하고 Confirm Deposit을 누르면
Stability Pool(안정성 풀)에 satUSD를 예치할 수 있다.
특정 유저의 MCR이 110% 이하일 경우,
Satoshi Protocol은 시스템의 Stability Pool에 있는 satUSD자금을
이용하여 해당 포지션을 청산하고 청산 시 생기는 차익을 예치한 유저들에게 공급한다.
시장에 얼마나 많은 양의 청산 매물이 존재하느냐에 따라 APR(연수익)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인의 자본이 청산 위기에 놓일 경우, 담보물이 청산되기 전에 먼저 예치한
satUSD가 청산되므로 추가적인 안정성을 노려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인이 직접 청산에 참여하느냐, 간접적으로 Stability Pool에 참여하느냐에
따라 각각 Earn과 Redeem 기능을 기호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스테이블코인 교환(Swap)
satUSD의 사용과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Satoshi Protocol은 Swap(교환) 방식을 도입했다.
Swap을 통해 유저들은 USDT나 USDC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satUSD와 달러기준 1:1 비율에 고정하여 교환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거래의 편의성을 넘어 시스템의 안정에 기여한다.
만약 satUSD의 시장가가 0.98달러라면, 사용자는 자신이
낮은 가격으로 구매한 satUSD를 Satoshi Protocol에서
1달러로 고정된 Swap 또는 Redeem 방식을 통해 차익을 얻고
이를 반복하여 다시 1달러로 복구할 수 있도록 시스템에 기여한다.
반대로 satUSD의 시장가가 1.02달러일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USDT 등을 Satoshi Protocol에서 satUSD와 1:1 비율로 교환하고
다시 시장에 매도함으로써 차익을 얻고 이를 반복하면서
satUSD의 가치가 1달러에 수렴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다.
OSHI 토큰 예치(출시예정)
Satoshi Protocol이 벌어들이는 민팅, 이자, 상환 등 모든 수수료는
추후 발행될 OSHI토큰의 예치자들에게 전액 분할된다.
위 파이 차트를 통해 어떤 주체들이 얼마나 토큰을 지급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으며,
모든 토큰은 한 번에 시장에 풀리지 않고 점진적으로 3~60개월 동안 분배된다.
토큰은 다양한 방식으로 얻을 수 있는데, 가장 쉬운 방법으로는
포지션 생성(20%), satUSD 예치(10%), satUSD 활용(15%)등이 있다.
현재 OSHI 토큰은 출시 예정이기 때문에 지금 예치 및 거래를 하는
유저들에게는 Gold라는 형태의 포인트를 지급하고 있다.
추후 해당 포인트의 크기에 비례하여 토큰이 지급될 예정이다.
출시 후 받은 OSHI토큰을 Satoshi Protocol에 예치하면
이에 상응하는 양만큼의 sOSHI 토큰을 지급받을 수 있다.
sOSHI의 보유자들은 Satoshi Protocol이 벌어들이는
모든 수익을 예치한 양에 비례하여 분배받을 수 있으며,
이 작동방식은 프로토콜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Satoshi Protocol은 특별한 담보 방식으로 많은 유저들에게
비트코인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만,
그에 따르는 불확실성과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계약 리스크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코드는 오픈소스이며, 기관의 감사를 받았지만
스마트계약의 특성상 낮은 확률로 해킹이 발생할 수 있다는 리스크가 있다.
특히 Satoshi Protocol의 경우 신생 프로토콜이기에
아직 많은 검증을 거치지는 못한 상태이다.
부족한 유동성
블록체인상에서 두 토큰을 교환하려면
일정 수준 이상의 자금이 탈중앙 거래소에 예치되어야 한다.
만약 유저가 원하는 양만큼의 유동성이 공급되지 못하면,
Swap 한 번에 많게는 50%씩 수수료가 붙을 수 있다.
Satoshi Protocol을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은 모두
Bob, BEVM과 같은 신생 비트코인 L2 체인들이다.
이들은 이더리움, 솔라나, 베이스 등과 같이
많은 거래소의 지원과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큰 금액(필자의 체감상 약 10,000달러 이상)을 옮길
경우에는 수수료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이 생태계가 일정 수준 이상 성숙하기 전까지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화 문제
같은 비트코인이라고 해서 다 강력한 탈중앙성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현재 많은 비트코인 L2들은 Zero Knowledge Proof(영지식 증명)
롤업 기술을 통해 블록체인의 불변성과 비트코인의 활용성을 이루고자 한다.
기존 장부에서 비트코인을 잠그고 타 블록체인에 그에 상응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방식을 Bridging(브릿징) 기술이라고 표현하는데,
비트코인에는 아직 Permissionless(무허가) 브릿징을 위한 영지식 증명을
실현시킬 수 있는 주체가 없으며, 브릿징 한 자산과 블록체인의 불변성에 있어서
특정 기업 및 단체를 믿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이는 탈중앙성을 약화시킨다.
현재 R&D 단계에 머물러 있는 영지식 증명 기술의 경우
언젠가 완성될 전망이지만, 해당 기술이 완성되기 전까지
이를 도입하겠다는 비트코인 L2를 100% 신뢰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Satoshi Protocol에 관심이 있다면 이를 꼭 염두에 두자.
Satoshi Protocol. “Introduction: Satoshi Protocol.” Introduction | Satoshi Protocol, docs.satoshiprotocol.org/. Accessed 17 Dec. 2024.